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화이저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테스트와 경구치료제 정보 (Pfizer 발표)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펌] 화이저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테스트와 경구치료제 정보 (Pfizer 발표)

류현진 3 2949

화이저가 오늘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자사의 코로나19 백신 3차 부스팅 접종에 대한 데이터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업데이트를 일부 공개했습니다.

https://s21.q4cdn.com/317678438/files/doc_financials/2021/q2/Q2-2021-Earnings-Charts-FINAL.pdf

논문으로 제공된 데이터는 아니고, 화이저가 그냥 제공한 데이터이니, 그냥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좋겠습니다.

우선 화이저 백신의 3차 부스팅 접종 효과에 대한 데이터입니다. 여기서 3차 접종에 사용된 백신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인 BNT162b2이며, 용량도 기존 접종과 동일한 30ug입니다. 즉, 그냥 같은 백신을 같은 용량으로 한번 더 접종한 결과입니다.


먼저 베타 변이에 대한 효과입니다.

16275899790903.jpg

데이터가 좀 정신없는데요, 우선 이 데이터는 50% 바이러스 중화 타이터입니다. 녹색 막대기는 그냥 기존 비 변이 바이러스이구요, 오렌지색 막대기는 베타 변이 중화 타이터입니다. 좌측 패널이 18~55세의 사람들이구요, 우측 패널은 65~85세의 사람들이었습니다. 파란색 박스는 2차 접종하고 1주와 1달 후의 혈액의 중화항체 양을 의미하구요, 빨간색 박스는 3차 접종후 1주와 1달 후의 중화항체 양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 접종하고 1달 후의 중화 타이터를 보시면, 젊은층에서는, 기존 비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2차 387에서 3차 2119로 약 5.5배 상승했구요, 베타 변이에 대해서는 103 -> 1546으로 15.0배 상승했습니다. 노인층의 경우는 기존 바이러스는 7.8배, 베타변이는 20.6배 중화 타이터가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젊은층과 노인층 모두에서 3차 접종하고 나면, 타이터가 1000이 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노인층에서 더 크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타이터의 비율(비변이/베타변이)도 3차 접종을 할 경우, 젊은층 0.73, 노인층 0.77로, 베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20% 중후반 정도만 중화 타이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델타 변이에 대한 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1627589979597.jpg

역시, 50% 바이러스 중화 타이터를 본 것인데요, 녹색 막대기는 비 변이 바이러스, 파란색 막대기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좌측 패널이 18~55세의 사람들이구요, 우측 패널은 65~85세의 사람들이었습니다. 2차 접종 후 1달 이후와 3차 접종 후 1달 이후를 비교하였는데, 젊은층의 경우, 비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2차 310에서 3차 1547로 약 5.0배 상승했구요, 델타 변이에 대해서는 241 -> 1321으로 5.5배 상승했습니다. 노인층의 경우는 기존 바이러스는 8.2배, 델타변이는 11.9배 중화 타이터가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젊은층과 노인층 모두에서 3차 접종하고 나면, 타이터가 1300을 넘어가고, 특히 노인층에서 더 크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타이터의 비율(비변이/베타변이)는 3차 접종할 경우, 젊은층 0.85, 노인층 0.92로,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8~15%정도만 중화 타이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3차 부스팅 접종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놓고 토론 중입니다. 현재 확진자들의 거의 대부분이 비접종자이며, 2회 접종자들 사이에서는 확진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고, 아직 백신을 접종하고 있지 못한 나라들도 수두룩한데, 굳이 백신을 추가로 확보해서 한 번 더 추가 접종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합당한지, 미국 내에서도 절반 정도가 아직도 백신 접종을 마치지 않았는데, 이 사람들을 어떻게 해서든 접종하는 것이 우선이지, 이미 맞은 사람들에게 추가 접종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등의 논란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면역부전 상태에 있는 특수한 사람들(장기이식으로 면역 억제제를 먹고 있는 사람, 에이즈 환자, 항암치료제를 사용중이어서 면역계가 손상된 사람, 장기 요양 중인 사람 등)에 한해서 3차 접종을 하는 것을 고려 중입니다.

