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만했던 미장 낙관론 설파 영상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볼만했던 미장 낙관론 설파 영상

Jun911 16 1382

안녕하세요.


뭐 사실 삼프로에서 국장이나 미장이나 


패널로 나와서 안좋다~ 라고 얘기했던 양반들은 거의 없긴 합니다만, 


그중에서도 오늘 나온 분은 두세번 본 거 같은데 항상 강력하게 더 간다~ 가즈아~ 만 외치셨던 분이였던걸로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기억이 맞는지 틀리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근데 오늘은 단순히 가즈아~ 주문 외우는 것과 별개로


달러, 원자재, 섹터, ROIC (ROE와 비슷한개념 높으면 좋음), WACC (비용과 비슷한 개념 낮으면 좋음) 등 재미있는 자료들과 함께 얘기해서 재미있게 봤습니다.




긴영상인데 보실 분들은 1.5 배속으로 보시면 금방 봅니다.



대충 요약하면


원자재 가격 안정된다 -> 기업 이익 증가 -> 주식 사라


전고점 뚫으면 기본 60% 이상 상승한다 -> 코로나 이후에 전고점 뚫고 아직 그만큼 못갔다 -> 더 갈거니까 주식 사라


달러 인덱스 골디락스 구간으로 간다 -> 원자재 가격 안정 및 물가 안정 -> 기업 이익 증가 -> 주식 사라



뭐 이런식으로 S&P 와 전체적인 미국 주식에 대해서 긍정론을 설파하면서


후반부는 섹터들과 종목들에 대해서 얘기하는데



중소형주 -> 이익이 정체거나 매년 줄어듬 -> 사지마라


대형주 -> 이익이 매년 늘어나고 비용도 줄어듬 -> 사라


금융 -> 전반기 만큼은 아니지만 ROIC, WACC 보면 살만하다


채권 -> 사지마라


원자재 -> 피크 찍고 다 내려간다 (안정화된다), 사지마라, 하지만 구리는 사도 된다, 신재생시대에 구리가 킹왕짱이다, 대신 구리 선물에 투자하지말고 구리 기업을 사라


에너지 -> ROIC, WACC 보면 절대 사면 안된다, 버핏형님 왜 샀는지 모르겠다 (전반기엔 잘 올랐죠)


헬스케어 -> 매출은 나오면서 (기술의 발전으로) 비용이 압도적으로 줄었다, 풀매수 추천, 대신 소형주 사지말고 대형주사라


IT -> 매출은 폭증하는데 비용은 감소되는 최고의 섹터, 하지만 소형주말고 대형주로 사라, 특히 나스닥 100종목들 안에 들어가는 애들로



기타 추천 섹터는 신재생인데 트럼프 때문에 신재생 투자가 너무 늦었다, 그래서 신재생 관련해서는 차라리 중국에 투자하는게 더 낫다~


뭐 이정도의 요약입니다.



서비스로 국장 멘트도 했었는데, 국장 전문가가 아니라 정확하진 않지만 


간단한 밸류 측정과 M2 와의 상관관계로 보면 코스피는 대략 상승 저점이 3600, 고점이 4200 정도로 보더군요.



