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적립식 투자의 리스크에 대한 영상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미국 지수 적립식 투자의 리스크에 대한 영상

hobodo… 21 241

유튜브 댓글에 의견이 분분합니다. 

영상은 아래에 붙입니다. 

21 Comments
hobodo… 2021.09.28 02:10  

흑구팟들었슈 2021.09.28 02:10  
1.거치식이라면 몰라도 적립식 투자라면 mdd에 대한 회복기간도 빠릅니다. 2. mdd 예를든게 경제대공황과, 닷컴버블의 붕괴네요. 특이한 케이스를 두고 일반화 시키고 있습니다. 3. 나스닥 mdd가 닷컴버블때 -80% 넘었다고, 예를 드는데 지수이니까 견딜수 있는거지, 개별기업은 80%이상 또는 상폐되는 기업들도 많았습니다. 아니 이때쯤 되면 투자한거 걱정할게 아니라 회사 문닫을지, 정리해고 당하는건 아닌지부터 생각해야 될겁니다. 4. 자산배분하는건 찬성하나 무조건적인 주식, 채권, 금 이런식은 지양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테이퍼링 끝나고 금리인상시기에 채권가격은 더 빠질 가능성이 큰데, 안전자산이라고 무조건적인 채권 편입은 아니라고 봅니다. 금 또한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며 그 역활을 대체한다고 하는 이때에 무턱대고 투자하기는 어렵죠. 그래서 각 증권사 리서치센타에서 연초부터 채권과 금의 대체자산에 대한 리포트가 엄청 많이 나왔습니다. 참고하면 될것 같구요. 5. 워렌버핏식의 투자방법은 일반인에 해당 안된다고 하는데, 투자기간을 10년에 한정하니 그런겁니다. 투자는 평생한다 생각하고, 투자금도 여윳돈으로 한다면 영상 내용은 틀린게 됩니다. 그런데 당연히 일반개인은 장투 못할거 처럼 이야기를 하고 있네요. 존보글이나, 제레미시겔 책좀 읽어보라고 하고 싶네요. 장담컨데 달러자산으로 미국 spy를, 적립식으로 장투한다면, 시장참여자들중 상위 5%안에 들거라고 봅니다. 6. 결론엔 어느정도 동의하나 결론을 이끌어내기위한 근거가 너무 어거지성 이네요. 자산배분 해야 되는것도 맞고, 이도저도 아니면 그냥 vt를 구입해도 되는건데, 결론 내놓고 근거를 끼워맞춘 느낌이랄까
hobodo… 2021.09.28 02:10  
@흑구팟들었슈님 공감합니다. 의견을 자세히 주셔서 도움이 됩니다. :)
coolni… 2021.09.28 02:10  
저도 며칠전에 이 영상 봤는데, 이전에 이분 영상과 이번 영상 그리고 이분의 댓글을 종합해서 보면, 퀀트투자와 올웨더식 분산투자를 메인으로 하는 저분의 미국시장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은 1. 지수추종 하는 ETF는 본인도 투자하고 있는 만큼 좋은 상품이다. 국내장에서는 본인의 특기인 퀀트투자와 같은 엣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ETF를 하지 않고 개별종목을 투자하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자기만의 엣지가 있지 않는 이상 개별투자보다는 그냥 지수추종 ETF를 권한다.(퀀트 해도 이걸 능가하기 어려움) 2. 본인도 향후 얼마간은 S&P 500과 Nasdaq의 상승모멘텀을 믿어서 투자중이다. 3. 결국에는 미국의 지수는 나중에 지금의 100배정도 갈 정도로 우상향 할것이다. 라는 생각은 가지고 있는 것으로 봅니다. 하지만 이런 영상을 올린 이유는, 누구도 예측할 수는 없지만 언젠가 시장에 나빠지면 지수가 심하게 출렁이는 때가 오기 마련인데, 지수가 10%만 떨어져도 동요하는 개인 투자가가 이런 MDD를 견디면서 존버할 수 있느냐? 라는 문제 때문에 이런 영상을 올리신것 같습니다. 다만 영상에 나오는 자료의 경우에도 일단은 "적립식"이 아닌 "거치식"을 예로 설명을 하고 있어서 개인적으로는 약간 아쉽고, 그것에 대해 지적하는 댓글에 대한 저분의 생각은 "적립식도 시간이 오래되면 거치식에 수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의견에 대해서는 1. 