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는 기술적으로 내연기관 보다 만들기 쉽다는 오해가 있는거 같습니다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전기차는 기술적으로 내연기관 보다 만들기 쉽다는 오해가 있는거 같습니다

mericr… 59 242

테슬라가 전기차가 주목받고 있을 때 


증권사에서 흔히들 내놓은 평이 아래와 같았습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보다 기술적 난이도가 쉽다.


기존 내연차 회사들이 기술이 없어서 못만드는게 아니다.


아직 전기차를 팔아서 수익을 낼 수 있을 만큼 배터리 가격이 하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만들지 않고 있는거다.


기존 내연차 회사들이 본격적으로 전기차 만들기 시작하면 테슬라보다 완성도 높은 자동차를 만들거기 때문에


현재의 테슬라 밸류는 너무 비싸다!


뭐 대충 이런 평이었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이 말을 믿었습니다.


내연차보다 전기차가 구조적으로 간단해 보이는게 사실이니까요.


그런데 21년에 기존 내연차 회사들이 대거 전기차 플랫폼을 도입해서 신차를 출시했는데요.


저는 이 때 큰 실망을 했고 기존 내연차 회사들과 테슬라의 기술력이 넘사벽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일단 테슬라가 압도적으로 앞서있는 소프트웨어 기술과 NPU설계기술은 아예 논외로 하고 구동계 하드웨어만 살펴보면요.


이번에 현대차, 폭스바겐에서 출시한 전기차 플랫폼을 도입한 신차들의 스펙을 살펴보시면 둘다 굉장히 비슷합니다.


출력과 주행거리가 비슷해요. 


서로 다른 플랫폼을 쓴게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로 비슷한 출력에 비슷한 주행거리를 지녔습니다.


21년 현재 진행형으로 출력과 주행거리면에서 테슬라가 압도합니다.


전기차의 동력 전달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배터리(직류) -> 인버터(직류->교류) -> AC모터(교류) -> 변속기(1단, 고정기어비) -> 바퀴


저는 여기서 인버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인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는 장치로 만들기 위해서는 전력반도체 설계기술이 필요합니다.


현대는 이 인버터를 Vitesco라는 회사에서 납품을 받습니다.


폭스바겐도 Vitesco로부터 인버터를 납품 받습니다. 폭바와 현대의 전기차 스펙이 비슷한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테슬라는 인버터도 자체설계합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 == 전기차의 인버터+모터


인버터와 모터가 전기차 구동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직 내재화조차 못한 상태입니다.


이것만 봐도 전기차 기술에 있어서 테슬라와 기존 내연차 업체들은 아직도 넘사벽의 기술장벽이 존재합니다.

