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 얼마나 어려운지는 2017 -> 2020.03보면 쉽죠.
네이버를 2017년에 샀으면 2020 코로나 기점까지
거의 보합권이었습니다. 3년동안 비슷했고
카카오도 2017년 부터 내리막찍고 2020년 코로나 언택기점에 보합으로 올라왔습니다. 2017년에샀으면 2018 2019년에는 - 40% 였죠. 겨우 언택붐 일어났을 때 탈출각 잡혔습니다.
그리고 개미들 기준으로는 고점 때 가장 좋은 기사가 쏟아지기 때문에 고점을 많이 물죠. 물론 저도 포함입니다. 하하
근데 네이버 카카오 예전부터 잘 될 걸 아셨다구요..?
못사서 아쉽다구요? 제가 볼땐 그런분들 중에는 저도 포함해서 대부분은 -40퍼 한번이라도 찍혔으면 손절 했을겁니다.
2년뒤 지금 들어간 돈에 -40% 찍혀있다고 생각하면 과연 그게 멘탈 유지가 쉬울까요. 코인 분들 떨어지는거 보면서 주식은 펀더멘탈이 있어서 안 그럴까 생각해보면 또 그런건 아닙니다.
정말 큰 대형주들도 마이너스 50% 찍히는 경우 많습니다.
현대차도 말할 것 없이 2012년 이후에 샀으면 코로나지점까지 거의 8년을 내리막 걸었죠. 8년을 투자했는데 원금의 마이너스 70퍼센트 였습니다.
서울에 집을 샀으면 돈이 몇배는 불었을 텐데 현차를 사서 원금의 30퍼만 남았다고 상대적 비교까지 해보면 더 어마어마 한거죠.
그냥 주식 엄청 어렵습니다. 말은 쉽죠. 사실 상승장에만 먹어 오면 쉬워보이고 코로나 상승장은 그 상승장 중에서도 아마 최고의 상승장일 겁니다.
그래서 저는 저때 주식을 해오던 분들 이야기가 항상 궁금합니다. 솔직히 무슨 생각하고 하락장 버티는지 대응하는지가 상승장 먹는거보다 훨씬 몇배는 어렵고 고수의 능력이라고 봅니다.
제가 지금 투자해서 하락장이 와서 2023년 2024년에 제 원금이 반토막 이라면 하하 호호 이야기 할 수 있을까요. 그래서 제가 코로나 부근의 영상을 자주보는데 정말 고수분들은 그때 떨어진거의 두려움보다 새로운 종목을 찾거나 포트를 변경하는데 신경을 많이 쓰시더군요. 저였으면 과연 그럴 수 있었을지. 아마 멘탈 나갔을 겁니다.
hmm도 반대로 넘겨보면 지옥 같은 시기가 있었습니다. 과연 저 시기에 저걸 버틸 수 있었을까요.
결국에 투자의 전설로 남으신 분들이 잃지 않는 투자가 제일 우선시 되어야한다고 했지만, 무슨 소리야 리스크 안고 빨리 많이 벌어야 하지라고 생각드시는 분들이 언제까지 성공 할 수 있을 지 궁금하네요. 전 그들의 대부분은 실패 할거라고 확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