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한파가 결국 원전을 살려내버린 느낌이네요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텍사스한파가 결국 원전을 살려내버린 느낌이네요

그대는나의 32 2130

예전부터 탈탄소한다는데 도대체 어떻게 기저전력을 책임져줄수있는지 궁금했습니다.

풍력이야기가 좀 있었는데

텍사스한파/그몇주전 북유럽한파때문에 풍력발전기가 셧다운되어버렸죠

(환경운동가분들은 화력/원전도 정지먹었다고 그래서 텍사스 대정전왔다고 합니다

사실이긴한데 그것은 방한 설비를 덜 했기때문에 발생한 문제이지

방한설비만 제대로하면 별문제 아니죠

그에 반해 풍력은 구조적으로 한파에 다운되는 것같구요)


탄소는 발생안하면서

기저전력은 책임져줘야하는것?

결국 원전이죠


오늘 빌게이츠/워렌버핏이 미국에 신형 원전 만든다는 기사를 봤는데

이래서 두중이 하늘높은줄 모르고 오르구나.........

넘 일찍 팔았네 이생각이 드네요

32 Comments
lskfsl 2021.06.08 10:00  
유럽에서는 원전을 친환경으로 LNG는 친환경이지 못한 발전으로 본다네요. 한국 경우에는 친환경 한다고 탈원전하고 LNG발전으로 돌린거로 뉴스 봤었는데 말이죠. 유럽에서 원전을 친환경으로 정리한 이유를 원전비중이 높은 프랑스의 입김이 있다네요. 한국도 탈원전은 불가능할거 같습니다
그대는나의 2021.06.08 10:00  
@lskfsl님 이게 사연이 있더라구요 lng친환경으로 보는데 천연가스 개발할때 sk 호주 가스전 개발때 보니까 탄소발생이 엄청 많다고 합니다. 즉 가스전에 이산화탄소+가스 이렇게 있는데 가스는 모아서 쓰는데 탄소는 배출하겠죠 (sk는 포집해서 다시 넣는다고 하는데 잘될까요?) 즉 우리가 lng친환경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탄소를 엄청 배출하는 발전이죠
그대는나의 2021.06.08 10:00  
@lskfsl님 그리고 어디선가 본자료로 기억한데 가스발전이 석탄발전보다는 이산화탄소가 30%줄어들기는 한답니다 그런데 이 co2가 가스전 채굴때 나오는 co2까지인줄은 모르겠네요
그대는나의 2021.06.08 10:00  
@lskfsl님 전 re100때문에 풍력은 해야되구나 생각했는데 결국 다시 원전으로 갈것같습니다 우리나라도 점점 이상한파가 심해지니....
천천히천천히 2021.06.08 10:00  
삼프로TV 출연한 에너지 전문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원전의 약점은 다음 2가지라 합니다. 1. 상식과 달리, 원전 발전단가가 풍력이나 태양광보다 높다.(미국, 영국 기준) - 안전시설 요구 기준이 높아져 있음 2, 풍력, 태양광이 기본이 되면, 원전은 스팟 발전을 할 수 없어 쓸모 없다. (=풍력, 태양광과 양립할 수 없다.) 저는 원전만 따로 생각하면 안된다는 아이디어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원전사고 추가발생 유무, 풍력, 태양광 기술발전에 따라 원전 운명은 달라질 거라 생각합니다.
그대는나의 2021.06.08 10:00  
@천천히천천히님 2번은 풍력/태양광은 기저전력이 안됩니다. 풍력은 기대치가 높았는데 한파에 약하다는것을 보여줬고 기저전력은 무슨일이있어도 공급이 되어야해요
인리버 2021.06.08 10:00  
@천천히천천히님 1.아무리 안전비용이 많아도 풍력이나 태양광보다 비용이 많진 않을 것 같은데.. 풍력이나 태양광도 장비 비용이나 설치 비용이 만만치 않을것 같구요 2. 바람안불고 구름낀다고전기를 안쓸수가 없는데 기본이 될수 있나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G - 1 2021.06.08 10:00  
@인리버님 기술의 발전으로 이미 원전 비용자체가 재생에너지에 비해 비싸진게 현실입니다. 원전이 환경적인가 아닌가는 저탄소만 보느냐 아니냐의 문제였는데 현재는 경제성이 너무나 떨어진다는 평가가 여기저기 나오죠. 너무 눌려서 올라오는거지 장기적으로 갈 사업은 아니라고 봅니다.