59 Comments
쏘-군 2021.09.29 13:56  
테슬라가 그냥 전기차 구동계 소프트웨어는 최고 수준은 맞습니다. 다만 차라는 그차제는 아직이죠... 승차감이나 마감이나...이게 단기간 금방 되는것도 아니니.... 전기차 구동계.. 그 기술력 차가 벌써 10년 넘게 전기차 만들어온 테슬라에.비해 이제 본격적으로 만들어보는 기존 차량들 차이가 나는데... 이제 시작이라. 그래도 시작이라쳐도 현대 정도면 차량으로 괜찮다고 봅니다. 기술을 가지고 있는것도 좋지만. 기술이 안돠면 사와서 쓰는것도 좋죠... 차량회사 미션도 이상한걸로 만들지 말고.. zf 사서 쓰면... 그게 문제는 비용문제이니... 차량이 성능이 좋은것도 중요한데. 그가격에 그정도 편하고 관리가 쉽다면 사는거죠...
mericr… 2021.09.29 13:56  
@쏘-군님 네 물론 사와서 쓰는게 나쁜건 아닌데요. 현대차그룹 정도 되는 덩치면 장기적으로 내재화 하는게 훨씬 이득입니다. 그리고 사와서 쓰다 보니 폭스바겐과 현대차 플랫폼 사이의 차별화도 없게 되버렸죠. 기술을 내재화하면 메이커의 색을 반영해서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니까요. 테슬라의 루디크러스모드 같은 식으로요.
조미운 2021.09.29 13:56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차가 더 만들기 쉽다는 건 사실 아닐까요? 수많은 스타트업들이 생기고 있고, 이미 실제로 잘 굴러가는 양산 자동차를 만들어내는 신생 기업이 한둘이 아니라... 물론 아직 테슬라처럼 규모 있는 물량을 만들어내는 업체는 몇개 없지만요.
mericr… 2021.09.29 13:56  
@조미운님 네 현행 스타트업들은 좀 더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테슬라도 양산단계에서 혹독한 신고식을 치뤘으니까요. 테슬라조차도 양산단계의 QC를 아직도 잡지 못하고 있기도 하고요. 만들기 쉬운건 기존 내연차도 마찬가지입니다. 마그나 슈타이어에 껍데기만 디자인해서 만들어달라고 하면 다 만들어줍니다. 문제는 기술을 내재화 하지 못하면 메이커만의 특색을 만들어내는데 한계가 있다는 거지요.
조미운 2021.09.29 13:56  
@mericrius님 그건 마그나가 만드는 거잖아요..?
mericr… 2021.09.29 13:56  
@조미운님 내연차도 부품을 사오면 만들기 쉽다는 이야기 였습니다. 엔진 변속기 플랫폼 전부 완제품으로 사오면 내연차 만들기도 어렵지 않으니까요
Das_ 2021.09.29 13:56  
스타트업 달라붙는거만 봐도 기술 난이도는 내연기관보다 만만한건 사실이라고 봅니당
mericr… 2021.09.29 13:56  
@Das_님 사다쓰면 되긴 합니다. 근데 사다쓰는 방식으로는 분명히 성장이 한계에 부닥칠겁니다. 아직 스타트업중에 테슬라 제외하고 제대로 된 성과를 보여준 예도 없고요. 그리고 스타트업도 달라붙어서 하고 있는 쉬운걸 현대차그룹이 왜 아직도 내재화 하지 못하고 독일에서 사다 썼는지... 이것으로 답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쉬울지는 몰라도 테슬라와 기존 내연차 기업 사이의 기술력 차이는 넘사벽입니다.
015105… 2021.09.29 13:56  
내연기관 보다 만들기 쉬운거 맞습니다. 벤츠 따라잡기 보다 테슬라 따라잡기가 더 쉽습니다. 테슬라가 만드는 내연기관차(만들 이유가 없지만) 보다는 벤츠가 만드는 전기차가 더 좋습니다. 다만 내연기관 잘만든다고 전기차도 잘 만드는게 아니니 별 중요한 문제는 아니죠. 말장난이지.
mericr… 2021.09.29 13:56  
@0151052님 기존 내연차 업체들이 아직 핵심기술의 내재화 조차 못하고 있다는 걸 지적하고 싶었습니다.
소프트코어 2021.09.29 13:56  
디테일은 빼더라도 일단 엔진개발이 필요 없다는 것만해도 기존 내연기관보다 허들은 낮아보이는데요. 자동차 만드는 회사가 기계만들다 디지털로 가는거 어려운거지요
mericr… 2021.09.29 13:56  
