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이번의 FOMC 금리 인상률 예상해봅니다.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같이 이번의 FOMC 금리 인상률 예상해봅니다.

엉클머리 13 228

저는 0.25프로 정도로 보이네요. 일각에서는 (한 7%의 전문가) 이번에 0.25가 아닌, 0.5% 올릴거라고 예상하며 공포를 시장에 불어넣기도 하는데요. 주로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면 이익을 보는 은행주 대표이들이 그랬죠.


13 Comments
수면제 2022.01.21 19:00  
금리를 내리면 물가는 오르죠. 이번 금리인하조치로 중국 생산자물가는 더 오를가능성이 높습니다. 거기에 더해 위안화가치는 생각보다 더 강세가 지속될수 있으니, 시진핑 연설은 오히려 인플레를 가속시키는 이벤트라고 보는게 맞을거 같네요.
엉클머리 2022.01.21 19:00  
바로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은 좀 수정했네요. 밤새 -10% 맞아서 얼얼해서 제가 맨정신이 아닌가보네요. 세수하고 돌아오겠어요. :-)
모오오닝 2022.01.21 19:00  
25bp 로 여러차례 빠르게 올리냐 50bp로 크게 올리냐 차이일뿐 총량은 같을꺼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25bp씩 빠르게 올릴꺼 같습니다.
BLAST_… 2022.01.21 19:00  
인상률은 모르겠습니다. 금리가 올라도 경제 전망이 좋지 않으면 은행주도 타격 받지 않을까요?
선잎 2022.01.21 19:00  
무난하게 좋은? 얘기가 나오고 애플,테슬라등.. 빅테크의 미친 실적으로 나스닥좀 복구 시켜놓았으면 좋겠네요.
엉클머리 2022.01.21 19:00  
세상에. 머스크의 트윗이 위로가 될줄은yo!!!
황금참새 2022.01.21 19:00  
25bp 2연타에 500원 걸어봅니다
Summer… 2022.01.21 19:00  
3월 0.25bp 예상합니다. 저번 청문회 이후 인플레 데이터 악화된건 없고 살짝 꺾였어요. 원유는 상승세가 누그러진 정도. 아직 켈리포니아 항만 오미크론 때문에 바틀넥 현상 심각하고 제품공급이 원활하지 못해요. 금리 올려서 수요 눌러서 가격 잡겠다는건 경기 죽여서 가격 잡겠다는거랑 같은 논리라 지금 그럴 가능성 매우 낮아요. 지금 과격하게 금리 인상하거나 빠른 QT하겠다는건 공급차질발 인플레 잡는데는 느슨한 칼이고 시장은 매섭게 조지는 도끼이기 때문에 잘못 사용했다간 물가는 생각보다 잘 안 잡히고 시장과 경기는 제대로 부러지는 최악의 상황이 오고, 바이든과 민주당 지지율이 하반기 선거 앞두고 나락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져서 굳이 지금 사용할 이유가 없는 카드에요. 지금 과격한 금리인상과 QT를 이야기하는 WS 사람들 중 상당수는 진작부터 하방 포지션 잡아뒀거나 2022년 상반기는 최소 빼먹으면서 버는게 쉬운장이다라고 계획을 짠 사람들일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Modera… 2022.01.21 19:00  
이번 공급자 물가를 잡는 데 금리인상이 유효한가 ? 검증이 들어가겠군요 보통 인플레이션에서는 더 많은 공급이 더욱 상승을 가속화하는데 이번에는 공급이 없으니.. 어떤 전략이 유효할까나요
엉클머리 2022.01.21 19:00  
미국의 원유생산 카드가 있는데. 이것도 겨울이 끝나야 쓸 수 있을거고 국가 정책에 반하는 어려움이 있죠.
빅뱅이론 2022.01.21 19:00  
공급 문제가 원인인 인플레이션이 아닐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금리인상을 서두르는겁니다. 임금과 비용 상승 등의 문제가 본질적인 원인이 되어가는 중이지요. 파월이 일시적 인플레이션이란 주장을 괜히 철회한게 아닙니다. 애초에 AIT 정책부터 헛발질이 시작된거라 연준 본연의 임무에 집중할 차례입니다. 한 방에 50bp를 올린다면 시장에 강한 경고를 준다는건데, 거기까진 선택하진 않을듯 하네요.
미도리리 2022.01.21 19:00  
공급발 인플레이션이 아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죠..
엉클머리 2022.01.21 19:00  
유동성이 늘어나 마치 착시를 일으켰지만, 결국 유동인구(!)가 줄어서 생긴 문제로 보여요. 엔데믹만이 해결책인가 싶기도 하고요. 원자재 공급망은 풀려가고 있는데, 아직 소매까지 풀리진 않은 거 같아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