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News & Comments(05/31)
■ 화학/정유 황규원(02-3770-5607)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Reliance +6.0%, BASF +1.2%, Formosa Plastics +0.5%
- 하락: LUKoil -0.7%, ExxonMobil -0.3%, DuPont -0.2%
▶️News & Data
文 “500만달러 규모 그린펀드 기금 신설”… COP28 유치 추진
- link: https://bit.ly/3uBsylC
The weekend read: Age of green hydrogen causes co-location rethink
- link: https://bit.ly/3wJ2BSN
(주간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동향)
- 2020년 2분기 △0.9$ → 2021년 1분기 1.8$ → 2021년 3월 1.8$ → 5월 1주 2.9$/배럴 (과거 평균 5.8$, 손익분기점 4.0$) → 5월 28일 1.94$/배럴
(중국 석화제품 가격 동향, 5월 28일)
- 상승폭 大: 가성소다 +1.55% 브롬 +1.17% 요소 +0.86% 하락폭 大: 황산 △3.11% 염산 △2.85% 벤젠 △2.83%
(계통한계가격 가중평균치)
- (직전주 5월 3주) 79.35원/kWh, (5월 4주) 78.42원/kWh
▶️코멘트
(태양광 사업 근황 및 전망) BNEF PV outlook 2Q21 요약
- 수요) 글로벌 설치 수요 161~204 GW 규모 예상. 증가폭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전년대비 27% 이상 성장함. 원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투자자들의 설치 수요는 감소. 중동, 동남아, 아프리카 등 원가 상승 영향 큼. 그러나 미, 중, 일, 한국, 호주 등 대규모 프로젝트는 영향 없음.
- 폴리실리콘 공급) 21년 총 공급량은 589,000톤(=207GW 규모, 2.84g/W로 추산), 대부분의 중국 업체들이 증설중이고 22년~23년 완성될 예정. 증설 계획을 반영한 폴리실리콘 공급량은 22년 272GW, 23년 380GW 수준. 그러나 설치수요의 증가는 22년 210GW, 23년 222GW로 불균형이 커질 것. 따라서 22년에는 15~20$/kg 수준 예상함.
- 웨이퍼, 셀 공급) 공격적인 증설 계획이 이어져 2020년 웨이퍼 생산능력은 215GW 기록. 2021년Top 5위 업체들의 추가 증설 계획은 81GW 예정.
- 모듈 공급) 위안화 강세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2020년 모듈 제조 원가는 전년대비 16% 상승. 폴리 실리콘 가격이 26$/kg를 초과하면 대부분의 모듈 제조사들은 BEP에 도달함. 2Q21동안 폴리 실리콘 가격이 22$/kg 정도 유지하면 모듈 가격 0.23$/W 정도에서 수렴할 것. 모듈 제조 업체는 최종 소비자인 EPC 개발 업체들에게 가격을 전가하기 힘든데, 전기요금 등 태양광 발전 사업의 계약 조건들의 변경이 어렵기 때문.
- 신장자치구 관련) 5월 12일 존 케리 미 대통령 기후특사는 바이든 행정부 차원 규제를 검토하겠다고 발언. SEIA에서 발표한 Traceability Protocol 보고서에서도 강제 노동에 대한 우려를 표현함. 현재 폴리실리콘 공급량 589,000 톤 중 신장 자치구에서 생산되는 양은 277,000 톤. 유럽향 최종 고객사들은 신장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지 않기 위한 프리미엄을 지불할 용의가 충분한 것으로 파악.