@소프트코어님 위 글에서 언급했듯이 인버터+모터가 전기차의 엔진이라 할 수 있는데 아직 필수기술도 내재화 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소프트코어 2021.09.29 13:56  
@mericrius님 메이커들이 다 내재화 할 필요는 없습니다. 현대차 수소차도 혼자 하는게 아니라 협력사에서 많이 받잖아요. 전기차만해도 모터는 lg같은 곳에서 받고 배터리도 타사에서 받고..
mericr… 2021.09.29 13:56  
@소프트코어님 필수기술은 내재화 합니다. 자동차 빅 메이커 중에 엔진기술을 내재화 하지 않은 메이커가 있나요?
소프트코어 2021.09.29 13:56  
@mericrius님 내재화가 어렵단 말씀이시가요? 만들기가 어렵다고 하셨잖아요. 사다써도 내연기관에서 불가능한 포르쉐급 출력을 만들수 있는게 전기차잖아요 포드만해도 카누에 설계 맡기고 벌써돌아다니는 전기차가 있습니다. 개발속도만 봐도 난이도가 낮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mericr… 2021.09.29 13:56  
@소프트코어님 네 쉬웠으면 벌써 내재화 했을겁니다. 현대도 앞으로 내재화 하겠다고 한걸로 압니다.
Modera… 2021.09.29 13:56  
변속기 / 엔진 못 만들어도 내연기관차 만들 수 있잖아요. 그냥 그렇게 보는 게 기존 자동차 산업이죠. 하지만 그런식으로 따지면.. 현대가 변속기/엔진 개발을 등한시 했다면 아반떼 N 같은 건 불가능했겠죠
mericr… 2021.09.29 13:56  
@Moderate님 네 맞습니다. 그런면에서 기술적으로 기존 내연차메이커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국물없소 2021.09.29 13:56  
테슬라의 주행거리가 압도적이라는 말은 금시초문입니다. 자율주행 말고는 다른 차 회사들보다 앞서는 것은 딱히 없어보이는데요.
mericr… 2021.09.29 13:56  
@국물없소님 출력과 주행거리 효율에서 테슬라가 우위로 알거 있는데요. 테슬라 모델3 롱레인지가 528 인증 받지 않았나요? 아이오닉5는 400 초반으로 기억합니다.
푸른닭 2021.09.29 13:56  
@mericrius님 아이오닉5는 모델Y와 비교해야 할텐데, 그냥 딱 배터리 용량 차이만큼 납니다. 전비는 별 차이 없어요.
mericr… 2021.09.29 13:56  
@푸른닭님 모델Y 4WD 롱레인지 5.4 Vs. 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4.9 자동차에서 10% 효율 차이는 엄청난겁니다. 거기다가 아이오닉5는 2륜구동이죠. 4륜으로 테스트하면 전비 더 까입니다. 출력은 모델Y가 2배 이상이고요. 거기다가 모델Y는 타이어폭도 아이오닉5보다 넓은 타이어를 씁니다. 타이어폭이 넓어질수록 접지력이 향상되서 주행안정성이 높아지지만 마찰손실 때문에 전비가 감소합니다. 모델Y는 255 45 19 사이즈를 쓰고 아이오닉5는 235 55 19 씁니다. 타이어에서 오는 전비차이와 4륜구동 전비차이까지 고려하면 거의 20%가까이 차이날겁니다.
푸른닭 2021.09.29 13:56  
@mericrius님 실제 주행하는 사람들 평균 전비 보면 둘다 4륜 기준으로도 별 차이 안나요. 당장 서울-부산 테스트 수많은 사람들이 했는데 별 차이 안납니다. 아이오닉5가 공기역학에 더 불리한거 생각하면 효율 차이는 거의 없어요.
mericr… 2021.09.29 13:56  
@푸른닭님 저는 공인연비를 말씀드린거고요. 운전스타일에 따라 달리질 수 있는 부분이라 비교하기 쉽지 않네요. 추가적으로 타이어 폭에서 오는 효율 손실도 말씀드렸습니다.
mericr… 2021.09.29 13:56  
@푸른닭님 이분은 8%정도 차이나네요. 사람마다 운전습관에 따라 다를 수는 있을거 같습니다. 어쨌든 자동차 연비에서 8%도 매우 큰 차이입니다.
이게아닌가? 2021.09.29 13:56  