이스라엘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3차 접종을 하기로 결졍했다고 하구요, 5~11세 어린이도 아직 임상 결과가 나오진 않았지만, 고 위험군(비만, 만성폐질환(천식 같은 것이겠죠), 면역부전, 심장병)에 한해서 10ug으로 접종을 시작한다고 합니다(성인은 30ug). 아마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https://bnonews.com/index.php/2021/07/israel-approves-third-dose-of-covid-19-vaccine-for-elderly/

https://www.wsj.com/articles/israel-begins-pfizer-covid-19-vaccine-for-at-risk-children-under-12-as-delta-cases-surge-11627414792


경구용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제는 동물실험 결과만 일부 발표되었습니다. 이 치료제는 3CL protease 차단제인데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해서 복제할 때, 자신의 껍질이 되는 단백질을 길게 한 줄로 만들어내고, 이 단백질을 3CL protease가 알맞는 조각으로 잘라서, 이 잘려진 단백질들이 조합되면서 코로나19 외피를 형성합니다. 이걸 차단시켜서 코로나19가 단백질 외피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1627589980107.jpg

동물에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이 치료제를 사용한 후 조직을 검사해서 스코어를 낸 것입니다. 동물 실험에 불과하고, 사람이 조직 샘플을 보면서 눈으로 스코어를 먹인 것이기 때문에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니 그냥 참고 정도로만 보시면 좋겠습니다. 항 바이러스제 용량에 따라서 감염 스코어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 치료제는 현재 임상2/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임상을 모두 마치고 긴급사용승인을 받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작용 기전상, 이론적으로만 본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생각되며, 효과도 괜찮게 나올 것이라 예상됩니다. 이미 중증으로 진행되어 버린 경우는 효과가 좀 감소할 것으로 보이지만, 사망으로 진행되는 것은 어느 정도 막아줄 가능성은 있습니다. 확진 초기에 사용한다면, 중증으로 진행을 막아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이제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치료제이기 때문에 아직 확실히 뭐라고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그냥 이론적으로 그렇게 예상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이론과 실제는 다를 수 있으니까요. 또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아직은 성공 여부를 알 수는 없습니다.

원문에는 경구로 복용했을 시 잘 흡수되는지에 대한 데이터도 있었습니다. 굳이 그것까지 보실 필요는 없을 것 같아서 뺐는데, 경구로 복용해도 잘 흡수되서 혈액 중 농도가 잘 상승했습니다. 흡수에 전혀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루 2번 복용합니다.


요약)

1. 화이저 백신을 같은 백신, 같은 용량으로 3차 접종을 할 경우, 베타,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중화 타이터가 높은 수준으로 상승한다 (1,000~1,300까지 상승, 기존 2차 접종 후에는 약 500~700근처였음(비 변이 바이러스에서의 효과)).

2. 3차 접종에 의한 중화 타이터의 상승은 노인층에서 더 많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20배 상승).

3. 경구 투여 항 코로나19 치료제는 동물 실험을 마치고, 임상 1상을 마쳤으며, 현재 임상2/3상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안에 결과가 나올 것 같다.


출처: 팁과강좌 - 고약상자(FreeHK)

3 Comments
한니바르 2021.07.30 04:30  
3차 접종도 해야 하면 화이자 떼돈 벌겠네요..
소프트코어 2021.07.30 04:30  
3차접종은 아마 운반이 쉬운걸로 가지 않을까 싶네요. 화이자는 부대비용이 많이들잖아요. 그래서 노바벡스가 나와야하는데.. 자기들 필요 없다고 승인이 늦어진다고.. 화이자 경구용 기사에 몇주 사봤습니다. 결국 접종 안맞는 사람들은 약으로 버틸듯합니다.
그리운거북이 2021.07.30 04:30  
300 mg/kg 이면 사람에 투여할 땐 단순 계산으로 18그램인데 투여량이 너무 높아 보입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