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올라가믄 왜 안좋나요?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올라가믄 왜 안좋나요?

슈또 14 826

슈카방송 보니까


장기 국채 금리가 올라간다는건


주식이나 부동산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좋아서


국채 매수가 줄어드니 수익률이 더 높아진다고 하던데ㄷㄷ


경기가 좋다는 뜻 아닌가요?

14 Comments
김씨오빠 2021.06.27 21:00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의 매력이 올라가고, 주식의 밸류에이션이 낮아져서 주식에는 안 좋을 수 있습니다. 다만, 성장이나 경기가 해당 효과를 상쇄할 만큼 강하다면 금리 상관없이 주가도 오를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건일 2021.06.27 21:00  
경기가좋아지면 이자가 높아진다 느낌 나는군요
이젠정말 2021.06.27 21:00  
이야기를 다시 정리하면,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느냐인데… 1)원자재 가격상승을 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 있는 기업에겐 인플레이션이 좋은 거고, 전가시킬 수 없는 좀비 기업에게는 치명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2)현재 수익보다 미래수익이 더 크게 기대되는 기업에게는, 기업의 가치가 금리만큼 할인되기 때문에 안 좋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공부가 미진하여 정확하지는 않지만, 엘지생건(코카콜라)한테는 유리한 거고요..(아무리 콜라값 올려도 어차피 사먹을 거고, 주가는 명목이익성장률에 비례하기 때문에), 테슬라처럼 현재 이익보다 미래이익이 주가에 더 많이 반영된 기업한테는, 미래가치가 금리만큼 할인되서 안 좋은 걸로… 저도 공부중입니다. ^^;;;; 이글 보다 두칸 위에 보시면, ‘신재생에너지관련주’이야기가 있는데, 금리가 올라도 낮은 금리로 채권 조달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결론은 캐바캐인듯
슈또 2021.06.27 21:00  
우아 답변 감사합니다. 언뜻 이해는 안가지만 몇번 읽어보겠습니다
aomame 2021.06.27 21:00  
국채는 실시간 발행인가요? 국채금리가 올라간다는건 도통 이해가 안가요 10년물 채권 가격도 떨어진다는건 언제 발행되어진건지도 이해가 안가고 그냥 금리 상승 채권가격 하락 이런말밖에 없고
알게뭐야 2021.06.27 21:00  
@aomame님 국채/채권 가격도 시장에서 실시간으로 변하죠. 채권 가격의 변화가 즉 금리의 변화입니다.
김씨오빠 2021.06.27 21:00  
@aomame님 국채금리가 올라간다는 것은 예전에 발행되어 유통되는 국채의 가격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전에는 1프로만 이자를 주어도 되었는데 현재는 2프로 이자를 주는 국채가 새로 발행되면 예전 1프로 국채는 할인해서 팔아야 2프로 이자 국채와 동일한 가격이 되기 때문입니다.
surina 2021.06.27 21:00  
일단 제가 알기로도 할인율때문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지금의 이자가 1%라면 미래(1년후)100원은 지금의 약 99원이나, 이게 이자가 90%가 된다면 미래의 100원은 지금의 약 11원입니다(대충 아마 계산이 이럴겁니다..). 뭐 보통 이런 할인율은 수년 후의 이익까지 쳐서 할인율의 폭이 더 커지겠죠. 이런것도 있고, 뭐 금리가 올라서 돈이 회수되면 그만큼 유동성의 힘으로 올랐던 성장주에서 매도가 이루어지기 때문인것도 있고, 뭐 그런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뭐 이런건 이론적인거고 금리가 올라가니 경기 호황이구나 가즈아 이러기도 합니다. 그때그때 다르죠.
일편단생 2021.06.27 21:00  
그냥 심플하게 미국채10년물금리가 대출금리라고 보면 됩니다...
pinyrx 2021.06.27 21:00  
10년물 금리가 오르면 은행주들은 호재인가요?
mozilp… 2021.06.27 21:00  
조금 상관없는 이야기일수도 있겠습니다만 저금리 환경이 되면 주식의 수익률이 다른 상품대비 아주 좋아지던데, 월가아재님의 원자재 관련 강의를 보면 재미있습니다.
김마치 2021.06.27 21:00  
기준금리=중앙은행에서 유동성을 통제하는 금리(정책금리) 미국국채10년물금리=기준금리(정책금리)에 따라 움직이는 시장금리 기준금리를 변경하더라도 시장금리는 여러 요인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죠 모든 경제 요소 및 심리가 반영되어 실질적으로 유통되는 금리라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장기채 시장이 발달되지 않아 3년물 국채로 참조 하시면 됩니다
김마치 2021.06.27 21:00  
장기든 단기든 국채 수요가 줄어든다는건 정부에서 발행한 국채 수요 감소=> 유동성 감소 => 국채 이자율 상승 유동성 감소 부분과 국채 이자율 상승으로 국채 쪽으로 돈이 움직이니 주식에는 좋지 않은거 같네요
김마치 2021.06.27 21:00  
경기상승=>기준금리 상승 => 시장금리(미국채10년물) 상승 => 경기침체 => 기준금리 하락 => 시장금리 하락 => 경기상승 시장금리 상승은 유동성 억제 정책에 의한 결과이니까 주식에는 영향이 좋지 않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