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지방선거 최종결과.jpg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프랑스 지방선거 최종결과.jpg

WHLL 4 593

16249869812544.jpg

(PS: 사회당&연합, EELV: 녹색당&연합, LREM: 전진하는 공화국&연합, LR: 공화당&연합, RN: 국민연합, Regionalistes: 지역주의자들)


16249869814416.jpg

(Regionalistes: 지역주의자들, Listes de Gauche: 좌파, LREM: 전진하는 공화국&연합, LR: 공화당&연합, RN: 국민연합)


2021년 프랑스 광역 지방선거 2차 투표 정당 득표율 및 확보지역


공화당&연합(중도-우익): 37.92%, 7곳(-1)

좌파(중도좌파-극좌): 34.75%, 8곳(+1)

국민연합(극우): 19.05%, 0곳(=)

전진하는 공화국&연합(중도): 7.11%, 1곳(+1)

지역주의자들(분리/자치주의): 1.16%, 1곳(-1)


좌파-공화당&연합 대다수 지역 1국민연합 참패



전국 레지옹 개수: 17개

본토 레지옹 개수: 12개



2015년 프랑스 광역 지방선거 2차 투표 결과


우파: 40.63%, 8곳 -> 공화당&연합/전진하는 공화국&연합

좌파: 31.71%, 7곳 -> 사회당&연합/녹색당&연합/불복종 프랑스&연합

국민전선: 27.36%, 0곳 -> 국민연합

기타정당: 0.29%, 2곳



16249869816364.jpg

(장 뤽 멜랑숑, 안 이달고, 야니크 자도, 에마뉘엘 마크롱, 자비에르 베르트랑, 니콜라 뒤퐁에냥, 마린 르펜)


2022년 프랑스 차기 대선 1차 투표 가상 대결(Opinion Way)


에마뉘엘 마크롱(중도, 전진하는 공화국): 26%

마린 르펜(우익-극우, 국민연합): 24%

자비에르 베르트랑(중도우파, 기타 우파): 20%

장 뤽 멜랑숑(좌익-극좌, 불복종 프랑스): 9%

야니크 자도(중도좌파-좌익, 녹색당): 8%

안 이달고(중도좌파, 사회당): 7%

니콜라 뒤퐁에냥(우익, 약진하는 프랑스): 5%


에마뉘엘 마크롱-마린 르펜 결선 진출



6월에 치러질 광역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시행된 Harris의 연초 프랑스 차기 대선 가상대결 결과, 1차 투표에선 공화당/사회당 후보가 누군지에 관계없이 마린 르펜 국민연합 대표가 1위에 올랐으며, 결선 지지율에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고작 4%p차로 추격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의 인기가 올랑드사르코지 등 동시기 전직 대통령들에 비해 높은 편에다, 조사기관 해리스 인터랙티브가 마크롱에게 가장 유리한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접전 구도가 형성되어버린 것입니다. 프랑스인들의 높은 방역 정책 불신과 만연한 백신 음모론,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에 대한 좌파유권자의 반감 등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 가운데, OpinionWay의 레지옹 조사에서도 국민연합이 2015년처럼 전국 지지율 공동 1위에 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추세로 갈 경우 15년처럼 2차 투표에서 중도와 좌우파를 막론한 공화국 전선이 다시금 펼쳐진다 할지라도 국민연합이 최소 한 곳에서 당선자를 낼 거라는 예측이 대두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집권 여당 전진하는 공화국은 20년 기초선거에 이어 또다시 부진하며 단 한 곳에서도 당선자를 내지 못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현재 프랑스 정치는 중도 Vs 극우의 양강 구도를 띄고 있으며, 녹색당 등 신규 주자들이 틈새 시장을 파고들려 노력하는 중입니다. 기존 양당 중 공화당은 차기 주자들의 경쟁력이 점점 높아지면서 결선 진출을 노리고 있으며, 사회당은 지난해 기초선거에서 재선하며 주목을 받은 안 이달고 파리시장에게 기대를 걸었지만 아직까지는 확고한 경쟁력을 보여주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아직 대선까지는 1년 간의 기간이 남아있어서, 6월에 있을 광역단위(레지옹/데파르트망) 지방선거에서의 선전 여부에 따라 초반 대선구도의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였습니다.


특히 공화당&연합은 여러 차기 주자들(자비에르 베르트랑, 발레리 페크레스, 로랑 보키에)이 레지옹(오드프랑스/일드프랑스/오베르뉴론알프)의 수장인 만큼, 선거전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할 것으로 판단됐습니다.


