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News & Comments(10/15)_4
■ 반도체 이재윤(02-3770-5727)
▶️글로벌 반도체 기업 주가
- 상승: TEL +5.2%, Lam Research +4.3%, Western Digital +4.3%
▶️News & Data
중국 전력난으로 반도체 칩 리드타임 22주
- link: https://bit.ly/3p5611I
AI 프로세서, 스마트폰 이어 무선 이어폰으로 탑재 확대
- link: https://bit.ly/3BHXCEU
▶️코멘트
TSMC실적발표
- link: https://reut.rs/3FRmWLc
- 3Q21 당기순이익 56억불로 시장 컨센서스 대비 5~10%상회, 4Q21 매출 가이던스 154억불~157억불로 시장 예상 소폭 상회
- 3Q21 Capex 68억불(QoQ +11%), 4Q21 Cpex는 70~80억불에 달할 전망, 22년까지 파운드리 공급 부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 TSMC Capex 증가에 따른 수혜는 원익QnC(074600)에 집중될 전망이고, 파운드리 공급 부족 지속에 따른 수혜는 DB하이텍(000990). 특히 8인치 파운드리 공급 부족은 12인치대비 장기화될 전망
■ 디스플레이/이차전지 김광진(02-3770-5594)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Ningbo Shanshan +5.8%, UDC +2.1%, Sumitomo +2.0%
- 하락: TCL -2.0%, Baoan -1.5%, BOE -1.0%
▶️코멘트
'에코프로이엠' 21일부터 NCA 양극재 생산
- link: https://bit.ly/3DEL81j
- 21일부터 CAM6 가동 시작. 하이니켈 NCA(니켈함량 88%) 양극재 생산 예정이며, 삼성SDI Gen5 배터리 공급
- 에코프로이엠은 Gen5 배터리 뿐만 아니라 리비안에 탑재되는 21700 원통형 셀에도 양극재 공급
- 삼성SDI의 하이엔드 배터리용 양극재 단독 벤더로써 향후에도 중추적인 역할 담당
- CAM6에 이어 CAM7(54,000톤) 증설을 통해 '23년까지 약 9만톤으로 Capa 확대 예정
- 삼성SDI 미국 진출 시 양극재 벤더로 동행 유력하며 이를 감안할 경우 에코프로이엠 Capa는 추가 확대될 것
■ 전기/전자 백길현(02-3770-5635)
▶️글로벌 전자부품 기업 주가
- 상승: Whirlpool +3.2%, Skyworks +3.2%, Qorvo +2.8%
- 하락: Largan -3.9%, Electrolux -0.3%
▶️News & Data
'갤럭시S22 울트라' 렌더링 보니...S펜 슬롯·11자형 카메라
- link: https://bit.ly/3DIwtlH
삼성전자, 中서 300만원대 폴더블폰 'W22 5G' 발표
- link: https://bit.ly/30smtyK
'화면 커지고 충전 빨라지고'...애플워치7, 15일 공식 출시
- link: https://bit.ly/3j32KMw
▶️코멘트
LG이노텍, 애플·MS에 VR 기기용 ToF 공급
- link: https://bit.ly/3DDdYz6
- 업계에 따르면 LG이노텍은 내년 출시 예정인 북미 A사와 M사의 VR/AR 3D ToF 모듈을 주력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파악.
- 또한 LG이노텍은 이미 출시돼 판매 중인 페이스북의 VR 헤드셋인 Oculus Quest 제품에도 카메라 모듈을 납품 중인 것으로 알려짐.