전기모터는 기술 차이가 있다 하여도 구조적으로 간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연료 대신 배터리 기술이 필요하지만 연료를 사용하는 것보다 과정이 간단하고 연료를 써야 하는 엔진은....딸린 놈들이 너무 많습니니다. 소모품도 많고 거기다 엔진 내구성이 엄청 중요하죠.. ( 굴러가는면 되는게 아니라...그 과정을 영화평론 하듯이 하며 달구지 같은 지들 자동차가 최고라고 -망할 영국놈들. ) ( 사막이나 알래스카에도 문제 없어야 하고,...... ) (레이싱 속도로 달리며 코너링시 언더,오버스티어 트집잡고 - 중요하긴 합니다.) 얼마전 현기의 세타엔진 결함...생각하면 그 기술장벽이 큽니다 현대 엔진은 유명 자동차(독일?) 메이커가 채용할 정도로 세계적인 수준입니다. 단지...국내 소비자가 실험을 많이 해줘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불만이 크죠.
mericr… 2021.09.29 13:56  
@이게아닌가?님 제 의견은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이기 때문에 무엇이 더 쉽다 이렇게 단언할 수 없다는 겁니다. 건설현장에도 목구조를 주로 다루는 목수와 철골 구조물을 다루는 기술자가 다릅니다. 둘다 건축구조물을 짓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방식이 다를 뿐입니다. 이 둘을 가지고 무엇이 더 쉽다라고 쉽게 단언할 수 있을까요? 내연차 기술과 전기차 기술은 서로 다르고 기존 내연차 회사들이 내연차 기술에 정통해 있는 만큼 테슬라는 전기차 기술에 정통해 있는겁니다. 적어도 전기차 기술에 있어서는 기존 내연차 업체와 테슬라 사이에 기술격차가 꽤 크게 존재하고 있는 상태고요.
셀빅아이 2021.09.29 13:56  
테슬라 주행거리는 현기 최신 EGMP플랫폼하고 비슷하긴 하나, 폭스바겐은 떨어집니다. 성능은 차이나지만요. 그 성능도 테슬라-현기 E-GMP-폭스바겐 순으로 차이 납니다. (폭스바겐 고성능 포르쉐, 아우디는 제외구요.) 폭스바겐도 성능이나 효율이 떨어지니 전기차 플랫폼 새로 개발해서 바꾼다고 하구요. 현기가 그래도 이분야에서 나름 괜찮습니다.
mericr… 2021.09.29 13:56  
@셀빅아이님 현기플랫폼이나 폭바플랫폼이나 핵심 구동계에 해당하는 모터와 인버터를 같은 업체에서 납품 받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플랫폼이나 다름없어서요. 차이가 있다면 세팅문제거나 인증과정에서 타이어폭장난질이나 히터세기 장난질 등등의 차이에서 오는 걸겁니다.
셀빅아이 2021.09.29 13:56  
@mericrius님 그게 다릅니다. 현기는 800V 시스템인데, 폭스바겐은 400V 미만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버터가 같으면 충전속도가 다를 수가 없죠. 게다가 V2L도 안됩니다. 이 두가지는 아직도 테슬라가 못하고 있죠. ID.4와 아이오닉5 스펙봐도 ID.4가 더 뒤쳐집니다. 게다가 히터세기를 장난으로 가볍게 볼 기술 아닙니다. 테슬라와 현기 E-GMP 제외하고 타사들 겨울 저온 주행거리 차이 많이 납니다. 분문대로 전기차 아무나 쉽게 만들지 못하는건 저도 동의하나 현기 기술력이 떨어진다는데에는 동의하기 힘드네요. 자율주행이면 모르겠지만요.
mericr… 2021.09.29 13:56  
@셀빅아이님 네 새로운 플랫폼이 800V탑재되어 나오는 군요. 현기에 납품한 독일업체서 VW에도 납품한다고 했습니다. 어차피 내재화해서 자체개발한게 아니라 사오는거라 새로나오는 플랫폼은 현기와 비슷할 겁니다. 더 늦게 나오는 만큼 좀더 개선품을 탑재하긴 하겠죠.
mericr… 2021.09.29 13:56  
@셀빅아이님 제가 현기에 실망한 이유가 E-GMP플랫폼으로 자동차 출시하면서 필수기술은 전부 내재화 했을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아니더군요. SiC 800V 인버터를 외부 업체에서 사왔다는데서 좀 실망했어요. 전기차 구동계의 필수기술인데요.
셀빅아이 2021.09.29 13:56  
@mericrius님 말씀대로 같은부품이면 인버터에서 저렇게 까지 차이 나는건 설명이 안됩니다. 비슷한 부품과 조합으로 차이아는게 기술력이고 단가 싸움입니다. 폭스바겐도 800V 시스템을 포르쉐 타이칸과 아우디 e트론만 적용시킨걸 보면 (이것도 충전구가 2개 양쪽입니다. 현기 E-GMP는 1개로 통일) 이것도 쉬운 기술 아닙니다.
