가즈아ㅏㅏㅏ
과연 이익이 얼마나올지 벌써부터 ㄷㄷㄷ
저번분기보니 마진율이 어마어마하던데
만약 테슬라가 저번분기수준의 마진율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올해 전체 판매량이 대략 100만대쯤될것같은데
작년대비 2배 증가에
매년 이정도 속도에서 비슷하거나 더 빠른 증가추세라면
매년 어마어마한 이익증가추세가 나타난다는 계산이나오니 ㄷㄷ
몇년째 성장률 100%이상 달성중인데 이번 기가베를린 완공후 생산 수량으로 22년 생산량도 21년대비 2배가 기대되니 주가가 반영되는듯 합니다 .연말에 인도 공장 계획 발표 나오길 고대합니다
근데 개인적으로 작년엔 저도 테슬라가 고평가가 맞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중 하나가 바로 저 마진율이었...
작년엔 아무리 2019년도대비 어마어마한 성장을 했다고해도 이익이 탄소배출권팔아서 얻는게 다였고
실제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이는 이익은 마이너스
거기에 이정도가지고 테슬라가 아무리 성장해봐야 뭐 전세계 자동차가 9000만대 팔린다고하면
거기서 4~5천만대를 테슬라 혼자 다 팔것도 아니고
결국 자동차시장이란게 파이는 정해져있고 그안에서 단독질주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에
아무리 커봐야 전기차시대에서도 가장큰 점유율을 가진 제조사는 폭스바겐정도일텐데
그럼 대략 9천만대중 천만대파는 기업이 점유율 1위일 가능성이 높고 대략 점유율이 11~12퍼수준
그렇게 계산해보면 약 천만대에 영업이익도 지금 자동차회사들이 내는 수준밖에 못낸다면
10년이 지나도 테슬라는 매출대비 돈을 꼬딱지만큼 밖에못벌텐데
그럼 저 주가도 고평가아닌가라고생각했었죠
근데 이 생각이 바뀐게 올해부터였고 특히 2분기 실적때 놀랐네요
이익이 큰폭으로 늘어난건 당연하고 특히 영업활동 즉 자동차판매로만 벌어들인 이익률 28프로였던 ㄷㄷㄷ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제조사들이 고급 브랜드가 아주 높으면 이익률7~8프로
대중브랜드가 4~5프로 수준인데
그걸 까마득히 넘어선 수치에 놀랐던..
현대차 2분기랑 총매출대비 이익율로만 비교해봐도
대충 현대차가 총100만대 판매에 매출이 30.2조 영업이익 1.8조
테슬라가 20만대 팔아서 매출 13.7조 영업이익1.5조 ㄷㄷㄷ
자동차판매부분만 볼때보단 영익률이 떨어지지만 그래도 여전히 높은수준에
에비따마진율도 다른 완성차 제조사대비 월등하더군요
이걸보면 대략 분기 25만대만팔아도 현대차가 100만대 판것보다 이익을 더 많이 벌수있다는 계산이나오고
저 마진율이 3분기 4분기에도 이어진다면
꾸준히 유지할수있다면 만약 테슬라가 전기차시대에 딱 폭스바겐 점유율만큼 전체 시장에서 가져갈수있다면
스마트폰계의 애플처럼 진짜 이익이 어마어마해진다는 계산이..
핸드폰 시장이 이익률이 구렸던 피쳐폰에서 어마어마한 이익이나는 스마트폰시장으로 그리고 그 스마트폰시장에서 대략 18퍼수준의 점유율만 가지고도 이익을 거의 독식하다시피하는 애플처럼 될수있는 가능성이 생기는거죠
실제 애플도 아이폰 하드웨어 판매만으로 억는 이익률이 대략 20~30퍼쯤된다고 알려져있죠
지금 테슬라가 자동차팔아서 버는 이익률과 비슷
재밌는건 스마트폰시장에서 애플이 저렇게 이익을 벌어들이는데 다른 제조사들은 정말 꼬딱지밖에 이익률이 안나오고 그마저도 삼성을 제외한 다른 제조사들은 마이너스도 수두룩...
근데 스마트폰시장과 자동차시장은 매출규모면에서부터 상당한 차이가있기때문에
만약 테슬라가 지금의 영업이익률 그대로 폭스바겐 수준의 시장점유율과 매출수준에 도달한다면 영업이익이 한해 이익만 100조이상으로 애플보다 클수있다는 계산이...ㄷㄷㄷ
근데 개인적으로 신기한건 어떻게 영업이익률이 한번에 저렇게까지 개선이될수있는가가...
전기차에서 원가에 가장큰 비중인 배터리값이 갑자기 싸진것도아니고
그렇다고 차값을 갑자기 올린것도 아니고
지금 당장에 생각해볼수있는거라곤 신규공장까진 아니지만 라인증설이 어느정도 마무리되고 결국 일정수준이상의 생산량에 도달하면서 규모의경제가 달성됐기때문이라는 예상과
그리고 fsd같은 소프트웨어 또한 옵션판매로 들어갈테고
이건 뭐...테슬라한테 특히 연구개발비를 제외하면 사실상 고정비가없는 소프트웨어라 마진율이 어마어마할테니
다른 제조사대비 높은 마진율에는 이런 이유도있지않을까..
암튼 테슬라의 미래모습이 궁금해지네요
테슬라는 앞으로 전기차시장 전체에서 상대적인 점유율은 점차 줄겟지만
미래에 얼마까지 증가할진 모르겠지만 판매량은 전기차 시장이 커지는 한 큰 이변이 없다면 매년 꾸준히 증가할텐데
저 마진율을 계속 유지하거나 아님 더 높은수준에서 꾸준히 판매량만 증가해준다면
계산상으로 이익 증가가 매년 어마어마하다는 결론이 ㄷㄷㄷ
@끔찍이7호
- 타사보다 훨씬 싼 배터리 단가
- 내재화와 통합화로 부품 단가 인하
- 2.5만명이 50~70만대 생산인데, 1.2만명으로 비슷하게 생산하는 공장 자동화
- 딜러, 광고비가 없는 100% 온라인 판매
- 프리미엄 차량 주종인 높은 가격
몇가지가 생각 나네요..^^)a
@끔찍이7호 가장 큰게 탄소배출권입니다
2. 앞으로는 자율주행 구독권이 수익의 큰비중이고요
최근 월 20만원정도로 한다고했던것 같던데요
자율주행만 매년 240만원×1천만대=24조원 수익얻을듯요^^
@january핸폰
FSD 구독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전체 구매자의 5프로 제도요? 나중에 베타가 아닌 진정한 FSD가 나오면 좀 달라지겠지만요,,
천슬라 역행하지마라
최근 공장 신설 계획 보면 반절만 매도하고 계속 묵혀야 할까 싶네요.
지금 구매하면 올해 안에 출고 되나요?
지금 계약하시면 내년 2분기 이후에나 출고될 것 같네요.
올해 5월 이후 계약자들도 내년 1분기일거예요.
800에다정리..ㅜㅜ..
이런 글이 올라올때쯤이면 수익실현해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