적립 초기에 대위기가 올 경우에는 수익률이 (-)가 나는 고통을 견디면서 적립하면 비교적 빨리 양전 가능 2. 적립 후기에 대위기가 올 경우에는 거치식 처럼 물타는게 힘들어 지기 때문에 피눈물... 때문에 투자할 때 당장 필요없는 투자금으로 투자해야하고 현금확보도 어느정도 해야하는 것이겠죠... 또 지수가 깊게 골이 패일정도로 하락하면, 개별기업의 경우에는 더 하락폭이 심할 수도 있는데, 이게 비단 적립식으로 지수추종 ETF를 투자할때 만의 문제점인가? 에 대해서는 강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저도 적립식으로 미국지수 etf를 모으고 있는 입장에서 저 영상에 대해서 제 나름의 생각을 해보면.. 유튜버 특성상 조회수를 위해서 어그로성 제목을 쓴건 아쉽지만 저런 의견도 일리는 있을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직 저는 적립 초기이기 때문에 투자금이 소소하여 근 시일내에 코로나와 같은 엄청난 하락장이 오면야 어떻게 존버하면서 적립하면서 버틸 수 있겠다는 생각은 하지만..(물론 직접 쳐맞아도 저렇게 침착하게 할 수 있을지는 두고봐야겠죠..) 10년투자 했는데 갑자기 저런 일이 발생해서 그동안 투자한 것을 잃는 다면 평정심을 유지하지 못할 것 같아서 적립식 투자를 하되, 어느정도 수익이 나면 좀 더 안전한 자산으로 분산하던가, 아니면 저런 대위기를 예측하고 미리 행동하지는 못하지만, 현상에 대해서 대응은 할 수 있도록 탈출계획은 세워서 투자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개별기업에 대해서 잘알지 못하고, 매크로에 대해서는 더더욱 무지한 저같은 일반적인 개인투자자가 투자하기에 미국지수추종 ETF만큼 좋은 상품은 없는 것 같고, 기본적으로 위험자산인 주식을 투자할 때 손실을 안보기 위해 노력하는 건 좋지만, 저런 특수한 상황을 가정한다면 아무것도 안하고 예적금만 해야겠죠... 여러가지 의견중에 하나라고 생각하고 좋은 부분만 취하면 되는 영상인것 같습니다.
hobodo… 2021.09.28 02:10  
@coolnight님 영상 내용을 요약하고 의견까지 더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dkapp… 2021.09.28 02:10  
띄엄띄엄 봤지만 영상을 본 시간이 좀 아깝네요.
ywj256 2021.09.28 02:10  
저런 마인드면 투자를 할수가 없을듯 합니다. 언제 폭락장이 올지 모르는데 그걸 개미가 버틸수 있어? 라는 의견과 비슷하다고 보이네요.
팝과르디올라 2021.09.28 02:10  
ywj256님// 저도 딱 그렇게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투자의 선택은 개인의 몫인데 극단적인 결론을 내놓고 맞추기를 하는거 같습니다.
전설의고구마 2021.09.28 02:10  
할투님 몇개월전에 존리대표 까는 영상 올린거 본적 있었는데, 전부터 적립식 주식투자 방식(time in the market & Cost Average)에 부정적이신듯.. (전 그때 할투 채널 구독 취소) 1.주식 잘 모르는 일반인이 본업하면서 주식하려면, 그나마 적립식 미국지수투자가 제일 쉽고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2.조금 나아가서 미국지수보다 유망하다고 판단되는 섹터나 테마 ETF를 사거나, 3.나아가서 피터린치가 말한것처럼, 개인이 잘 아는 기업이 있으면 개별주식을 사는 정도가 좋다고 보구요.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만큼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을 지는거로. 정말 공부 많이 해서 자신있다면 분산투자가 아닌 집중투자도 가능하겠죠.. 그런데 막상 대폭락장이 오면 모든 자산이 다 폭락하지 않나요? 유동성 확보 때문에 현금(달러)빼고 다 내린거로 기억하는데요, 코로나 당시 안전자산 관련 기사 링크입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0314/100156362/1 안전자산 金-채권마저 폭락 (2020-03-14)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0528 주식-채권 '밸런스드 포트폴리오'가 깨졌다…어떻게 해야 하나 (2020.10.06) https://www.alliancebernstein.com/library/bond-investing-as-coronavirus-crisis-intensifies-kr.htm 코로나19 위기 속 채권투자는 어떻게? (April 24, 2020)
