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증여 조언을 구합니다. (국내/해외 비중)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자녀 증여 조언을 구합니다. (국내/해외 비중)

sadfhb… 9 430

자녀 증여를 위해서 총알 마련은 완료하였고, 계좌도 키*에서 국내/해외 계좌를 모두 개설하였습니다.

이체를 하고 증여 신고를 하려고 하는데, 아직 포트 폴리오를 제대로 고민 못 했네요.


가장 궁금한 질문 몇 가지만 드리려고 합니다.


1. 증여와 같이 장기 투자를 감안한 경우, 국내/해외(미국) 비중을 몇대 몇으로 많이들 하시는지요?

   지금 마음은 4:6 정도로 기울었습니다.


2. 미국 주식/지수 투자 시에, 국내 계좌로 투자 가능한 ETF가 좋을지,

   해외 주식 계좌로 돈을 옮긴 후에 SPY 등을 매수할지 의견을 구합니다.

   수익률, 환율, 세금 등에서 자세한 비교 분석이 필요한 것인지, 혼자 고민만 하고 있네요.


위 내용을 정해야 국내/해외 계좌로 각각 얼마를 보낼지 결정을 하겠더라구요.

매수는 조금 천천히 하더라도, 얼른 이체하고 증여 신고를 해버렸으면 하는 마음에 조언을 구합니다.

9 Comments
뭉코건볼 2021.09.28 02:30  
저도 증여 계획으로 얼마전에 애들 계좌를 만들었는데 댓글들이 궁금해지네요 ㅎㅎ 저는 이런 깊은 고민 없이 qqq와 voo를 절반씩 사려고 했거든요 ㅎ 그런데 증여신고는 현금 증여 신고 후에 주식 매수가 낫다고 들었는데, 주식 증여로 계획하시나보네요. 혹시 그렇게 하시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sadfhb… 2021.09.28 02:30  
@뭉코건볼님 현금 증여를 계획하고 있는 것이구요. ^^ 뭉코건볼님은 해외 주식 계좌로 이미 이체 완료 하셨나요?
뭉코건볼 2021.09.28 02:30  
sadfhbvas님// 아, 현금 증여 계획이신거군요. 저도 아직 이체전입니다 ㅎㅎ
메트트릭 2021.09.28 02:30  
아이용 연금계좌 개설해서 하고 있습니다. 배당 , 양도차익 과세이연이되니 좋다고 생각해요
sadfhb… 2021.09.28 02:30  
@메트트릭님 자녀 연금계좌면, 자녀가 일정 나이가 될때까지 못 건드리는 금액이 되는 건가요?
상도동멍멍이 2021.09.28 02:30  
해외주식 사실거면 달러로 증여하시고, 국내상장 해외etf로 사주실거면 원화증여 후 구입하는게 나은 것 같아요 주식증여하면 바로 신고 할 수도 없고 증여일기준으로 +-2개월 평균가, 환율까지 계산해서 증여세 산정해야 하는데 귀찮기도 하지만 주식등락에 따라 증여금액이 변해서 불편하더라구요
015105… 2021.09.28 02:30  
연금계좌 만들어주는 방법이 세금은 가장 적습니다.
sadfhb… 2021.09.28 02:30  
@0151052님 자녀 연금계좌면 자녀가 일정 나리가 되어야 사용 가능한 걸까요? 아이가 30~40대가 되었을 때 씨드 머니를 주고 싶은 것이거든요.
015105… 2021.09.28 02:30  
@sadfhbvas님 연금저축계좌 인출 방법은 1. 과세혜택 받지 않은 납입 원금은 과세 없이 중도 인출 가능. 2. 과세혜택 받은 납입 원금과 전체 운용수익은 중도 인출 시 16.5% 기타소득세 3. 과세혜택 받은 납입 원금과 전체 운용수익을 55세 이후 10년 이상 기간동안 수령시 5.5% 연금소득세 이렇게 세가지 입니다. 아이가 30~40대가 되었을 때 시드머니의 용도가 1. 아이의 노후 대비라면 연금계좌에서 굳이 인출할 필요가 없고 2. 주택 자금 등으로 쓴다고 할 경우 원금만 세금 없이 인출하여 보탤 수 있고 (예를 들어 0살 2천, 10살 2천, 20살 5천, 30살 5천, 총 1억 4천) 3. 주택 자금이 많이 모자라서 운용수익까지 필요하다면 16.5%의 기타소득세를 내고 운용수익을 인출하면 됩니다. 2023년 이후 국내상장 해외지수 추종 etf도 일반계좌에서 매매시 차익에 대해 연 250만원 공제 후 22%의 양도소득세가 물립니다. 연 250만원 공제를 받으려면 팔았다가 다시 사야되는데 애가 젖먹이거나 초등학생이라면 증여 계좌에서는 이렇게 할 수가 없으므로(국세청이 잡아갈 가능성이 있음) 궁여지책(?)으로 연금저축계좌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연250만원 공제를 받을 수 없다면 일반계좌의 양도소득세 22%보다는 연금저축계좌의 기타소득사 16.5%가 유리하니까요. 애가 중학생이라도 된다면 QQQ해외 직투 후 연 250만원 공제 받도록 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입니다. 시나리오를 짜보면 0살에 2천만원 증여하고, 10살에 또 2천만원을 증여해서 연금저축계좌에서 나스닥100TR을 구매해놓고 14살이 되면 연금계좌의 운용수익은 연금계좌안에서 계속 운용하고 원금 4천만원만 세금 없이 중도인출 후 나스닥QQQ직투 하고 대충 4천만원에 대해 연 6% 수익을 올리면 240만원이니까 이거 팔았다 사면 세금을 하나도 안낼 수 있고 250만원 초과하는 수익부터는 22% 세금을 내면 됩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할 점이 양도소득세가 100만원을 초과하면 인적공제에서 빠지게 됩니다. 미성년자 부양가족은 150만원 공제이므로 보호자분의 소득구간만에 대한 종합소득세율 x 150만원의 세금이 발생한다고 보셔야 합니다. 결국 가장 속 편한 시나리오를 짠다면 그냥 연금저축계좌 만들어 놓고 TR 제품 사 준후 잊고 사는게 평균 이상은 합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