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를 Fire 하라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FIRE를 Fire 하라

hobodo… 17 238

미래에셋 투자와 연금TV에 방금 올라온 영상입니다. 


- 100세 시대에 너무 이른 은퇴는 오히려 리스크일 수 있다. 

- 인적자본에 투자하라. (회사 오래 댕겨라…ㅎ)


궁금하고 고민이 되던 부분을 짚으시니, 공감이 되네요.



17 Comments
hobodo… 2021.10.11 02:32  
유튜브 영상입니다.

야하하하 2021.10.11 02:32  
@hobodon님 영상 잘봤습니다. 보고 몇가지 드는 생각들이 있어서 주저리 남겨봅니다. 일단 김경록대표님은 자산관리사로서의 측면에서 FIRE족을 접근하시는 거 같습니다. FI는 취하고 RE는 재고하라는데 이건 아무 의미가 없죠. FIRE족은 자산관리 측면이라기보다 오히려 라이프스타일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봅니다. 저축액을 늘리면서 자기개발을 소홀히 하는 게 아니라 돈을 적게 들면서라도 자기 인생에 더 시간을 들이고 충실하자는 게 FIRE족이죠. 그리고 투자에 있어서도 높은 수익률을 추구한다기보다 인덱스 펀드 등에 넣는 적립식 투자를 지향하는 게 FIRE족에 더 맞다고 봅니다. 그게 아니고 적극적인 투자운용은 FIRE족이라기보다 전업투자자라고 봐야 하구요. FIRE족의 정점은 소비를 줄이고 삶을 유지하는 데 불필요한 비용들을 줄여서 생계에 필요한 소비 정도로 살아가고, 그 대신 돈을 벌어야 했던 시간들을 내가 좋아하는 것들에 투자하는 것에 있지 않나 봅니다. 김경록 대표님이 말한 FI는 취하고 RE는 버려라는 그냥 기존의 자산관리 측면에서 성공적인 자산관리하는 방법정도이지, FIRE족이 생기고, 그 운동들이 의미하는 바는 잘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hobodo… 2021.10.11 02:32  
@야하하하님 맞습니다. 수익의 극대화가 파이어의 원래 취지는 아니죠. 말씀 대로, 수입이 적어도 절약해서 뜻하는 대로 살자는 게 파이어니까요. 최근 파이어 관련 글을 여기 게시판에 몇 개 올렸는데, 답글 읽으면서 비슷한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현재 유행중?인 파이어의 개념은 부의 극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왕창 벌어서 젋을 때 플렉스 하겠다는 생각에 가깝다고 보입니다. 이 영상은 그런 유행하는 생각과는 조금 차이가 있고 (회사 오래 다니며 최대한 시간을 벌라는 얘기), 또한 언급하신 순수한 파이어 개념과도 거리가 있습니다. (이도저도 아닌 증권사 홍보 영상이라 보고 넘기기엔 내용이 괜찮다고 생각해서 공유해 봤습니다…) 지난 주 읽은 파이어 개념의 초창기 버전인 “돈이야 인생이냐”를 읽으며 충격을 느낀 이유가 바로 그런 점이었던 거 같습니다. 자본소득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정도 이후의 철학적인 부분, 그 이후 무엇을 하며 시간을 뜻깊게 보낼 것인가. 전 학교와 회사 생활에 찌들려 수십년을 살아온 탓인지 “그 이후”의 삶에 대한 생각이 당최 떠오르질 않네요 ㅎㅎ 그 부분이 아직 숙제입니다.
우리리리 2021.10.11 02:32  
사실 뭐 애초에 이 걱정을 하는 사람이면 파이어족이 될 수가 없죠. ㅋㅋㅋ 파이어족이 되는분들은 보통 이 걱정을 안 하죠. 파이어족을 하고 싶어하는데 못하는 사람들이 보기 좋게 만든 컨텐츠죠.
판디 2021.10.11 02:32  
계속 회사 다니면 FIRE족이 아닌데 무슨 의미가 있는건지;;; 파이어족이 될려는거는 은퇴 빨리하려고 하는거고 FI가 수단인데.. 목적인 RE를 버리라고 하면.. 이 컨텐츠는 고객이 뭘 원하는지 고민하지 않고 내가 하고 싶은 얘기만 하는게 되는 거죠..
hobodo… 2021.10.11 02:32  