- 당사는 애플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XR 디바이스 시장 성장을 견인하며, 시장 성장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전망. 이에 내년 애플의 XR 디바이스 출하량은 300~400만대 초도 물량 수준 일 것으로 추정
- 또한 향후 AR/VR 디바이스 사용자의 몰입감 강화를 위해서 카메라모듈 스펙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하며, 화소 업그레이드와 고사양 ToF 카메라모듈 탑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
- 2022년 북미 A사의 XR디바이스(VR/AR) 출시 모멘텀이 연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A사내 입지를 강화해온 LG이노텍의 긍정적인 주가 흐름 예상
■ 화학/정유 황규원(02-3770-5607)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DuPont +2.9%, ExxonMobil +1.5%, BASF +0.3%
- 하락: Formosa Plastics -1.3%, LUKoil -0.8%
▶️News & Data
배터리업계 “충전 시간 줄여라”…음극재에 사활 건다
- link: https://bit.ly/3DH1MgF
프타·부타디엔·비스페놀 급등… 석화업계 3분기 실적 어쩌나
- link: https://bit.ly/3DFKKzA
Analysts raise EU carbon price forecasts as gas rally drives up coal power
- link: https://reut.rs/3p53hRY
(주간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동향)
- 2020년 4분기 1.2$ → 2021년 3분기 3.9$ → 2021년 9월 5.2$ → 10월 2주 6.9$/배럴 (과거 평균 5.8$, 손익분기점 4.0$) → 2021년 10월 14일 6.92$
(중국 석화제품 가격 동향, 10월 14일)
- 상승폭 大: 클로로포름 +5.21% 폴리실리콘 +4.65% LLDPE +4.54% 하락폭 大: DOP △2.07% 초산 △1.80% EG △1.53%
■ 철강/금속/자동차 이현수(02-3770-5718)
▶️글로벌 철강/금속 기업 주가
- 상승: U.S. Steel +4.6%, ArcelorMittal +3.0%, Nippon Steel +1.1%
- 하락: Baoshan -0.4%
▶️글로벌 자동차 기업 주가
- 상승: Daimler AG +2.0%, Volkswagen +1.4%, Tesla +0.9%
- 하락: GM -0.1%
▶️News & Data
하반기 철근 시장 기대감 떠안은 11월, 이유는?
- link: https://bit.ly/3FQz66I
中 포두강철 12월 선적분 아연도금강판 수출 오퍼 가격 인하
- link: https://bit.ly/3DCc4i0
현대차 북미사장 "내년 미국서 전기차 생산 목표…앨라배마 공장 증설"
- link: https://bit.ly/2YURefh
현대차·기아, 친환경에너지 보급 앞장..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실증 착수
- link: https://bit.ly/3mWhnT3
대만 TSMC, 日에 반도체 공장 신축...2024년 가동
- link: https://bit.ly/3AH2AQX
명신, 군산공장서 패러데이퓨처 전기차 위탁생산. 中 중국 웨이마(威馬)도 협의 중
- link: https://bit.ly/2YRGYUQ
쉐보레 볼트 EV. EUV, 배터리 부족으로 10월 말까지 생산 중단 연장
- link: https://bit.ly/3DNxklj
■ 건설/건자재 김기룡(02-3770-3521)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Technicas +2.1%, Fluor +1.3%, Saipem +1.1%
- 하락: JGC -1.1%, Chiyoda -0.5%
▶️News & Data
“대장동만 고분양가 특혜” 지적엡HUG “예외 없었다”
- link: https://bit.ly/3DKQbgP
대장동 사태에 화들짝…도시개발사업 '분양가상한제' 추진
- link: https://bit.ly/2Xanyd4
'전세대출 중단없다' 정부 방침에 전세 실수요자 "한숨 돌렸다"
- link: https://bit.ly/3lDPxvh
문대통령 "실수요자 전세·잔금 대출 차질 없게 하라"
- link: https://bit.ly/3lDAGB4
'매물감소·대출 중단 영향'…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둔화
- link: https://bit.ly/3mSdVZA
송파·양천·노원, 국토부 장관에 "재건축 규제 풀어달라" 요청
- link: https://bit.ly/3FKXu9W
서울시의회 "오세훈, '김헌동' 고집…모든 수단 동원할 것"
- link: https://bit.ly/3aAu53N
개편했는데도…부동산원 매매가격지수 상승률 KB와 2배 차이
- link: https://bit.ly/3BGIKXa
