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무형자산이 이제 유형자산보다 중요한 시대가 온거죠.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이제 무형자산이 이제 유형자산보다 중요한 시대가 온거죠.

우리리리 6 1243

삼프로tv도 기업가치가 800억이라는 이야기가 나오죠.

유투브 방송하나가 얼마나 자본이 얼마나 있을까요.


사람이 몰리면 돈을 번다. 무형자산을 만들어 오는 그 과정 그 노력 그 시간이 결국엔 무형자산의 가치를 늘리고 기업의 가치를 올리는거죠.


애플의 pbr보면 말도 안되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애플이 가진 브랜드 가치,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술 등.. 엄청난 능력의 엔지니어들 이게 보이지 않는 가치죠.


그 가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가 앞으로의 과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6 Comments
르네상스텍 2021.07.03 13:30  
새로운 현상 아닙니다. 닷컴버블 때도 그랬어요. 매출액 순이익 자산가치 따지면 꼰대 고인물이라고 , 버핏을 뒷방 늙은이라고 조롱하고 그랬어요. 최후에 웃는자는 버핏이었죠. 지금 연준이 찍어내는 돈의 힘으로 과거에는 가치가 없던 것들도 가치가 부여되고 있지만, 역사는 비슷하게 반복하더라구요
우리리리 2021.07.03 13:30  
@르네상스텍님 닷컴 버블하곤 사실 차원이 다르다고 봅니다. 그땐 꿈이지만 지금은 현실이니까요. 그 무형자산이 돈을 벌지 못했지만 지금은 그 무형자산이 돈을 버는 시기니까요. 미국의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그 위대한 모든 기업의 중심엔 유형자산이 있는게 아니라 무형자산이 있죠. 위 말처럼 모든 무형 자산의 거품이 아니다라곤 말 할수 없지만 유형자산보다 무형자산이 중요하다곤 이야기 할 수 있겠죠.
르네상스텍 2021.07.03 13:30  
@우리리리님 네. 거품인지 꿈인지 현실인지는, 지금 이 순간에는 각자의 눈으로 보는거고, 실체가 무었이었는지는 훗날 역사가 판별하겠죠.
우리리리 2021.07.03 13:30  
@르네상스텍님 하긴 버블도 10년간의 장기버블일 수도 있으니까요.
그대는나의 2021.07.03 13:30  
삼프로 상장때가 우리나라 버블 터질때 아닐까 생각됩니다. 적어도 연간 40억이상 흑자가 나야 저게 정당화될땐데 삼프로가 그정도 날까요? 이제 성장도 멈춘 느낌이던데 뭐 그래서 슈카랑 합친것일수도있겠죠
그대는나의 2021.07.03 13:30  
비슷한 업인 한국경제tv가 시총이 1900억대 작년에 순익 180억정도 났군요 의외로 시장은 합리적인것같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