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의견으로 정리한 헝다 사태 예상
개인적으로 중국인에 대한 이해도가 좀 있다고 감히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중국 투자는 안하는게 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제가 2월달에
'중국투자는 안하는게 답이다. 알리바바, 마오타이 이런거 다 한방에 훅갈수있다.
굳이 할꺼면 전기차 쪽 etf 어떻습니까?'
이렇게 말씀드렸는데.. 좀 부정적이였던걸로 기억합니다.
헝다사태에 대해서 꽤 많은 중국인들하고 이야기 한 결과를 종합해서 말씀드려봅니다.
사적 견해니 그냥 읽어보고 아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 이정도로 받아드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현재상황
1. 헝다부채는 350조는 무조건 넘는다
=> 현재 부외 부채는 파악도 안되어있는 사태, 중국기업의 재무제표는 믿을 수 없음. 공산당이 부동산관련업체의 부채비율을 계속해서 압박해왔기때문에 헝다그룹은 부채비율을 속이거나 낮출 수 있는 편법의 방법으로 엄청나게 많은 자금을 끌어썼음.
2. 헝다만의 문제가 아니다.
=> 헝다는 그냥 1위기업이고 좀 빨리 터졌을 뿐이고 2~10위까지 다 비슷한 문제이고 중국 경제를 흔들정도의 위력이 될걸로 보임.
부동산은 중국GDP의 핵심축임. 연관하여 건설회사, 하도급 기타 운송등 줄줄이 돈줄 막힘
공산당도 지금 부동산개발기업 부채 규모를 파악조차 못하고 있음
3. 상황은 계속 악화된다.
부동산 분양(개발)업체의 신뢰도가 급격히 하락한 관계로 계속해서 분양 및 판매를 해야만 잔금을 내고 다른 사업을 이어갈 수 있는데 소비자의 입장에서 계약을 하고 잔금을 내도 해결이 안되니 미분양이 속출하고 할인하여 판매해도 적절한 중간 보증자의 개입없이는 파국으로 가는 중
* 중국의 해결방안
1. 결국 중국 인민(국민)의 피해가 가장 적은 쪽으로 해결된다.
우리가 맨날 욕하는 핑핑이 공산당의 인기는 세뇌이든 뭐든 그냥 있는게 아님. 가급적 대주주가 피해보고, 다음 채권단 은행이 헤어컷을 통해 피해보고, 최후에 정부가 인수하는 구도로 흘러 갈 수 밖에 없음. 왜냐하면 계약금 잔금 날리는 인민이 생기면 안되기 때문임.
2. 중국은행은 대부분이 국영이고 지방은행빼고 메이저은행은 충당률과 순익이 괜찮기 떄문에 90년대 한국식으로 모든 부실은 은행이 떠안으면서 일단락될 가능성은 높음. 다만 위의 해결과정에서 중국 부동산 거품이 꺼지는 순간 한국도 어느정도의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함( 우선 가장 연관있는 철강주, 건설주부터 떨어지고 한국 집값도 같이 빠질 수 있음-한국 집값은 이원인말고도 뭐 빠질 시기는 어느정도 무르익었다고봄 )
* 글로벌 경기의 영향은
0. 알려진 리스크는 더이상의 리스크가 아니지만 중국부동산 버블 붕괴는 알려지지않은 리스크임
1. 미국은 우선 중국문제지 뭐 우리문제는 아니야 하고 선은 긋고 있지만 미국주식도 조정명분만 있으면 될 가능성은 높음
2. 코로나 팬더믹 이후 이 문제를 돈을 더 풀어서 해결하기도 힘들어 보임
* 한국의 영향
1. 위안화와 커플링된 한국 입장에서는 수출주는 역으로 수혜를 볼 수도 있지만 내수주는 같이 힘들어 질 수있다고 봄
* 예상결론
중국이 코로나로 전세계 작살내놨는데 헝다를 비롯한 부동산붕괴로 또 전세계 경제에 바이러스를 퍼트리는 일은
좀 잘 좀 막아줬으면 좋겠네요.
핑핑이도 시황제하고 올림픽 하려면 잘 막을거라고 기대합니다.
중국은 유동성공급 아직 안해서 어떻게든 봉합을 할 수있으라고 기대합니다.
공산당이면 그런거라도 좀 잘해야죠.
마지막으로 중국 주식은 사지맙시다.
올 2월초에 제가 남긴글 캡쳐해서 올립니다.
그때는 다들 의아해 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