mericr… 2021.09.29 13:56  
@셀빅아이님 VW플랫폼이 E-GMP보다 먼저 나온만큼 구형부품을 탑재하고 나온거 같습니다. 신형은 당연히 같은업체 800V를 탑재하고 나올걸로 예상합니다. 아니면 E-GMP보다 더 개선된걸 달고 나오겠죠. 더 늦게 나오는 만큼요.
셀빅아이 2021.09.29 13:56  
@mericrius님 자동차 회사들 부품 사오는게 다른게 아닙니다. 테슬라가 특이한 겁니다. 테슬라는 처음 가는 길이니 그렇고, 자동차 회사는 부품사오고 개량해서 차량마다 최적해 내놓는 겁니다. 같은 델파이 4륜 가져와서 벤츠는 이렇게 세팅하고, 다른 회사는 다르게 세팅하는 겁니다. 같은 부품 썼다고 같은 성능, 효율이 나는게 아닙니다.
mericr… 2021.09.29 13:56  
@셀빅아이님 네 세팅차이도 매우 크긴 하죠. 단지 저는 핵심기술은 당연히 내재화 했을거라고 예상했거든요. 그런데 아니라서 좀 실망이 컸었습니다.
셀빅아이 2021.09.29 13:56  
@mericrius님 단순 부품 공유에 너무 빠지지 마세요. 같은 부품 써도 천차 만별입니다. 예로 쌍용이 벤츠 미션 썼는데, 성능이 벤츠 만큼 안나오는것 처럼요. 확실히 현기는 차세대 전기차/수소차 분야에서 아직까진 괜찮게 쫓아가고 있습니다. 내재화가 장점인지 아닌지는 나중에 결과로 나오겠죠.
빛의인도자 2021.09.29 13:56  
mericrius님// 같은 회사의 부품을 가져와도 적용하는 방법에따라 아예 다른 수준으로 바뀝니다. 그 좋은예가 많은 회사에서 썼던 zf 미션이죠. 사오는거라 비슷할거라는 이야기는 좀 아닌 것 같습니다.
mericr… 2021.09.29 13:56  
@0be3c09f0b1a488c9f4.gif님 음... 시간이 많이 흘러서 기술 수준이 평준화 되는데 까지 이르면 전기기술은 상대적으로 노하우의 영역이 적기 때문에 기술격차는 좁아지긴 하겠네요. 그런데 현재시점에서는 테슬라와 기존 내연차 업체들 사이의 기술격차는 넘사벽이라는 의견입니다.
mericr… 2021.09.29 13:56  
@0be3c09f0b1a488c9f4.gif님 그런데 애플 AP기술 다른회사들이 계속해서 3~4년씩 뒤쳐져 있는거 보면 아닌거 같기도 하고 말이죠...
라레리로루 2021.09.29 13:56  
테슬라와 기존전통 카메이커와 기술차가 5년에서 10년정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샌디먼로가 그랬습니다. 그냥 유튜브에 검색해보세요 너무 열올리지 마세요 10년전에 애플이 아이폰으로 스마트폰시장을 선점했을때 노키아가 만들면 다르다 LG가 만들면 다르다 삼성이 만들면 다르다 노키아는 매각됐고 LG는 개발포기 삼성은 소프트웨어 종속으로 부가가치가 애플이나 구글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윈도우폰만들었다가 철수했습니다. 저도 전기차에 대단히 부정적이었는데 지난해 7월이후로 스탠스를 바꾸었습니다 저는 흐르는 사람이니까요.
야하하하 2021.09.29 13:56  
@라레리로루님 아이폰이 나올 시점에 노키아 폰을 사는 사람들도 있었으니까요
이게아닌가? 2021.09.29 13:56  
@4954f1de343e9.gif님 배터리문제만 아니면 많은 곳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본글에서 언급한대로 기술차이는 당연한거고 애플이 아이폰 만들듯이 OEM 가능하다고 봅니다. 네이버도? 저는 테슬라에 생각이 요즘 바뀌었어요... 전기차로는 손이 안가는데. 인공지능이 포함되면 생태계 문제라고 생각되더라고요...아이폰과 안드로이드처럼 구독이의 힘....그리고 재생에너지에 대한 생태계? 등등 아~~~ 테슬라 살껄....ㅎㅎ 힘내라 현기....애플카 만들면....손절한다...(제발 아플카 만들어서라도 탈출하게 해줘~~)
나는상상 2021.09.29 13:56  
잘굴러가는 회사라면 자체품도 있고 사다쓰는것도있고 그것도 한회사가 아니라 여러회사고, 개별품 내부에 들어가는 반도체소자도 한회사 몰빵하지않고 골고루 씁니다. 다양한 공급망으로 일정수준이상의 품질과 성능으로 리스크없이 잘 뽑아내는것이 양산이겠지요.
