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으로 봤을때 환율은 쭉 우상향 할까요?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장기적으로 봤을때 환율은 쭉 우상향 할까요?

xmasss… 12 1345

최근 미국주식의 비중을 많이 올렸습니다 

장기로 보고 투자 하려고 들어갔네요 

십년 이십년 뒤 매도시점의 환율을 생각해보다 문득 궁금해져 질문드립니다 ㅎㅎ 



아무래도 출산율때문에 나라의 경쟁력이 갈수록 

저하되지않을까 싶은데 


이런경우 미래시점의 환율은 지금보다는 꽤 높은 확률로 높다고 추론 할 수 있을까요? 


환율의 전망이 가장 어렵다고 하지만 다들 어떻게 보시나

궁금합니다. 십년 데이터를 보면 큰 박스권에서 움직이는 것 같네요 



12 Comments
꼬꼬34 2021.07.26 10:30  
국가 경쟁력의 문제라면 반대로 국가 경쟁력이 올라갈 요소들도 많을 수 있구요. 그게 아니더라도 환율시장은 우상향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큰 방향성은 없다고 보는게 낫지 않을까 싶어요.
tabris 2021.07.26 10:30  
환율은 예측 불가입니다 세상에 나라가 한국과 미국만 있으면 모르겠지만 수백개의 나라가 서로 얽혀있어서 더욱 그렇지요 달러인덱스 떨어지니 당장 유럽도 유로화 가치 절상 막으려고 아우성이고,,, 중국도 긴축하는 시늉만 하다가 최근 미국도 안한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시행했죠... 최근 원달러 급등은 중국발 요인이 큽니다 한국 원화는 중국의 위안화와 거의 완벽하게 동조하고있어서... 한국,미국간의 미래상황을 예측하는 것보다 중국,미국간의 미래상황을 예상해보는게 원달러 환율 예측에 더 도움이 될겁니다
햇살아이 2021.07.26 10:30  
tabris님// 최근에는 중국과 따로 놀고 있어요 요
tabris 2021.07.26 10:30  
@햇살아이님 잠깐의 디커플링은 노이즈로 봐야죠, 한국과 중국의 산업구조, 상호의존도가 바뀌지않는다면요..
015105… 2021.07.26 10:30  
우리나라는 출산율로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 나라가 아닙니다.
버니맨 2021.07.26 10:30  
@0151052님 지금의 출산율로는 국가경쟁력이 당연히 바닥을 뚫고 내려갑니다. 지금 출산률이 얼마나 심각한 상태인데요. 전처럼 재조업에 의지하지 않더라도 일단 내수시장이 작아진다는 치명적인 문제 (경제 규모 자체가 작아져버림), 그리고 당연히 인재도 줄어듭니다. IQ 높은 인재들은 당연히 인구가 많을 수록 더 많이 찾을 수 있게되죠. 출산률 해결 못하면 망한겁니다.
arcrea… 2021.07.26 10:30  
환율은 국가 경쟁력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고, 쌍방향 무역의 이해 관계 때문에 한 방향으로 지속하게 두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주 극단적인 이벤트(경제위기, 전쟁, 질병 등)에 의해 한 방향으로 가파르게 지속 움직일 수는 있겠지만, 이는 유사시 단기간 헤지 기능으로 고려할 수 있을 뿐 장기적으로는 금방 정상화 될 거라 생각됩니다.
YODA 2021.07.26 10:30  
내일 일도 모르는데, 10년 20년 뒤의 일을 여기 게시판 댓글 하나로 알 수 있을까요??? 성투하세요!
The_An… 2021.07.26 10:30  
출산율이 무서운건 앞으로 생산가능 인구가 줄어 생산성이 약해진다는건데 요즘 공장자동화 속도봐선 생산성 자체가 문제될일은 없을거 같은데요 사실 출산율의 위협은 필요이상으로 과장됐다고 생각
홍부장옆 2021.07.26 10:30  
우하향.에 걸었어요
터키산피스타… 2021.07.26 10:30  
내수 경기가 점차 침체될 수 있다는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보통 어르신 분들 보면 정말 돈 잘 안 쓰시죠(못 쓰시죠).. 지금 자녀 위해서 비싸더라도 좋은 학원 보내고, 차를 바꾸고, 가전제품을 바꾸는 통 큰 소비를 할 수 있는 4050 세대 분들도 대다수 퇴직 후엔 소비를 줄이실 수 밖에 없을거에요. 지금은 너무나 훌륭한 대한민국이지만 10년 후 대한민국은 어떨지 우려스럽기도 합니다
Modera… 2021.07.26 10:30  
테이퍼링 시작되면 달러 강세로 가겠죠. 인플레이션이 충분히 무르익지 않으면 높은 확률로 원화약세 가능합니다. 20년 뒤는 모르겠네요 ㅋㅋㅋ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