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재무쪽 잘아시는분 계인가요? 부채비율 관련...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혹시 재무쪽 잘아시는분 계인가요? 부채비율 관련...

역사의평가 7 2054

스샷은 리츠회사의 연결감사보고서인데요


제가 알기로는 부채비율은

총부채/총자본 *100 이라고 들었는데요


총 부채가 545,617 백만원

총 자본이 51,696 백만원

으로 계산하면 부채비율이 1055%가 나오더라고요...


그런데 같은 감사보고서 주석상에는 총자본이 586,254백만원으로 부채비율이 93%라고 하네요...?

총자본의 저 숫자가 위의 재무제표에서는 도저히 찾을수가 없는데

왜 나온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너무 궁금해서 여기에 문의좀 드리겠습니다...


7 Comments
beyond 2021.08.04 12:00  
일단 총자본은 부채+자본입니다. 회사에 투여된 총 자본금이라 타인자본에 자기자본을 더합니다. 그리고 거기에 부채비율을 계산하면 545/586 =93%
역사의평가 2021.08.04 12:00  
@beyond님 아 총자본이 자본총계금액이 아니라 부채+자본이군요 감사합니다!
역사의평가 2021.08.04 12:00  
@beyond님 부채비율 구할때 총부채(타인자본) / 자본총계(부채 제외) 아닌가요? 다른 회사들은 부채비율 구해보니 그렇게 되어있던데
에이허브 2021.08.04 12:00  
윗분 말씀대로 총자본은 자산하고 같은 개념이고요...희미하게 옛날에 주워들었던 지식을 쥐어짜내보자면 디앤디 플랫폼은 리츠 회사인데요 .리츠 자체가 최대 순자산의 10배까지 레버리지를 땡길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서 흔히 말하는 부채비율로는 안정성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총부채/총자산 비율(보통 gearing이라고 합니다)로 자금조달 여력이나 안정성을 평가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liante… 2021.08.04 12:00  
총자본은 586,254,490로 써있는데요,
역사의평가 2021.08.04 12:00  
@liante0904님 원래 부채비율 구할때 총부채 / 자본총계(부채 제외) 아닌가요? 다른 회사들은 부채비율 구해보니 그렇게 되어있던데...
쓰마이 2021.08.04 12:00  
글쓴분께서 이해하시는 부채비율 정의(b/s)가 맞습니다. 다만 윗 댓글의 에이허브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본 사례는 일반적인 부채비율이 아닌 다른 정의를 사용한 것 같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