mericr… 2021.09.29 13:56  
@나는상상님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야 맞는말이지만 핵심기술은 내재화 해야하는 겁니다. 스마트폰을 만드는 애플이 대부분의 부품과 생산을 외주로 하지만 OS와 AP는 내재화 한 것처럼요. 기존 내연차 업체들은 아직 필수기술조차 내재화 하지 못했다는 걸 지적하는 겁니다.
mericr… 2021.09.29 13:56  
@나는상상님 애플이 아이폰을 안드로이드 사다쓰고 엑시노스 AP사다가 만들었으면 지금의 아이폰이 될 수 있었을까요.... 어렵다고 봅니다.
Summer… 2021.09.29 13:56  
포르쉐 타이칸도 자체모터 못넣어서 모터 사와서 쓰다보니 어쩔수 없이 2단 트랜스미션 넣고 나왔죠. 증권사 애널들 보면 쥐뿔이라도 알고 리폿을 쓰는건지 똥을 보고 쓰는건지 ㅋㅋ
엉클머리 2021.09.29 13:56  
LG전자가 의문의 승리를 하네요. :-)
마스타76 2021.09.29 13:56  
팔만한 물건을 만드는 건 쉬운일이 아닙니다. 여기에 전기차도 예외가 될수없지요. 뭐하나 본인이 궁리해서 만들어보지 못한 분들이 그거 쉽다고 얘기를 많이 합니다. 우리는 볼펜 한자루 만드는 것도 쉬운일이 아님을 명심해야합니다. 탕수육도...
mericr… 2021.09.29 13:56  
@마스타76님 저도 비슷한 의견입니다. 공학이 이론으로 될 거 같아도 실제 해보는 과정에서 트라이얼 & 에러가 엄청나게 발생합니다. 말로만 쉽지.... 쉬운게 단 하나도 없습니다.
가을길 2021.09.29 13:56  
@마스타76님 쉽다는 것은 내연자동차 대비 쉽다는 것이지 전기차가 쉽다는 얘기는 아닌데요
가을길 2021.09.29 13:56  
내연기관이 훨~씬 어렵다고 봅니다. 발전한 시간을 보면 넘사벽이라고 봅니다. 베트남도 전기차 만들고있고 중국회사들 발전단계를 보면 쉽게 판단할 수 있다고 봅니다만 폭스콘도 전기차 만든다고 하고 있지요? 애플도 만들려고 하고 있고 다들 LG,삼성은 전기차 진출 안하냐는것이 한때 화두였던 적도 있었죠 그만큼 만만하다는 것라고 봅니다. 내재화요? 생각보다 빠르게 할겁니다. 어려워서 안하는것이 아니라 경제성이나 시간적 제약때문이지 기술적 난재 때문이 아니라고 봅니다. 시장은 원래 제품을 만들고 부품은 나중에 만듭니다. 그것이 기본중에 기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아니 삼성 핸드폰이 중요하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직접 만들어야 합니까? 테슬라는 전기차에서 규모의 경제를 먼저 이루었고, 그리고 미국회사라서 투자용이성등 유리한 면이 있었다고 봅니다. 그리고 기존 자동차 회사는 테슬라처럼 무에서 출발한게 아니기 때문에 조금씩 시장의 추이를 봐서 변환하기 때문에 늦어진 감이 있죠. 기존 자동차 회사가 출발선에서 늦게 출발했기 때문에 기술격차가 있을수 있지만 빠르게 좁혀지고 있는 것도 사실 아닌가요?
mericr… 2021.09.29 13:56  
@가을길님 시간적 제약이요? 현대차에서 처음 전기차 연구를 시작한게 90년대 입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블루홀이라는 전기차도 개발했었고요. 전기차 역사만 보면 현대차가 테슬라보다 더 오래되었습니다. 대체 그동안 뭘 한건지 모르겠네요.
가을길 2021.09.29 13:56  
@mericrius님 사운을 걸고 이게 빠진거겠죠. 현대차나 GM, 폭스바겐은 전기차에 올인 할 수 없는 구조였지만 테슬라는 옵션이 하나니까요.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32170461 작년 세계 전기차 판매 45%↑…현대차·기아, 4위로 껑충 " 테슬라와의 격차를 좁혔다. " "업체들이 올해를 ‘전기차 원년’으로 삼고" 업체별로는 테슬라가 2019년에 이어 1위를 유지했다. 테슬라의 연간 판매량은 총 44만2334대로 전년(30만4783대)보다 45.1% 증가했다. 폭스바겐과 제너럴모터스(GM)도 테슬라의 뒤를 바짝 뒤쫓았다. 2019년 글로벌 판매 순위에서 각각 8위, 9위를 기록했던 폭스바겐과 GM은 지난해 2, 3위로 올라섰다. 판매량은 각각 38만1406대, 22만2116대로 테슬라와의 격차를 좁혔다. 업계에서는 테슬라가 올해 처음으로 전기차 시장 1위를 기존 완성차 업체에 내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업체들이 올해를 ‘전기차 원년’으로 삼고 본격적으로 신차 출시에 나섰기 때문이다.
