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발전은 생각보다 쉽지 않을꺼 같습니다 (feat.원자재 가격 상승)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친환경 발전은 생각보다 쉽지 않을꺼 같습니다 (feat.원자재 가격 상승)

꿈먹기 29 238

https://pgr21.com/freedom/93516?page=1&page_num=23&select_arrange=&desc=&sn=&ss=on&sc=on&keyword=&category=&cmt=&bpw=


타 사이트에서 친환경 발전 관련 글을 보다보니 친환경 발전과 기후변화가 너무 밀접한 관계에 있네요


친환경 발전 종류인 태양광 / 태양열 / 풍력 / 바이오 / 지열 / 해양  등이


거의 대부분 기후변화에 영향을 심하게 받는 발전이다보니 친환경 발전을 안정적으로 지속하기가 상당히 어려울꺼 같습니다


그래서 지금 원유 등 발전 관련 원자재 가격이 하늘 모르고 상승하고 있는거 같네요


제일 무서운건 친환경 발전으로 최대한 빨리 진입해도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막기 힘든데


기후 변화 등의 문제로 친환경 발전 변환 속도가 늦춰지면 어떤 일이 발생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예전에 기후 변화 때문에 친환경 발전이 대세가 될꺼라는 믿음으로 친환경 ETF를 구입했었는데 