@판디님 전에 다른 파이어 글에도 적었지만, 일단 전 E는 이번 생엔 글렀습니다. ㅎㅎ 기껏해야 FIR…
엔별 2021.10.11 02:32  
RE 하려고 FI 하는거라서… 접근이 다르네요
백수한량 2021.10.11 02:32  
FI은 기본인거고 RE는 선택인거죠 ㅎㅎ 노동이란게 반드시 금전적인 보상만을 위해서 하는 건 아니니까요 FIRE의 다양성이나 본질적인 의미에 관해서는 미국 사람들 이야기가 훨씬 와닿더라구요 Kristy Shen이라는 분이 쓴 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도 번역되어 있어서 굉장히 읽어볼만 합니다 다만 해외 도서의 단점으로, 구체적인 투자방법은 우리 현실과 조금 맞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뱅가드 계좌를 판다던지, 환율 고려해야 한다는 점 등)
hobodo… 2021.10.11 02:32  
@백수한량님 책 소개 감사합니다. 한 번 찾아봐야겠네요. 공감합니다. 금전 보상을 넘어서, 직장 자체가 즐거울 수도 있으니까요. 거기서 배우는 것도 있고, 솔직히 근로소득을 넘어서는 자본 소득을 만든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영상에 나오 듯, 현재 유행하는 파이어의 개념은 (왕창 벌어서 플렉스) high risk high return에 가까운 개념이고, 그게 감당이 안되는데 무리할 필요는 없겠죠.
덴디 2021.10.11 02:32  
아빠가 부자됐으면... 아 이미 돌아가셨지 참... 내가 부자되어야 =3=3=3
니가가라하와… 2021.10.11 02:32  
일할수 있다면 일하는게 더 좋지않나요? 왜 그만둘려고 하는건지
오늘만참아줘 2021.10.11 02:32  
@니가가라하와이로님 스스로 생각할때 의미없는 일에 시간을 쓰고 싶지 않아서 파이어족이 되려는거니까요. 만족하는 일이라는 굳이 은퇴할 필요가 있나요. 그래도 은퇴는 선택이 될수 있다는 점에서 더 행복하겠죠
hobodo… 2021.10.11 02:32  
@니가가라하와이로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직장이 다 지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경우에 따라선 천국일 수도…
GoldLa… 2021.10.11 02:32  
젊을 때 백수 건달 하려고 파이어족 하는 건데 뭔 소리죠..
daysle… 2021.10.11 02:32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저도 40 전에 은퇴하려고 준비하고 있었는데 재밌게도 모든걸 놓아버리니 오히려 승진에다가 연봉도 오르고 굳이 일을 그만둘 필요성이 없을 정도로 업무 환경이 좋아졌습니다. 주위의 경제적인 자유를 이루고도 직장을 그만두지 않은 분들은 직장에서 삶의 의미를 충분히 찾고 계시는 분들이더군요. 그런 분들은 오히려 은퇴했다가 다시 일을 하고 싶어젔다는 경험담도 많았습니다.
hobodo… 2021.10.11 02:32  
@daysleep님 공감합니다. 관점의 차이가 생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죠. 내 직장이 다른 사람의 직장과 다르기에 그걸 받아들이는 생각은 다 다를 거라고 봅니다. 영상에서 배운 점은 경제적 독립 이후 무언가 하고자 하는 게 뚜렷하지 않다면 굳이 무리해서 은퇴를 하는 건 오히려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는 겁니다. 경제적 독립 상태를 유지 하고, 동시에 직장 생활도 유지 하면서 정말 원하는 걸 찾아갈 수 있다면 금상첨화라고 생각합니다.
기적 2021.10.11 02:32  
지금 3040십대는 기대수명이 백세가 넘기 때문에 왠만하면 오래다니면서 주말에 연휴에 놀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걸 준비해도 된다고 봅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