전체적으로 인사이트가 느껴지진 않았습니다만,


그래도 다양한 자료들과 함께 말투가 뭔가 흥미진진하셔서 재미있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16 Comments
돈많은백수 2021.06.18 23:00  
정리 감사합니다ㅎㅎ 아침에 삼프로 꼭 듣는데, 일하면서 듣다보니 기억에 남는게 없네요... 덕분에 곱씹었습니다!
나이스놈 2021.06.18 23:00  
어제 꽤 담았는데요..DPST 가즈아~!
아이러브유 2021.06.18 23:00  
개미는 뚠뚠보니까...저런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들으면 바로 질문 들어오드라구요... 그래서, 어떤 종목을 사라구요? ㅎㅎㅎ 유동원 본부장은 국내시장 언급 잘 안하던데...긍정적인 시각으로 보는군요...앞으로 10~20% 상승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나본데...올해안에 4000 터치라도 좀 해봤으면 좋겠네요
수면제 2021.06.18 23:00  
@아이러브유님 앞으로 국내주식 비중은 줄이라고 하더군요.
Jun911 2021.06.18 23:00  
@아이러브유님 보통 근데 종목 픽은 잘 안하는 편입니다. 아무래도 오르면 오르는대로, 떨어지면 떨어지는대로 문제 소지들이 있고 칭찬은 안듣는데 욕은 왕창 먹으니까 DNMR 추천했던 분 욕 아직까지 드시고 리오틴토 때문에 엔젤장이 XX장이라고 욕 엄청 먹었죠. 그래서 그런가 종목들은 대충 뉴스는 전하지만 사라~ 추천한다~ 뭐 그런식으로 정확하게 찝어서 말은 잘 안하더군요. 그래서 만만한게 FAANG 이죠. 시총이 너무 거대해서 영향력이 거의 없다싶이 하니까 ㅎㅎㅎ 추가로 맥스 4200 은 올해 안이 아니고, 내년 6월, 길면 내년 9월까지 사이클로 본 관점이었습니다. M2 와 코스피의 상관관계로 추정한 수치구요.
수면제 2021.06.18 23:00  
주식 하는 사람, 주식시장에서 먹고 사는 사람의 입장에서 지난 30년간의 미국 금융역사를 바라보면 저런 식으로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틀린 이야기도 아니구요. 그런데, 저런 논리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전제가 필요한데 1. 80년대 이후 계속되어온 금리의 대세하락기조가 향후 5년 동안도 계속 꺽이지 않고 이어진다. 2. 지정학적 리스크가 터지지 않는다. 3. 미국 내 고용이 예상보다 훨씬 천천히 회복되고 평균임금도 정체된다. 이 1,2,3의 전제조건이 모두 충족된다면 골디락스는 분명 유지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문제는 그러기가 만만치 않다는 거겠죠. 결국 영상에서도 나오는 “골디락스 사이클 구간”이 계속 이어질거냐 아니냐 그걸 확인해봐야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2번, 지정학적 리스크가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동안 상당히 빈번하게 부각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Jun911 2021.06.18 23:00  
@수면제님 사실 주식 방송에 나오는 사람들이야 거의 대부분 가즈아~ 를 외치죠. 떡락~ 을 외칠 수 있는 생태계도 아니고, 주식방송에서 그리고 그런 양반들을 부르기도 그렇겠죠. 그래서 저는 가즈아~ 외치는거야 누구나 그러니까 그건 괜찮은데 가즈아를 외치는 배경이 무엇이고, 그 논리가 리즈너블 하냐? 를 주로 보는데 오늘 컨텐츠는 논리적인, 대체로 말씀하신 정치나 매크로 데이터 같은 것들 보다는 달러, 원자재, 투자, 비용 등등 심플하게 데이터를 묶어서 얘기해서 귀에 잘 들어왔던 것 같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대로 저 역시 딱히 인사이트가 느껴지진 않았습니다. 그냥 화자의 말투도 재미있고, 확신이 느껴지는 말투라 재미있네~? 라는 생각이었네요. 그래도 하반기 IT 섹터나 헬스케어 섹터 같은 부분들은 저도 동의하는 부분입니다. 나스닥이 전반기에 생각보다 많이 쉰 것 같아서요.
lullu2… 2021.06.18 23:00  
@수면제님 2번은 예측하기가 어렵지 않을까요??? 혹시 아시는거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ㅎㅎ 1번은.. 이어질수밖에 없을거 같아요.. 인류역사상 80년대 부근의 고성장기가 다시 올거 같진 않다는 생각이네요.. 3번은 반대로 생각하면 문제될 정도로 급하게 회복되거나 평균임금이 많이 늘진 않을거 같아서..
갱갱갱갱 2021.06.18 23:00  
@수면제님 전 1번도 틀릴 수 있다는 쪽에 포지션을 좀 잡고 있습니다.
수면제 2021.06.18 23:00  
@lullu20님 예측하기 어려운건 1,2,3 번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2번을 제일 관심가지고 있는 이유는 “너무 조용해서”죠. 3월경 신장위구르 인권문제로 한차례 충돌한 이후 결론이 나오질 않은채 계속 시간이 흐르고 있잖아요.
jio 2021.06.18 23:00  
원자재 가격이 결정할듯 합니다. 문제는 원유인데 전망이 많이 엇갈려서 첨예 하더군요.
Jun911 2021.06.18 23:00  
@jio님 100불 vs 60불의 싸움인 것 같더군요. 저는 왠지 좀 더 올라갈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하반기 수요 증가) 결국 조만간 내려와서 50~60불대에 안착하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그게 80~100불까지 올라갔다가 내년 여름에 50~60불대로 안착하느냐 당장 하반기에 80~100불까지 올라갔다가 올 9~10월쯤에 50~60불대로 안착하느냐 두가지 케이스가 엄청 다른 효과를 낳긴 하겠지만요 ㅎㅎㅎ
lullu2… 2021.06.18 23:00  
@jio님 원유는 얼마나 많은 투기수요가 있느냐의 문제랑.. 어느 정도 높다고 생각되면 쉐일가스가 움직이지 않을까 싶어요.. 저도 조만간 안정화된다는데 한표..
UBE3A 2021.06.18 23:00  
저도 재밌게 봤는데, 정리가 깔끔하네요. 정리하신 거 보니 소재주 ETF(XLB)를 손절하고 나와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한도 끝조 없이 오를 줄 알았는데.
coolni… 2021.06.18 23:00  
저도 1시간짜리 영상인데 재미있게 봤습니다.
뽀물 2021.06.18 23:00  
오늘 아침 출근하면서 이 방송 봤는데... 재밌더군요. 국내증시도 좋게 보시는게... 나름 기준상의 자산비중보다 한국을 많이 담고 계셨어요. 포트의 15% ㅋㅋㅋ 아무튼 김영익 교수의 숫자보다 훨씬 신뢰있고 설득되는 숫자와 챠트로 말씀하시더군요 ㅎㅎㅎ 김영익 교수 지표들은 보면 비교군 대조군 통제도 안되어 있는게 보여서 싫어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