천천히천천히 2021.06.08 10:00  
@그대는나의님 풍력-태양광 + 스팟발전 체계로 간다는 말입니다. 원전은 쓸 수 없는 전기를 비경제적으로 늘 생산하니 풍력/태양광과 양립할 수 없다는 논리입니다.
천천히천천히 2021.06.08 10:00  
@인리버님 1. 제가 자료를 체크할 수준이 아니지만, 미국과 영국 발전단가 입찰가가 이미 풍력-태양광보다 원전이 더 비싸졌다는 겁니다. 2. 그러니 풍력, 태양광이 안될 때 천연가스 등으로 발전하자는 거죠. 신재생+가스 발전 세트는 되는데, 신재생+원전 세트는 안된다는 겁니다.
Modera… 2021.06.08 10:00  
@천천히천천히님 결국 친환경 + LNG .. 이게 정석이죠
인리버 2021.06.08 10:00  
@천천히천천히님 그렇군요.. 발전 단가 입찰가가 이미 더비싸졌다니 아이러니 하네요 가스는 원할때 가동할수 있어서 그런가 보네요
사람이사람답… 2021.06.08 10:00  
발전에 물을 사용하면 한파에서 보장되는 발전은 없을것 같은데요;;
후츄츄s 2021.06.08 10:00  
결국 원전을 완전히 버리지는 못할거라는 생각에..다음 대선때까지 들고 있어야지 하면서 2년전부터 두중 모아왔고, 평단 7000원정도 였는데요. 2만원 넘어갈때 팔기 시작해서 2만3천원에 다 팔아버렸습니다. 이때도 오버슈팅이라는 생각에 조정오면 다시 들어가야지 하고 팔아버렸는데 오늘 3만2천원을 찍어버리네요 ㅜㅜ 나름 오랜기간 들고 있으면서 두중관련 공부 했었는데 지금 가격은 광기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내가 눈치가 없는건가 싶기도 하구요 ㅎㅎ 이제는 무서워서 못들어 갈 것 같은데 좀만 더 들고 있을껄 아쉽긴 하네요
그대는나의 2021.06.08 10:00  
@후츄츄s님 저도 광기라고....생각합니다 그래서 몇일전에 던져버렸는데 아깝기는해요
러블리된장 2021.06.08 10:00  
@후츄츄s님 선견지명 !!
소프트코어 2021.06.08 10:00  
아직 모르죠.. 소형원전 상용화에 7-8년이라는데 그때면 수소경제가 어느정도까지 올라올지 몰라서.. 그린수소가 상당히 진전될 가능성도 있어서 폐기물 몇만년 보존비용 생각하면 끔찍합니다.
알면용취2 2021.06.08 10:00  
워렌버핏은 헷갈리는데 빌게이츠는 예전부터 신형 원전 투자했던 사람이라 오늘 펌핑 됐다면 다른 데에 이유가 있을 거에요.
알면용취2 2021.06.08 10:00  
갠적으로 저는 전기차 급증을 대체할 기반으로 화력발전을 지지하지만, 어쨌든 친환경 시대의 중간다리는 원전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더 크니 성장가능성이 있어 보이긴 함다
DDES 2021.06.08 10:00  
기저발전을 책임지는 발전방법. 원전만한게 없죠. 기저발전은 친환경으로 어림없고 결국 석탄을 태우는 방법 뿐입니다. 개인적으로 완전한 탈원전에 반대하는지라 참 아쉽네요.
햇살아이 2021.06.08 10:00  
iea 홈피에 이렇게 나오죠 Nuclear power has historically been one of the largest contributors of carbon-free electricity globally and it has significant potential to contribute to power sector decarbonisation. 요
G - 1 2021.06.08 10:00  
@햇살아이님 저탄소와 친환경을 동일하게 볼수 있는가는 좀 다른 문제죠
bluehe… 2021.06.08 10:00  
풍력도 추운곳에서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텍사스는 그 대비를 전혀 안해서 그렇고.. https://www.kmi.re.kr/globalnews/view.do?rbsIdx=1&key=EEZ&page=6&idx=15261
