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경기 둔화라고 해도..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아무리 경기 둔화라고 해도..

소프트코어 10 51

코로나 이전 연평균성장률이 2%대에서

내년 imf 가 세계경제 성장전망은 낮추면서도

한국만 4.3%로 유지한건  지난 17, 18년 성장보다 높다는 건데,  큰 사단이 나지 않는한

2700아래로 내려가긴 어렵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다만 장기로 보면 노령화때문에 다시 

꺾여 내려갈 것 같은 생각이네요. 인구 많은 나라로 투자를 해야겠죠?

10 Comments
mericr… 2021.10.14 23:58  
저도 비슷해요. 지금 코스피 적정가격은 2700정도라고 봅니다. 내년까지도 2700 정도는 지켜줄거 같은데 그 이후가....
조미운 2021.10.14 23:58  
전세계가 작년 3월 정도로 다 같이 꼬라박는 게 아니라면, 코스피 2700은 상대적으로 최근 10년 중 상대적으로 코스피가 가장 저평가 되는 레벨로 봅니다. 2700 아래로 내려가면 원칙을 깨고 대출 땡겨서라도 저는 더 줍겠습니다.
smoon 2021.10.14 23:58  
그런데...노령화 때문에 과연 한국 기업들 이익이 꺽일까 싶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내수보다는 수출중심 기업이고 로봇 이용률이 세계 인구대비 제일 높기도 하고요.. 한국 기업들 실적은 세계 경기와 연관이 더 크지 않을까 싶네요... 특히 미중간의 대립이 격화된다면 타격이 더 커지지 않을까 싶어요.
귀토레미 2021.10.14 23:58  
@smoon님 동의합니다.
ProNAS 2021.10.14 23:58  
인플레 상황에서 2700은 저렴하다고 생각합니다. 심리 노선으로 2700 2800에서 강한 매수 벤드라.. 반등하게 될 것인데.. 매도 사학쟁이들이 2400까지 밀어버릴지도 모르는데.. 남북경제 협력만 재개 된다면 4000 어렵지 않을 건데요.. 하여튼.. 슬슬 매수시점이 다가 옵니다.
mdkapp… 2021.10.14 23:58  
코스피에 투자하진 않지만 노령화는 의외로 중국이 심각하고 한국은 지속가능한 경제체제가 구축되는 거 같습니다. 세계 경제/신용평가 단체에서도 그래서 한국의 성장률을 높게 보고 있고요. 한국이 앞으로 성장하는 산업에도 적절히 투자가 되고있고, 기존의 산업도 잘하고 있고 (HMM, 포스코 등) 의외로 튼튼하죠. 개인적으로는 이라크 아프간전과 리만사태로 00년대에 힘들었던 미국이 2020년 이후에는 다시 부흥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만도 주목받지는 못하지만 반도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잘 크고 있네요. 유럽이랑 일본이 오히려 좀 뭔가 이상합니다.
Fortun… 2021.10.14 23:58  
인구절벽 고령화에서 경계해야되는 업종이라면 내수 화장품주, 백화점 , 교육주, 대형 의류회사 같은 종목들인데 이미 지금도 어느정도 그 여파 반영된 곳 많습니다. 개중엔 소비 양극화 노리고 이미 부유층의 주머니를 주력으로 노리는 생존방향으로 개편된곳 많습니다. 대부분 코스피 상위종목 시총과 관련없습니다. 코스피의 대부분인 상위대형주는 결국 글로벌 제조업 사이클 수출주 반도체 , 차화정 철강 같은 종목입니다.
사람이사람답… 2021.10.14 23:58  
공매도의 순기능으로 코스피 2700 가는거군요.
귀토레미 2021.10.14 23:58  
단순 인구보다는 생산성이 더 중요하죠.
소프트코어 2021.10.14 23:58  
@귀토레미님 그건 수출쪽에서 보면 그렇습니다. 그러나 내수인구 몇백만이 줄어든다는 건 내구재. 건설. 육아. 내부소비. 도로정비등 생각보다 파급력이 크거든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