그리고 6월 20일 프랑스 광역 지방선거 1차 투표가 치러져 뚜껑을 열어본 결과, 연초 예상(전국 득표 1위)을 뒤엎고 국민연합이 크게 부진하여 15년과 달리 전국 득표율이 10%로 추락하고 대다수의 레지옹에서 2도 간신히 지켜내며 결선 경쟁력이 매우 악화된 것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직전 여론조사 결과(전국 26%)와 15년(27.89%)에 비해서도 크게 뒤떨어지는 결과로, 그나마 1위를 차지한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에서도 40%대의 예상 1차 득표율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12개 본토 레지옹 중 오베르뉴론알프, 일드프랑스, 페이드라루아르 정도를 제외하면 전부 1위까지 기대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대부분 2위에 그쳤으며 브르타뉴 같은 경우엔 5위까지 추락했습니다.


이를 5월 프랑스 하원 재보선에서 전 지역에서 더블 스코어 이상으로 패한 것과 함께 고려해 볼 때, 내년 대선을 앞두고 국민연합에게 여론조사에도 못 미치는 지방 득표 악화라는 큰 고민거리가 생겨난 셈입니다.


그에 반해 공화당&연합은 30%에 육박하는 월등한 전국 득표율을 보이고 가장 많은 레지옹에서 1, 2위를 차지하면서, 2차 투표에서의 높은 경쟁력이 예상되는 중입니다. 또한 차기 대선 주자들이 여론조사 이상의 득표능력을 선보이면서 내년 대선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한편 사회당&연합은 득표율이 2015년(23.12%)에 비해 떨어졌지만, 오히려 본토에서 15년(2)보다 많이 1위를 차지하였으며, 녹색당&연합도 페이드라루아르, 오베르뉴론알프, 일드프랑스에서 사회당&연합불복종 프랑스&연합의 2차 투표 지원을 받아내며 프랑스 좌파의 강대한 한 축이 되었음을 확고히 했습니다.


하지만 집권 여당인 전진하는 공화국&연합은 매우 부진하여 과달루페, 기아나와 같은 해외영토를 제외하곤 그 어느 곳에서도 1, 2위에 들지 못하며 마크롱 대통령에게 본인을 제외한 소속당 대부분의 선거 경쟁력 미숙이라는 큰 숙제를 남겼습니다.


프랑스 광역 지방선거는 대선, 총선과 같이 결선투표제로 시행되며, 1차에서 과반 달성 후보가 없을 경우 10% 이상을 득표한 상위권 후보 간의 결선투표가 진행됩니다. 결선투표일은 6월 27일로 예정되었으나, 코로나 사태가 갑작스럽게 악화될 경우 2020년 프랑스 기초 지방선거처럼 기약없이 밀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곳 중 하나는 국민연합이 1위인 이탈리아 근방의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이며, 극우 국민연합이 1차 투표에서의 부진을 뒤로 하고 3위 녹색당 후보의 결선 사퇴로 결성된   공화국 연합을 꺾으며 사상 첫 레지옹 확보를 이룩할 수 있을 지가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6월 27일 치러진 지방선거 2차 투표 결과, 낮은 투표율이 원인이었는지 국민연합 후보들이 여론조사에 비해서도 훨씬 부진하며 기대했던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에서도 15%p차로 참패하는 혹독한 성적표를 받게 됐습니다. 여기에 더해 전진하는 공화국&연합도 1차 투표처럼 매우 부진하며 해외영토인 과달루페 확보를 제외하곤 변변한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반면에 제1야당 공화당&연합은 지방선거 대선전 버프를 받아 우파연합 내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자비에르 베르트랑 오드프랑스 주지사(우파연합 내 중도파, 로랑 보키에 공화당 대표 시절 우경화에 반발하여 탈당) 사상 처음으로 대선 지지율 20%에 등극하며 상승세인 마크롱과 하락세인 르펜을 포함하여 3명이서 대선 최상위권을 형성하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몇 년 간 중도 Vs 극우 구도가 재현될 것처럼 보였던 2022년 프랑스 대선 정국에 크나큰 격랑이 이는 상황입니다.


그에 반해 (사회당+녹색당+불복종 프랑스)에서도 지방선거 선전(본토 우세 지역 확보, 해외영토 추가)의 기세를 몰아 대선 단일후보론이 형성되고 있지만, 조사 결과 단일화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표 결집이 제대로 되지 않아 경쟁력이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는 상황입니다.

4 Comments
이자식밥주지… 2021.06.30 01:30  
다당제 좋네요.
WHLL 2021.06.30 01:30  
@이자식밥주지마님 결선투표제는 단순다수제와는 달리 다양한 당이 좌우에서 각 지역구의 주도권을 차지하여 세가 강해지는 듯 하더군요.
귀토레미 2021.06.30 01:30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언론보도보다 훨씬 폭넓고 종합적으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WHLL 2021.06.30 01:30  
@귀토레미님 아아,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