꿈먹기 2021.09.28 02:10  
워렌버핏, 피터린치, 존보글 급으로 수익내고 저런말 하라고 하죠 왜 오랜기간 꾸준히 수익도 못낸 사람들이 입을 터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전에 인덱스펀드 투자자가 대폭 증가하면 위험하다는 글은 공감이 갔는데 저런 영상은 어그로로 밖에 안보이네요
칼스타이너2… 2021.09.28 02:10  
강환국씨 그래도 퀀트투자로 젊은 나이에 좋은 수익률로 FIRE를 실현하신 분인데 평가가 굉장히 박하네요. 퀀트투자 입장에서 MDD가 저렇게 나오면 쓰레기 전략이 맞긴 하죠. 그 방법을 개미들 입장에서 최고라고 하니, 비판하는 것도 맞다고 봅니다.
전가복 2021.09.28 02:10  
@칼스타이너21님 비판이야 할 수 있는데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이 어그로에요. 저렇게 타인에 대한 존중이 없는 방식으로 이야기하면 본인도 존중받지 못하죠.
전가복 2021.09.28 02:10  
성공한 유튜버답게 어그로 잘끄네요. 유동성 위기 문제야 따로 비상금 적립하면 되는거고 나머지 문제는 장기로 가면 그냥 희석되는 문제들이죠. 물론 이런 문제들이 있다는건 투자하는 사람들이 알아야 하구요.
없는듯 2021.09.28 02:10  
-10프로만 찍어도 눈물흘리는 개미, 니들은 그렇게 하면 안된다. 그런 개미들이 나스닥 -80프로 찍을때 다른 방법으로 안정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지 싶네요..
ywj256 2021.09.28 02:10  
없는듯님// 동의합니다. 과연 나스닥이 -80프로를 찍을때 다른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고 저런 영상을 찍는 건지...
mdkapp… 2021.09.28 02:10  
@없는듯님 자기가 만들어낸 퀀트를 따라하면 MDD 없이 안정적으로 연 20%의 복리수익을 낼 수 있다고 자랑하고 있네요. 재밌는 사실은 안정적인 복리수익을 낼 수 있는 전략을 보유한 사람들은 이미 공식적으로 여러 기관에서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FIRE족 할 게 아니라 K-캐시우드 돼서 돈을 어마무시하게 벌면 되는데 왜 유튜브만 매일 만들고 계실지 궁금합니다.
빛나는너에게 2021.09.28 02:10  
한숨만 나오네요 ㅎㅎ
OS폐인 2021.09.28 02:10  
"주식이라는 한 종류의 자산에 몰빵하는 것보다 자산 분배가 훨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가? " 에 대한 반문을 해보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hobodo… 2021.09.28 02:10  
댓글 감사합니다. 썸네일이나 제목이 자극적이어서 반감이 생기는 거 같습니다. 논리에 여러가지 모순점이 있긴 하지만, 무조건 안전할 것이라고 믿고 투자 하는 것에 대한 위험성과 그에 대한 대비책을 어느 정도 고려하고 투자하라는 게 요지로 생각합니다.
백수한량 2021.09.28 02:10  
딱 켄피셔가 말하는 부류네요 시장의 특정 시기만 뗴어다가 보여주는
hobodo… 2021.09.28 02:10  
한 가지 생각할 점을 얻은 게… 분산 적립도 금액이 누적되면 일시금으로 넣은 것처럼 된다는 겁니다. 적립 중 고민을 했던 부분인데, 다시 생각을 해보게 되네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