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적인 e커머스 업체들 전망 정리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전체적인 e커머스 업체들 전망 정리

Jun911 16 3760

안녕하세요.


한국에선 딱히 근데 추천할 만한 업체가 없네요 ㅋ


그나마 네이버정도? 개인적으로 네이버 현재 주가가 과소평가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개인적으로 네이버쇼핑에 대한 평가는 확실하게 과소평가라고 생각합니다.


네이버쇼핑 플랫폼 


https://shopping.naver.com/



해당 플랫폼이 가지는 가치 자체가 상당히 저평가 되어 있다고 생각하구요.


네이버 쇼핑 플랫폼이 갖고 있는 파워는 기본적으로 


1) 가격 비교


2) 네이버 검색 후 연동


3) 네이버 페이 연동


4)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들의 개별 쇼핑몰 같은 개념)


5) 쇼핑 라이브 (홈쇼핑 같은 개념)


대략 5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론 해당 쇼핑 플랫폼안에서 쇼핑 윈도우라고 카테고리별로 윈도우라는 개념으로 나눠놓고 MD 나 해당 업체들이 직접 pick 해서 이벤트나 기획전들을 끊임없이 운영하고 있습니다만, 윈도우 자체가 대단하다고 생각하는건 아니구요.


걍 일반적인 카테고리 분류인데 윈도우라는 이름으로 뭔가 새롭게 만드는것 뿐이죠.


다만 대부분의 업체들은 카테고리별 상품 분류나 기획전들은 MD 들이 대체로 픽합니다만


네이버는 그나마 https://blog.naver.com/n_shopwindow 공식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해당 카테고리에 입점한 업체들에 매주 끊임없이 기획전, 이벤트등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서 운영하는, 조금 더 판매자들의 얘기를 잘 들어주는 편이라고 할까요?


물론 뭐 판매자들마다 채널에 대한 생각은 모두 다르겠지만, 제 경험으로는 


업계 메이저인 이베이코리아 + 11번가 + 위메프 + 티몬 등등에 비해서는 좀 더 피드백이 잘 된다는 느낌입니다.




결론적으로 가장 파워풀한 플랫폼은 가격비교 + 검색 플랫폼일거고, 해당 플랫폼때문에 이베이코리아 + 11번가 + 쿠팡를 포함한 우리나라 메이저 쇼핑몰들은 모두 네이버 쇼핑에 입점되어 있습니다.


네이버쇼핑에 입점되어 있지 않은 업체가 거의 없을 정도고, 요즘 핫한 지그재그나 에이블리 같은 패션 쇼핑몰 정도는 개별 플랫폼을 표방하기에 네이버쇼핑에서 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물론 지그재그나 에이블리에서 판매하는 판매자들이 개인 쇼핑몰 -> 네이버 쇼핑으로 개별적으로 입점해 있을 확률은 매우 높죠.



어쨌든 네이버 쇼핑이 과소평가 되어 있다는 부분은 제 개인적인 view 고, 실제로 여러 판매 채널 및 판매 활동을 하다보면


모든 판매 채널에서 네이버와의 연동은 가장 기본적으로 시스템화 되어 있습니다.


즉, 시장에서 과점화 되어 있는 포털 + 플랫폼 + 페이 시스템이기 때문에, 판매자들이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클릭, 클릭 몇번만으로 네이버쇼핑 플랫폼에 입점하게 되고, 네이버 광고를 집행할 수 있도록 연동이 아주 잘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그 점이 가장 파워풀하고, 판매자라면 결국 네이버 플랫폼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부분들이 현실적으로도 어쩔 수 없지만


시스템적으로도 가장 편하고 파워풀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국내에서는 네이버가 e커머스 관련한 업체로 가장 추천할만한 업체라고 개인적으로 봅니다.


네이버페이가 카카오페이처럼 분사해서 따로 상장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네이버페이의 미래도 굉장히 밝다고 보구요.