강남구 "서울의료원 공공주택 3000호 대체부지 건의"
- link: https://bit.ly/3lI1hgq
▶️코멘트
폐기물 '큰손' 떠오른 쌍용C&E, 계열사 설립·M&A 박차
- link: https://bit.ly/3DBXdUY
- 쌍용 C&E는 올해 3월 사명 변경(쌍용양회 → 쌍용 C&E)과 함께 2025년까지 환경 부문 EBITDA 비중을 50% 수준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
- 이후 다수의 폐기물 처리업체 인수를 통해 그린에코넥서스, 그린에코로직스, 그린에코김해 등을 계열사로 편입
- 지난 3월 폐기물 처리 전문 업체인 그린베인(현 그린에코솔루션) 인수 이후 그린에코솔류션을 폐기물 사업 중간 지주회사로 한 수직계열화 체제 갖춰나가며 환경 사업 비중을 높여갈 전망
- 2021년 상반기 기준, 환경자원 부문 영업이익은 495억원으로 전체 영업이익 1,121억원 대비 약 44%
■ 통신서비스/지주회사 최남곤(02-3770-5604)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AT&T +1.3%, Siegfried +1.2%, Verizon +1.1%
- 하락: Plug Power -5.3%
▶️News & Data
월 9천900원에 택시·주차 할인…'티맵 플러스 프리미엄' 출시
- link: https://bit.ly/3FXLodQ
SK에코플랜트, 연료전지 핵심부품 국산화 추진
- link: https://bit.ly/3aFZ6U0
■ 인터넷/게임 이창영(02-3770-5596)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Paypal +3.9%, Google +2.6%, Microsoft +2.1%
- 하락: Baidu -0.7%, EA -0.5%
▶️News & Data
위메이드 '돈 버는 게임' 승부수 통했다…'미르4' 잇단 신기록
- link: https://bit.ly/2YNTxR1
■ 화장품/음식료 박은정(02-3770-5597)
▶️글로벌 화장품 기업 주가
- 상승: Shiseido +3.0%, Kering +2.8%, KOSE +2.1%
- 하락: YSG -5.8%, Proya -2.3%, Shanghai Jahwa -0.8%
▶️글로벌 음식료 기업 주가
- 상승: Philip Morris +1.4%, MDLZ +1.1%, PepsiCo +0.8%
- 하락: EVK -0.4%, Asahi -0.4%
▶️News & Data
美, 백신접종 외국인 입국 전면 허용…“육로·해로도 포함”
- link: https://bit.ly/2Xj1sFy
中 화장품 소비증가율 8월 0%...하반기 업계 개편 가속화
- link: https://bit.ly/3BPJVnu
프랜차이즈 양극화 심화...화장품 가맹점 줄고 있다
- link: https://bit.ly/30msahr
하반기 '한정판'으로 진입각 노린다
- link: https://bit.ly/3BMrEHm
美 FDA, 액상형 전자 담배 첫 판매 승인..."흡연자에 도움"
- link: https://bit.ly/3vdu3Zb
오리온, 中 감자농장 파트너십 강화…지속동반 성장전략 차원
- link: https://bit.ly/3ACr8dK
라면 가격에 민감한데…한 봉지 '2200원짜리' 선보인 하림
- link: https://bit.ly/3mToOu0
오늘부터 '남양유업' 우유가격 올라… hy도 인상 예고
- link: https://bit.ly/3j4l2wH
▶️코멘트
하림 라면시장 진출 관련 코멘트
- link: https://bit.ly/3p7GrsK
- 하림, 전일 라면시장 진출 발표
- 개당 2.2천원 프리미엄 라면 출시. 기존 플레이어와 타겟 고객층에 있어 차이 있을 것
- 채널, 가격 경쟁력이 보다 우선한 카테고리로 기존 플레이어에 위협이 되지는 않을 전망
■ 제약/바이오 서미화(02-3770-5595)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Athenex +7.0%, Arrowhead +5.5%, Arvinas +3.4%
- 하락: Immunovant -1.1%
▶️News & Data
'동아에스티 투자' 뉴로보,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효과 긍정적
- link: https://bit.ly/30shBcW
'메디톡스 파트너사' 다이아딕, 코로나 백신원료 방글라데시 수출 추진
- link: https://bit.ly/3lEGlH4
11월 밀라노서 세계 의약품 전시…삼성 등 K-바이오 출동
- link: https://bit.ly/2YMFHy7
▶️코멘트
삼바,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본생산…GMP 인증 전 물량 확보
- link: https://bit.ly/30um1jt
- 식약처 인증 후 즉시 공급할 수 있게 상업용 생산 진행 '출격 대기'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모더나 백신 제조시설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실태평가가 아직 끝나지 않은 상태로 모더나 DP생산에 대한 매출은 3분기보다는 4분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아보임
