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ate님 인플레, 고용, 산업생산, 건물착공 등 온갖 실물지표를 종합한 것입니다
신속정확
2021.07.03 09:00
장기 지표를 보고 싶은데 어디서 확인 가능하나요?
르네상스텍
2021.07.03 09:00
@신속정확님 장기지표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시나요?
신속정확
2021.07.03 09:00
르네상스텍님// 아.. 첫 그래프를 5년이나 10년으로도 볼 수 있나해서 질문 드렸습니다.
르네상스텍
2021.07.03 09:00
@신속정확님 첫 그래프는 블룸버그 아티클에서 퍼왔구요. 두번째 그래프는 연준 홈피에서 퍼왔습니다. 블룸버그에서 저 기간만 대상으로 만든것이라 더 장기 데이터는 없구요. 연준 데이터는 홈피에서 더 긴 시간으로 볼수 있습니다
신속정확
2021.07.03 09:00
르네상스텍님// 네 답변 감사합니다. 문득 과거엔 어땠는지 궁금했었고, 앞으로 어찌될지 기대? 됩니다. ㅎㅎ
소프트코어
2021.07.03 09:00
실물경제 지표가 뭔가요? 소득, 고용은 일단 증가세로 보이긴하는데..
저는 돈의 유통속도가 느린게 문제인 것 같습니다. 아무리 돈을 풀어도 돈이 안돌아요.
결국 윗돌빼서 나눠주는 것 외에 방법이 없는 듯 합니다.
인플레가 안오는건 결국 노동자 임금에서 비롯되는 것 같고,
추후 미국발 인플레가 안오는건 인공지능에 기반한 생산혁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monste…
2021.07.03 09:00
추세를 보기엔 1년은 너무 짧지 않나요?
Jun911
2021.07.03 09:00
리먼 사태 이후에 월가에서 유행하던 말이
good is good
bad is good
이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