카카오페이도 거래액은 꽤 나옵니다만, 네이버페이는 온라인 결제에서 상당한 점유를 차지하고 있고


오프라인까지 확장하는 느낌이라면, 카카오페이는 실제 결제 보다는 보통 개인간의 송금이나 일부 오프라인 결제를 커버하기 때문에



개인의 송금 데이터와 카카오뱅크, 보험까지 묶어서 금융 전반으로 확장할때는 카카오가 유리할지 모르나


결국 거래행위로서의 결제 모듈, 좀 더 나아가서 오프라인 거래까지 사용되는 결제 모듈로 확장되는 페이는 네이버 페이가 유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네이버가 계획하는것만큼 오프라인이 확장될지는 좀 더 봐야겠죠.



쿠팡의 쿠페이는 쿠팡내에서만 거의 사용된다면, 네이버페이는 네이버 쇼핑에 입점되어 있는 거의 95% 이상의 업체들 (스마트스토어 및 개별 쇼핑몰 및 일부 대형 쇼핑몰까지) 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범용성 측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 수준이며,


네이버페이를 통해 구매했을 경우 구매확정, 리뷰작성을 통한 적립금 역시 네이버페이로 쌓이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95% 이상의 업체들에서 서로 교차제한없이 네이버페이 적립금으로 쇼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로켓배송이나 로켓프레쉬, 마켓컬리의 샛별배송 같은 특정 배송시스템을 제외하고는


가장 강력한 락인효과를 발휘하는 시스템이 아닌가 싶습니다.



즉, 네이버 페이 자체가 매년 독보적으로 성장할 수 밖에 없는


1) 페이 모듈 연동의 기술적 편리함


2) 페이 모듈 사용처의 광범위화 (적립금 포함)


3) 기본적인 네이버 계정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다는 회원풀 


이 네이버페이의 가장 강력한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네이버 좋은 회사? 잘 모르겠음


네이버쇼핑 과소평가? 확실하게 과소평가라고 생각함, 네이버페이까지 포함하면 더더욱 과소평가라고 생각함


네이버 좋은 주식 종목? 잘 모르겠으나, 개인적으론 좋은 종목이라고 생각



이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그외에는 딱히 추천해 드릴 만한 업체는 안보이는거 같고,


티몬이니 위메프니, 11번가류의 메이저 비상장 커머스들이 만약 상장을 추진한다고 해도 추천해 드리진 않습니다.


이익을 거의 못내는 업체고, 2010년대 중반까지는 그래도 성장성이라도 좋았는데


최근 3년간 성장을 보면 업체별로 차이는 있지만, 딱히 성장성도 돋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다들 아시는것처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쿠팡에 다 뺏기고 있는 상황이죠.



그나마 새로운 카테고리쪽에 오마이집이라는 인테리어 관련 플랫폼이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글쎄요? 내부 관리 시스템을 경험한 저로서는 과연 이 회사가 제대로 관리를 하며 성장중인건가? 에 대한 의구심이 들더군요.



확실히 기업들을 평가하려면 가장 기본적으로 재무관련이나 실적을 봐야하겠습니다만


저는 판매자의 한명으로서 관리자 페이지를 보면 해당 기업의 클래스가 대충 느껴지는데요.



다음의 관리자페이지를 보면 (카카오에 인수되기 전 다음이나 인수되고 난 다음) 왜 다음이 항상 그모양인지 알겠다!!! 랄까요?


오마이집도 비슷한 느낌입니다.


다른 업체들도 뭐 별반 다를바 없기도 합니다.



그나마 확실히 쿠팡이 초기에 비해서는 꾸준히 관리자 페이지가 업그레이드 되고 있긴 합니다만


역시 네이버와 비교하기엔 상당히 무리가 있구요.



참고로 오해하실까봐 말씀드리지만, 저는 평소 네이버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ㅋㅋㅋ 네이버 주식도 없구요.


시장 조사할때만 네이버쇼핑이나 스마트스토어 돌려보고 


검색은 거의 구글로 합니다.