■ 소매/유통 이진협(02-3770-5659)
▶️글로벌 유통 기업 주가
- 상승: Coupang +3.1%, Macy's +2.8%, Target +2.3%
- 하락: Aeon -0.5%
▶️News & Data
SSG닷컴, 네이버 장보기 입제온·오프라인 협업 본격화
- link: https://bit.ly/3aFyfHT
[단독]신세계, 부산 센텀시티에 80층 높이 호텔 짓는다
- link: https://bit.ly/3vatz6d
이마트24, 말레이시아 젊은층 겨냥 썬웨이대학 인근에 5호점 열어
- link: https://bit.ly/3DGJNHq
제주 첫 '프리미엄 전문점' 15일 개장…상인 갈등 여전
- link: https://bit.ly/3BVDXBz
롯데면세점, 김해공항 출국장 면세점 신규 사업자로 낙찰
- link: https://bit.ly/3BGinRa
야놀자, 인터파크 사업부문 지분 70% 인수
- link: https://bit.ly/3p5Q37k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물난리 소동…노후 배관 연결부 파손
- link: https://bit.ly/3AH1NiL
조성욱 공정위원장 "'갑질' 플랫폼, 시장 지배력 없어도 규제"
- link: https://bit.ly/2Xbdz7o
▶️코멘트
롯데백화점 첫 희망퇴직에 수백명 몰렸다
- link: https://bit.ly/2Xbe4OO
- 롯데쇼핑, 백화점부문 3Q21 기존점성장률은 +7% YoY 추정. 업황이 우호적이나, 희망퇴직 관련 일회성 비용과 동탄점, 의왕점 등 신규 점포 출점 일회성 비용으로 전년대비 감익이 불가피할 전망. 당사는 3Q21 백화점 영업이익 660억원(-15% YoY) 전망
- 해당 일회성 비용은 향후 고정비 감소, 외형 성장을 이끌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이라 부담이 크지 않고 오히려 긍정적이라 판단
- 한편, 롯데백화점의 9월 기존점성장률이 현대백화점 수준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 기존에는 명품의 성장이 백화점의 성장을 드라이브 하는 현 상황에서 명품의 매출 비중이 낮은 롯데백화점의 기존점성장률이 경쟁사 대바 열위에 있으나 이 부분이 반등이 나타난 것
- 이에 대해서는 의류 매출의 반등도 한 몫 했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최근 대형점과 중소형점의 리뉴얼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판단. 대형점의 경우, 명품과 골프 등 MD를 강화 중. 중소형점의 경우 집객이 가능한 차별화 MD(예: 콘란샵) 등을 구비하면서 집객에 힘쓰고 있는 상황 (link: https://bit.ly/3AB3Tkp)
- 리뉴얼 효과로 열위에 있던 동사의 백화점 경쟁력을 끌어올려줄 수 있는 지가 주목됨 (link: https://bit.ly/3FWwKDJ)
■ 은행/증권/보험 정태준(02-3770-5585)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Morgan Stanley +2.5%, MetLife +2.1%, JPMorgan Chase +1.5%
- 하락: MUFG -1.0%
▶️News & Data
- 10월 14일 거래대금 21.6조원 (vs. 2020년 평균 23.0조원, 1Q21 평균 33.3조원, 2Q21 평균 27.1조원, 3Q21 평균 26.3조원)
- 10월 13일 신용공여 잔고 42.1조원 (vs. 2020년 평균 30.4조원, 1Q21 평균 39.3조원, 2Q21 평균 41.7조원, 3Q21 평균 44.1조원)
▶️코멘트
시중은행 이어 지방은행까지 대출중단 '패닉'…당국 은행 임원들 소집
- link: https://bit.ly/3mQvFEC
- 시중은행에 이어 지방은행까지 신규 대출이 중단됨에 따라 금융당국이 전세대출과 잔금대출을 다시 재개하려고 한다는 내용
- 대출 공급에 비해 수요가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당국에서 추가 대출을 허용한다면 높은 금리를 유지하면서 확대할 수 있을 전망
- 그러나 유동성 축소 기조가 바뀐 것은 아니라는 판단. 11월과 내년 초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 이후 기준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를 통해 부동산 가격을 진정시키겠다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고수한다면 1) 유동성 축소에 따른 약세장의 연장과 2) 은행 NIM의 추가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유안타 리서치센터 기업분석팀 채널
유안타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채널
유안타 티레이더 인포 채널
www.myasset.com/tradarinfo
유안타 리서치센터 카카오톡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