mericr… 2021.09.29 13:56  
@가을길님 물론 시간이 지나면 내재화에는 성공할겁니다. 문제는 그 수준이겠죠. 스마트폰 AP만 봐도 삼성이 애플에 수년 째 뒤쳐져 있는데 이 갭이 전혀 좁혀지지가 않고 있어서요. 10~20년 지나서 갭이 사라질 수 있겠지만 그 때쯤이면 이미 결판 났겠죠. 시간이 지나면 내재화 되겠지만 시간이 누구의 편인지도 중요합니다.
가을길 2021.09.29 13:56  
@mericrius님 애플의 반도체 설계와 모터 설계와는 완전 차원이 다른 산업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직접적인 비교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애플이 반도체 빼면 다른 뭐가 그렇게 대단한지요 모터설계는 TSMC 하나에 의존하지도 않고 그렇게 대단한 혁신을 쉽게 이룰수도 없습니다. 기술적 기반도 미국, 유럽, 일본, 우리나라, 중국등 여러나라가 공유하고 있고 빠르게 평준화된다고 보고 그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유일한 차이라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인데 그부분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완전 자율주행이 성공적일때까지는 가성비차가 대세가 될것이라고 봅니다.
mericr… 2021.09.29 13:56  
@가을길님 애플의 강점은 브랜드파워지요. 그 별거 아닐거 같아 보이는 것들로 강력한 브랜드파워를 만들어 냈지요. 기술이 빠르게 평준화 될지는 두고 봐야 하는 문제입니다. 빠르게 평준화 된다 한들 엄연히 격차 존재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 작은 차이를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하느냐도 중요한 문제라고 봅니다. 지금도 안드폰이나 아이폰이나 사용성의 차이는 별거 없잖아요. 스마트폰도 기술이 평준화 되었다고 볼 수 있지요. 그런데 안드폰에 비해 아이폰의 브랜드 파워는 넘사벽이니까요.
TrueBl… 2021.09.29 13:56  
전기차는 만들기 쉽다의 배경에는 개별기업의 능력이 아닌 산업수준을 봤기 때문입니다. 전기 모터를 비롯 전기 장치는 자동차외의 산업에서 수십년간 효율과 성능 개량을 해왔습니다. 모터만 해도 폰에 들어가는 진동모터부터 대형 선박 추진용까지 개발해서 사용했고, 효율 개선 연구 역시 많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테슬라와 다른 회사와의 효율, 출력 차이는 테슬라의 기술력이 좋아서 그럴수도 있지만 내구성, 안전성에 대한 기준이 달라서일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폰의 고속충전 보면 중국 업체들이 압도적입니다. 애플, 삼성을 아득히 뛰어 넘은 것처럼 보이죠. 수치로마누보면요. 그렇다고 해서 중국 업체들이 애플, 삼성보다 뛰어난 배터리 충전기술을 가졌다고 사람들이 확언하나요?
mericr… 2021.09.29 13:56  
@TrueBlue님 음... 글쎄요... 님의 가정이 맞다면 맞는 말인데요. 문제는 현실에서 자동차에서 불은 테슬라보다 코나에서 더 많이 난 거 같습니다.... 코나는 성능도 압도적으로 떨어지는 차였는데도 말이죠.... 스마트폰 기술이 평준화 되었다고 할 만큼 폰들 사이의 성능차이가 줄어든 현재지만 애플 AP의 성능은 여전히 3세대 정도 다른 회사들을 앞서가고 있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