PC 시대에서는 네이버 독점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었다고 봅니다만,


모바일 시대로 완벽하게 바뀌고 나니까 (대략 2014~2015년 이후) 오히려 네이버 독점이 상당히 많이 약해진 느낌입니다.


저 개인에게나, 많은 사람들에게나 말이죠.



그래서 플랫폼 파워는 솔찍히 카카오가 훨씬 강력하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메신저가 가장 강력한 플랫폼이라고 생각하기도 하구요.


다만 네이버 쇼핑은 확실히 과소평가되었다라고 개인적인 시각이 있는겁니다.




중국쪽에서는 알리바바나 JD 같은 업체들이 너무 오랫동안 약세였던거 같습니다.


알리바바는 다들 아시는것처럼 시진핑이 마윈 손봐주려고 하는 부분도 있었고, 알리바바 자체가 불공정 해위로 걸려서 3조 벌금을 낸 부분도 있었고


JD 는 특별한 악재는 없었는데 미-중 분쟁이나 중국 정부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긴축을 시도한 부분 때문에 그런지 상당한 약세입니다만


결국 알리바바나 JD 는 실적이 뒷받침 되는 업체고, 중국의 메이저 넘버 1-2 이기 때문에 올라갈거라 봅니다.


항상 문제는 언제? 그리고 올라가면 내가 원하는 만큼 올라가냐? 의 문제겠죠.


그래도 알리바바 & JD 는 확실한 저평가라고 봅니다.



캐나다 쇼피파이라는 업체는 국내로 보면 네이버스마트스토어나 카페24 같은 개인쇼핑몰을 만들어주는 플랫폼입니다만, 개인적으로 성장성이나 점유율등을 보면 메리트 있다고 보여지긴 합니다.


특히나 해외는 포털이라는 개념이 없다보니 개별 쇼핑몰을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운영하느냐가 훨씬 중요하죠.


그런 측면에서 쇼피파이는 굉장히 좋은 업체라고 봅니다만, 현재 밸류가 너무 고평가 아닌가? 싶습니다.



동남아쪽에 SE 라는 업체가 있는데, 이 업체는 숫자만 본거라서 정확하진 않지만 MELI 나 JUMIA 에 비해서 훨씬 가능성이 높아보이더군요.


물론 고평가라고 생각되기도 합니다만, JUMIA 같은 업체들보다는 덜한 것 같구요.


ETSY 도 괜찮다고 봅니다만, 미국에서 사실 한 업체를 딱 꼽으라면 무조건 아마존이죠.



아마존 말고 다른 업체들을 개별 투자하는것보다는 걍 안정적으로 etf 가 좋을 것 같긴 합니다만,


IBUY 라는 ETF 가 있긴 합니다만, 담고 있는 업체들이 좀 애매한 업체들만 있더군요.


https://amplifyetfs.com/ibuy.html


물론 코로나 저점 대비해서는 3배 가까이 상승하긴 했는데, 담고 있는 업체들이 중고, 중고명품이나 뭐 여튼 개인적으론 애매한 업체들로만 보입니다.


그나마 Stitch FIX 를 담고 있는데, 이 업체는 뭔가 4차 산업 혁명이라는 타이틀에 맞는 업체로 보이긴 합니다만 (집으로 걍 옷 보내주는 플랫폼) 수익이 날까? 싶기도 하고




ONLN 라는 ETF 는 또 너무 뻔한 업체만 담고 있는 것 같기도 하구요.


https://www.proshares.com/funds/onln_daily_holdings.html


아마존 + 알리바바 비율이 40% 가까이 되다 보니까 너무 두업체 편향적인 느낌이 있긴 한데,


그래도 뻔한것만 담고 있는 느낌이 드는것처럼 온라인 e커머스 자체에 가장 집중되어 있는 ETF 가 아닌가 싶네요.




