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자국 기업 규제에 관하여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중국 정부 자국 기업 규제에 관하여

산에들에 2 987

 

읽어 볼 만한 글이라 보고 퍼 올려 봅니다.

TIGER 차이나 항셍테크 ETF가 녹아내리는 중에.... 공부 중입니다.



•SMART한 주식투자•, [25.07.21 09:38]

[중국정부 자국기업 규제]


<최근 규제>

•알리바바 계열 앤트그룹 IPO중단

•디디추싱 신규가입 중지

•텐센트뮤직 음원유통독점권 포기압박

•사교육 기업 일괄 비영리화 언급


중국 정부는 최근 자국 내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규제를 받고 있는 기업들의 공통점은 모두 중국/홍콩 증시가 아닌 미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이라는 것입니다.


금요일 중국 정부의 사교육에 대한 규제가 논란이 되었습니다. 차이신 보도에 따르면 간략하게 인민들에게 공정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가계지출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학교 정규교육과정과 연관된 모든 사교육을 비영리화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충격적인 보도속에 나스닥에 상장되어있는 중국 교육주들은 50%~70% 급락하였습니다. 기업 존폐의 이슈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중국정부가 모든 미국증시 상장기업에 규제를 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컨대 중국의 아마존이라고 불리우는 JD닷컴(징동닷컴)의 경우 비록 본체와 계열사인 Dada Nexus는 나스닥 상장사이지만, 미중분쟁 이후 JD는 재빠르게 홍콩증시에도 추가 상장을 진행하였고, 이후 계열사들은 모두 나스닥이 아닌 홍콩증시에 IPO를 하였습니다. 일단 알려진 한도안에서 중국정부가 징동닷컴(JD)을 특정하여 규제한 경우는 없었습니다. 정부의 방향성에 빠르게 기업전략을 맞춰나갔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중국정부는 미중분쟁이 증시로 까지 확대된 현 상황을 이용하여 자국내 자본시장규모를 단번에 늘리려는 생각 같습니다. 가만히 놔뒀더니 너도나도 나스닥에 상장 하려하는 것이 못마땅했을 수 있습니다.


사실 오래전부터 중국정부는 수출/수입 대금 위안화결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위안화의 국제적 위상과 자국내 금융시장의 레벨업을 추진해왔습니다. 선강통, 후강통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주요 핵심 기업들이 자국내 증시가 아닌 미국증시에 상장한다면 분명히 본인들이 원하는 방향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일정시점까지 중국정부는 자국내 기업의 미국증시 상장을 유도했습니다. 사업은 중국에서 하는데 조달은 미국에서 받는 것은 중국정부 입장에서 보면 외화유치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런측면은 지난 수십년간 미국과 중국의 암묵적 동의(?)이기도 합니다.


미국은 성장률이 하향 안정화 되면서 고질적으로 저품질+고비용의 노동력 문제에 노출되었고, 중국은 고품질 저비용의 엄청난 노동력을 기반으로 빠르게 경제성장을 이룩하길 원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국은 본인들의 필요로 제조업 기반을 빠른 속도로 중국에 넘겼습니다. 대신 미국은 중국에게 넘겨준 실물(제조)을 기반으로 한 부가가치(기술+금융)를 성장축으로 삼길 원했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이지만 실물을 내재화한 중국은 손쉽게 기술+금융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실물(제조)를 뺏긴 미국은 중국의 동의 없이는 중국 내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금융의 발전을 유지하기 어려워 졌습니다.


예컨대 극단적으로 만약 중국이 독점적으로 생산하는 필수재 품목에 대해서 위안화 결재를 강요할 경우 소비만하는 미국입장에서는 따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런 문제점은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더욱 명백해졌습니다.


이런 미국의 우려가 트럼프 정부를 거치며 여과없이 외부로 노출되었고 바이든 정부에서도 기류는 오히려 강경해 지고 있습니다. 최대한 중국산 제품의 소비를 줄이고,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서 리쇼어링을 강력히 추진하는 것입니다.


중국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책으로 자국 금융시장의 고도화와 확장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여기에 세계최대 금융허브이기도 한 홍콩이 본토에 편입되었습니다. 때맞춰 미국정부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기업을 때리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정부로서는 해외 상장 기업들의 본토 귀환을 압박하기에 더없이 좋은 상황입니다.


앞으로 당분간 이런 기류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 특히 유틸리티성 산업에 속한 기업들은 언제 규제를 받을지 모를 일 입니다.


2 Comments
매몰단 2021.07.28 12:00  
핑핑이가 제 돈을 삭제시키고있습니다 ㅠㅠ
산에들에 2021.07.28 12:00  
@5cfb3309551057.gif님 수정했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