이런 이유로 친환경 ETF 가격 상승이 앞으로도 쉽지 않을꺼 같습니다

29 Comments
Modera… 2021.09.28 17:34  
원래 발전 등은 lng 만으로 충당하는 게 계획이었죠
그대는나의 2021.09.28 17:34  
@Moderate님 글쎄요 그럼 lng가격은 수십배 뜁니다.
Modera… 2021.09.28 17:34  
@그대는나의님 발전에서는 본문에서 말하는 원유/석탄 원자재 가격상승은.. 원래 lng로 충당계획이에요.. 2050년 유럽 계획이 이런식이라서요. 제가 만든 게 아니라 어떻게 할 수 없습니다 ㅎㅎ
그대는나의 2021.09.28 17:34  
@Moderate님 네 그런데 저기서 중요한게 그럼 수요가 올라가는 에너지원은 가격이 그대로냐 이거죠 풍력/태양광은 버리가 그랬나요? 정전 유발자입니다.
Modera… 2021.09.28 17:34  
@그대는나의님 LNG만 보면 수요는 대충.. 2020년이나 2050년이나 비슷합니다. 그렇다면 LNG 가격이 수십배 뛰진 않겠죠. (계획만 보면) 물론 풍력/태양광을 LNG의 버퍼 + ESS & 스마트그리드 등으로 커버한다는데 실현가능성은 갈길이 멀어보입니다.
그대는나의 2021.09.28 17:34  
@Moderate님 차라리 미국에서 30년부터 핵융합 발전소 상용화 한다는데 그쪽이 더 실현성있어보이네요
디즈니랜드 2021.09.28 17:34  
@Moderate님 이 도표는 10년전 자료인데, 그 당시에 너무 낙관적인 예상을 하여서 아무런 의미가 없는 자료입니다. 도표를 보시면 대략 2010년 부터 화석연료(회색)가 줄고 있는데 실상은 코로나 전 2019년까지 년평균 2%씩 증가했습니다.
Modera… 2021.09.28 17:34  
@디즈니랜드님 유럽이 뭐 그렇죠.. 최근 자료들도 비슷하게 말도 안되더라고요.
야하하하 2021.09.28 17:34  
참 아이러니네요. 기후변화때문에 친환경 발전이 힘들게 하고 그런데 또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선 친환경 발전을 해야 하고... 전 어떻게든 답을 찾을거라 봅니다...
surina 2021.09.28 17:34  
야하하하님// 미국이나 유럽을 보면 원전을 유력한 대안으로 생각하는거 같습니다.
Ceremo… 2021.09.28 17:34  
오히려 친환경 발전 투자 규모는 더 커지고 속도는 더 빨라지지 않을까요? 풍력 발전기 하나 더 세우고, 패널 하나 더 깔고, ESS 확대하는 방향으로 갈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대는나의 2021.09.28 17:34  
@Ceremony님 ess보다는 암모니아가 훨 가능성이 높을것이어요 ess는 맨날 불나고....
Micro8… 2021.09.28 17:34  
Ceremony님// 영국의 경우만 봐도 바람이 갑자기 절반이상 감소하면 나락으로 가서...;; /Vollago
Ceremo… 2021.09.28 17:34  
@Micro88님 그래서 더 많은 풍력 발전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그대는나의 2021.09.28 17:34  
@Ceremony님 그럼 경제성이 나락으로 가죠
Ceremo… 2021.09.28 17:34  
@그대는나의님 불나도 전기차 다니듯 대체재가 없다고 봐서요
Ceremo… 2021.09.28 17:34  
@그대는나의님 경제성 나락보다 안막으면 끝나는 기후위기가 우선 아닌가 합니다
그대는나의 2021.09.28 17:34  
@Ceremony님 원전 있잖아요 빌게이츠 책이나 핵융합 발전소 30년대에 상용화 한다니 그것으로 해결하겠죠 간헐성은 답이 없는것이어요 25%인가 30%차지한 풍력에서 5%만들어졌다니 이것을 어떻게 감당가능해요? 이런일이 1년에 한번씩 발생한다면 곱하기 6배를 해야하는데 그럼 짱개식 계산대로라면 6배의 용량을 더 설치해야하는데 지금도 풍력이 비싸지만 냉혹하게 계산하면 석탄/가스보다도 더 비싼데 발전기 설치한용량/ 케이블/설치하는데 어민과의 협의 등등 생각해보세요 전기차가 스마트 전기댐역활 해준다지만 그것도 몇일이지 몇달간 이 난리라는데 그것도 불가능할것이고
Ceremo… 2021.09.28 17:34  
@그대는나의님smr도 하겠죠. 진행중이니까요. ㅎㅎ 전 빌 게이츠가 뭔 얘기를 했는진 모르지만 보리스가 풍력으로 영국 에너지를 최대한 대체한다고 했고 바이든이 최근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애초의 계획보다 2배 이상의 태양광 설치를 목표치로 내세웠다는 것만 압니다.
surina 2021.09.28 17:34  
Ceremony님// smr은 지금 잘 되어야 2030인데.. 이게 시간이 저기서 더 걸릴지도 모르고 현재로서 당장 어떤 도움이 되지는 않아보입니다.
Ceremo… 2021.09.28 17:34  
@surina님 저도 먼 미래라고 봅니다만 윗 댓글 다신분이 원전 주장하시길래 언급한 것 뿐입니다.
OS폐인 2021.09.28 17:34  
케파를 압도적으로 늘려놓으면 되죠. +@로 에너지 축적기술=수소 의 기회로 볼 수도 있죠.
lskfsl 2021.09.28 17:34  
삼프로TV를 비롯 여러 경제유투브에서 봤던 내용으로는 친환경으로 전환되면 지금보다 전기료를 2-3배 정도 올려야 된다네요. 정치인들은 선거 앞두고 거짓말로 전기료 2-3배 인상될 일은 없다고 하지만 막대한 한전 부채를 막을수가 없고 결국 전기료를 올릴수밖에 없다네요. 안그래도 인건비 때문에 동남아로 이전하는 제조기업들이 전기료 부담 때문이라도 더욱 빠르게 동남아로 공장을 이전하게 될거라네요. 국민들도 전기료 2-3배 올린다고 하면 펄쩍 뛰고 반대할게 뻔하니 정치권에서는 전기료 안올려도 친환경 발전 가능하다고 거짓말을 한거구요. 풍력발전 경우에도 지역주민들이 극렬하게 풍력발전소가 들어오는걸 반대하고 있어서 동네주민들 합의 받는데도 20년은 걸릴거라고 하네요. 풍력기업들이 정치인들에게 중재해달라고 해도 선거 앞두고 나몰라라 하고 있어서 친환경 속도가 매우 느리다네요 이런 저런 이유로 결국은 원전 석탄 가스 기존 발전 수단을 계속 사용하게 될거 같습니다.
라우링 2021.09.28 17:34  
핵융합이 어여 성공해야겠네요 ㄷㄷ
mdkapp… 2021.09.28 17:34  
태양광의 발전단가가 기존 발전들보다 훨씬 저렴해지기 때문에 자연히 태양광의 전성시대가 옵니다. 예언이 아니라 이미 그렇게 계획되어 있습니다. 계획은 물론 언제나 바뀔 수 있지만 항상 신재생비중을 늘리겠다는 계획이 나오면 나왔지 화석연료를 늘린다는 보고서는 본 적이 없습니다. 석탄가격이 날이 갈수록 비싸지는데 석탄발전을 돌릴 이유가 있나요?
꿈먹기 2021.09.28 17:34  
@mdkappa님 공급을 줄였는데 스요가 그대로라서 오른거죠 문재는 기후변화 땨문에 설치한 태양광이 제대로 효과보기 힘들다는 점이죠
surina 2021.09.28 17:34  
mdkappa님// 발전단가는 내려가겠지만 태양광 등 신재생은 기존 화석연료발전보다 변동성이 강해서(간헐성) 에너지로서의 신뢰도가 많이 낮습니다. 해 떨어지면 태양광 못하는데 밤에도 전기는 필요하잖아요. 그래서 ess가 필요한건데 이것까지 고려해서 단가를 산정하지는 않는거 같더군요. 마치 원자력발전에서 폐기물 비용 등을 고려하지 않아 부당하다는 비판이 있는것처럼 신재생도 그런 성격이 있죠. 암튼 뭐 단가의 문제를 제외하더라도 간헐성의 문제가 있어 화석연료에 의한 발전을 완전히 포기하기는 어려울겁니다.
mdkapp… 2021.09.28 17:34  
@surina님 테슬라를 유망하게 보시나요 망할 것이라고 보시나요? 저는 ESS가 가면 갈수록 단가가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위 사항은 미국 2050 전력개발 계획 등 여러 나라의 보고서를 종합한 내용입니다.
TrueBl… 2021.09.28 17:34  
그래서 전기에너지 저장이 순수한 친환경 발전이상으로 중요하죠. 그게 곧 수소 경제고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