우리나라도 ETF 가 있긴 한데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22400#


하루 거래량 보면 ... 그래도 꽤 우상향 하긴 했습니다 ㅋ 네이버 + 카카오를 담고 있다보니 ㅋㅋㅋ




막상 정말 치열한 이커머스 바닥인 거 같은데, 딱히 주식 투자로 봤을때는 투자할만한 업체가 그렇게 많은 것 같진 않습니다.

좀 더 디테일하게 쓰고 싶은데, 글을 쓰다가 열정이 모두 사라져버려 이만 급 종료하겠습니다 ㅋㅋㅋ


감사합니다.

16 Comments
qwerty… 2021.06.23 08:00  
아마존 사고 싶었는데 onln 구성이 마음에 드네요 감사합니다
lights… 2021.06.23 08:00  
감사합니다. 중국업체중에 PDD가 빠진 것 같아 말씀드립니다. 참고로 전 PDD 주식이 없으니 오해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Jun911 2021.06.23 08:00  
@lightstone님 전 개인적으로 PDD 는 그닥 메리트없다고 생각됩니다. 현재가 너무 고평가인 것 같기도 하고 3선 도시 위주로 저가 제품만 판매하는데, 글쎄요, 이런 저런 말들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lights… 2021.06.23 08:00  
@Jun911님 알리바바, JD, PDD 3강 구조인데...참고로 PDD는 2020년 연간 구매자 수 기준으로는 7.9억 명으로 1위 기록을 했습니다.
Jun911 2021.06.23 08:00  
@lightstone님 결국에 중국이 골고루 얼마나 성장하느냐에 달려있겠죠. 알리바바는 원래 1등업체고, JD 는 전자제품이나 좀 더 고가에 강한 커머스고, PDD 는 3선 위주로 공동구매 저가 제품 판매하는 곳이니까 quality 가 아니라 quantity 로는 압도하겠죠. 다만 결국 저가의 질 떨어지는 제품들에 대한 클레임이나 수요가 꾸준히 유지될 것인가? 와 중국내에서 성장이 잘 이뤄진다면 결국 구매력이 올라올거고, 누구나 돈을 벌면 좀 더 좋은 제품을 원하기 때문에 PDD 가 기존 판매 모델이 아닌 좀 더 가격이 높고 질이 좋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채널로 바뀔 수 있느냐? 뭐 그런 부분들에 대한 고려도 포함되야하겠죠. 물론 일개 개인이 분석하거나 전망하긴 거의 불가능하다고 봅니다만. 반대로 중국이 여전히 불평등하게 성장하며 (대부분의 자본주의 사회가 그렇듯) 꾸준히 3선 도시 위주의 저가 제품 공급이 확대 될 수도 있겠죠. 그러면 PDD 의 성장은 계속 될 거구요. 아니면 또 PDD 가 위에서 언급했던것처럼 점차 retail price 를 올려가면서 채널의 성격을 바꿔나갈 수도 있을거구요. 제 개인적인 view 는 알리바바 - 정치적 + 규제로 인해 크게 두드려 맞음, 실적이나 위상에 비해서 매우 저평가 JD - 특별한 이슈도 없는데 알리바바랑 같이 엮여서 그런가 걍 저평가 PDD - 3선도시 위주의 저가 제품 공급으로 인한 채널 특성으로 인한 폭발적 성장을 자랑하지만 고평가, 그리고 해당 비즈니스 모델의 지속성 의심됨 이런 view 로 봅니다. 물론 당연히 제말이 무조건 맞다! 이렇게 주장하는건 아닙니다. 저는 그렇게 본다는거죠.
lights… 2021.06.23 08:00  
@Jun911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선피린 2021.06.23 08:00  