그대는나의 2021.06.08 10:00  
@blueheart님감사합니다 좋은자료
버니맨 2021.06.08 10:00  
원전은 어쩔 수 없죠.. 물론 안전한 형태의 원전은 적어도 30년, 길면 50년 이상 바라봐야한다고 합니다. 그 전에는 완전히 안전하진 않지만 그래도 구형원전보다는 상당히 개선된 형태이니..
방랑가 2021.06.08 10:00  
풍력도 추위대비 가능합니다. 다만 텍사스야 그런 한파가 없으니 그에 대해 대응이 안되는 제품인거죠 말씀하신 것처럼 풍력,태양력은 기저전력으로 하기에는 날씨에 따른 제한이 있어 전력을 저장할수 있는 ESS나 수소가 같이 발전하는 형태로 갈껍니다.
랜슬럿 2021.06.08 10:00  
결국 그린수소기반 수소발전소 밖에 답이 없다고 봅니다.
켄짱 2021.06.08 10:00  
추운 날씨 천연가스 추출 설비 고장 발전소 가스 공급망 정지로 가스 발전소 정지 이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텍사스는 가스 원자력 석탄 등의 비중이 80프로며 이들의 정지가 큰 영향을 끼친 것이지요. 풍력도 물론 한파에 정지 되었지만 전체 발전소 중에서 풍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지 않기 때문에 풍력 발전기 정지가 주 요인이라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https://www.texastribune.org/2021/02/16/texas-wind-turbines-frozen/ /Vollago
Jun911 2021.06.08 10:00  
풍력도 방한대비 하면 됩니다. 북유럽에서도 돌아가는데 텍사스에서 안돌리가요. 텍사스 풍력 발전 회사들이 평년 기온이 있으니 돈 아끼려고 방한설비를 안한거죠. 화력도 방한설비 안하면 멈춘다고 합니다. 신재생 + ess + 수소전환이 완성되면 신재생으로 기저전력 충분히 가능할겁니다. 문제는 그만큼의 신재생을 과연 설치할 수 있겠냐? 의 문제겠죠.
TrueBl… 2021.06.08 10:00  
신재생+ess의 한계는 문제 발샹시 너무 낮은 커버시간이라고 봅니다. 이걸 해결하는 방법이 수소라고 보고 있는거고요. (소형)원자력을 추구하는 이유는 당장 온난화에 대응하기에 가장 빠르고 확실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원자력 비용이 비싸진 이유는 환경문제도 있지만 대량 공급에 따른 단가 하락을 못시키고 있기 때문이겠죠. 이걸 양산형 설비 및 폐기물 최소화라는 것으로 가격을 하락시키려고 하는 것이죠. 소형 원전은 최소한 군용이나 우주산업용으로 계속 계발될 산업이기도 하고요.
편안하게 2021.06.08 10:00  
원전... 딱 강남에 지었으면 좋겠네요. 한강끼고 딱 좋네요. 서울중심사고. 좀 지겨워요. 전기, 수도 전부 상대적으로 싸게 사용하는 서울시. 뭐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뭐 부산물로 무기를 만든다면 찬성합니다만... 그게 아니라면, 좀더 사회적으로 대체 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생각해요. 이제 걸음마 단계니까요. 그리고 대체에너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어디로 튈지도 모르고요. 긍정적으루요.
phones 2021.06.08 10:00  
비용얘기가 나오는데 대량집중투자하면 단가는 금방 줄어듭니다. 전기차가 그랬듯이요. 앞으로의 전기사용량의 증가량을 화석연료 의존도를 극단적으로 줄여나가면서 풍력이나 태양열로 절대 메꾸지 못한다고 봅니다. 태양광이든 태양열리든 사용되는 대지와 관리의 비효율성, 풍력의 지리적으로 자유롭지 못하는 점때문에요. 차라리 당장은 하이브리드로의 강제 전환을 거쳐서 전기차로 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