네이버 주식은 없지만 네이버가 쿠팡도 바르고 압도적 까지는 아니더라도 많은 차이로 1위가 될거같습니다 금융만 어떻게든 가져오면 무조건 잘될거라고 보는데..
조지아 2021.06.23 08:00  
가격비교 기능에 안주해서는 안되고, 네이버 쇼핑만의 핵심기능을 개발하지 않으면 의외로 도태될수 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지금은 수십개 커머스가 난립하면서 같은 상품을 100원 단위 최저가 경쟁을 하고 있는지라 가격비교가 의미가 있으나.. 이 구조가 쭉 가진 않을거라 예상하고, 언젠가는 1~2개 업체가 독식하게 될 날이 올거라 봅니다. 이때가 되면 굳이 네이버에 가격비교할 필요가 없어지죠. 미국만 봐도 그냥 아마존에서 검색하고 구입하는 형태인지라, 딱히 가격비교 사이트라는게 없고 있어도 카멜처럼 아마존내에서의 가격변동을 트래킹하는 서비스만 있죠.
Jun911 2021.06.23 08:00  
@조지아님 틀린 말씀은 아니나 결국 아마존 파워에 걸맞는 이커머스가 한국에 나올 수 있느냐? 의 문제겠죠. 누군가는 아마존 파워에 걸맞는 이커머스가 쿠팡 아니냐? 라고 하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저는 그정도는 아니라고 보구요. 물론 쿠팡이 결국 더더욱 성장해서 아마존 만큼의 파워를 가질 수도 있겠죠. 여튼 말씀하신 대로 그 부분도 있습니다만, 결국 네이버쇼핑은 네이버페이와의 연동 및 적립금 공유하는 시스템과 스마트스토어 (개별 판매자들의 쇼핑몰 개념) 의 폭발적인 성장까지 고려하며 평가해야 한다고 봅니다. 가격비교 플랫폼은 예전 지식쇼핑이라고 부르던 플랫폼이었으나 지식쇼핑 + 스마트스토어 + 네이버페이가 합쳐져서 네이버쇼핑 플랫폼이 된거라고 봐야하니까요. 거기에 오프라인 결제 확대 및 각종 티켓 및 여행, 예약 등등까지 네이버페이를 확대한다면 더더욱 네이버 쇼핑의 가치가 올라갈거라 봅니다만 문제는 독과점 문제가 발생하면서 네이버가 그런거까지 하는게 맞냐/아니냐 등등의 정치적 논쟁까지 번질 수 있는게 잠재적인 리스크겠죠.
사람이사람답… 2021.06.23 08:00  
네이버 쇼핑을 검색하는데 쓰기는 하는데 결제는 그냥 지마켓 같은데 가서 하게 되더군요. 입점업체 것을 쓰려면 네이버 페이를 쓰겠지만 보통은 지마켓 같은데가 싸더라구요.
seyon 2021.06.23 08:00  
빠른 배송이 필요하다 => 쿠팡, 그냥 싼곳에서 사면 된다=> 네이버, 이베이코리아, 11번가.. 그외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중에 이베이코리아는 계속 수익이 나고 있었고, 네이버는 잘 모르겠으며, 11번가는 수익이 나는지도 모르겠네요.
마이크로21 2021.06.23 08:00  
@Jun911님 혹시 오아시스마켓이라고 들어보셨는지요? 마켓컬리와 같은 신선식품 새벽배송업체인데 모회사에 투자후 24층에서 구조대 기다리고 있는 주린이입니다. 마켓컬리에 비해 매출규모는 작지만 e커머스회사중 영업이익을 내고있어 들어갔는데 움직임이 기대이하라 고민중입니다. 오아시스마켓이 e커머스 시장에서의 생존가능성에 대한 님의 의견은 어떠신지요?
Jun911 2021.06.23 08:00  
@마이크로21님 규모가 넘 작아요 ㅠㅠ
강군v 2021.06.23 08:00  
정성스러운 글 감사합니다
jdlab 2021.06.23 08:00  
글잘읽었습니다. 오마이집은 오늘의집을 헷갈리신듯 합니다.
Jun911 2021.06.23 08:00  
@jdlab님 맞네요 ㅋㅋㅋ 오늘의 집입니다 ㅋㅋ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