■ 철강/금속/자동차 이현수(02-3770-5718)
▶️글로벌 철강/금속 기업 주가
- 상승: China Steel +5.6%, Nippon Steel +4.2%, JFE Holdings +3.9%
- 하락: U.S. Steel -0.6%, ArcelorMittal -0.1%, Baoshan -0.1%
▶️글로벌 자동차 기업 주가
- 상승: Honda +3.6%, BYD +2.4%, Toyota +1.7%
▶️News & Data
현대제철, 당진 3고로 한달만에 정상 가동· 출선량 회복
- link: https://bit.ly/34zSkfH
현대제철, 6월 철근가격 ‘84만 5천원’ 확정
- link: https://bit.ly/3c536yq
세아베스틸 6월 탄합봉강 단가 인상
- link: https://bit.ly/3gc1PXZ
내달 끝나는 車 개소세 5%→3.5% 인하 조치 연말까지 6개월 추가 연장
- link: https://bit.ly/2Tqs0SU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 오토(Li Auto), 베이징 현대 1공장 인수
- link: https://bit.ly/3vAAcOD
SK, 美자율주행트럭 스타트업과 파트너십 체결…물류사업 강화
- link: https://bit.ly/3c213v9
■ 건설/건자재 김기룡(02-3770-3521)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Chiyoda +2.3%, JGC +1.3%
- 하락: Fluor -1.6%, Saipem -1.0%, Technicas -0.7%
▶️News & Data
오세훈 "상생주택 민간토지주 종부세 혜택줘야" 국민의힘에 건의
- link: https://bit.ly/3yMmPwF
6월 1일부터 전·월세 신고제…시장은 이미 혼란
- link: https://bit.ly/3yIySv7
'빅브러더' 논란 부동산거래분석원, LH사태 후 도입 '급물살'
- link: https://bit.ly/3p4QL2F
등록임대사업 폐지에 '뿔난' 사업자들, 헌재에 집단 탄원 예고
- link: https://bit.ly/3fzRIwR
세종 공무원 특공 전면폐지… “필요시 시세차익 환수”
- link: https://bit.ly/2RZDOel
전국 미분양 주택 22개월 만에 증갉전달 보다 3.5% 늘어
- link: https://bit.ly/3yRRlFp
4월 주택거래량 9만3천건…전달보다 9% 감소
- link: https://bit.ly/3cnqAPR
4월 주택 인허가 물량 44,600호…작년 동월 대비 40%↑
- link: https://bit.ly/3yHQKpM
서울 공시지가 상승률 11.54%…강남 14.1% 1위
- link: https://bit.ly/34wY2yY
서울 재건축 최대어 ‘둔촌주공’, 새 조합장 선출…사업 정상화 ‘속도’
- link: https://bit.ly/3p54ff1
가덕도신공항 검증 본격화…사타 조사 용역 착수
- link: https://bit.ly/3vAMDtM
■ 통신서비스/지주회사 최남곤(02-3770-5604)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Plug Power +2.6%, Verizon +0.4%
- 하락: AT&T -0.9%, Siegfried -0.5%
▶️News & Data
KT파워텔 매각 일단락...과기정통부 공익성 심사 종료
- link: https://bit.ly/3ihI1oL
SK에코플랜트, 청주 건설 폐기물 처리업체 클렌코 인수 추진
- link: https://bit.ly/3c28nHm
■ 인터넷/게임 이창영(02-3770-5596)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Salesforce +5.4%, Baidu +0.7%, Paypal +0.2%
- 하락: Facebook -1.2%, Tencent -0.7%, Google -0.2%
▶️News & Data
아바타로 번 돈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환전
- link: https://bit.ly/2RNzxe9
엔씨 '트릭스터M' 흥행 가도…수익구조 다변화 기대↑
- link: https://bit.ly/2Tu9hG5
■ 미디어/엔터/레저 박성호(02-3770-5657)
▶️글로벌 미디어/엔터 기업 주가
- 상승: TME +2.1%, Trade Desk +0.6%, Spotify +0.5%
- 하락: ViacomCBS -1.7%, WMG -1.6%, AMC -1.5%
▶️글로벌 레저 기업 주가
- 상승: Expedia +1.6%, Booking H. +1.1%
- 하락: Airbnb -1.9%, Marriott Int. -1.5%, LVS -1.4%
▶️News & Data
강원랜드 카지노 방문자, 확진자 1명 발생
- link: https://bit.ly/3wKEyTy
LGU+, SM엔터와 손잡고 온라인 전시관 연다
- link: https://bit.ly/3yN2DuE
CJ ENM, 네이버와 함께 '문피아' 인수전 파트너로 참여
- link: https://bit.ly/3uyPulM
‘분노의 질주9’, 거뜬히 200만 고지 돌파 예상
- link: https://bit.ly/3fUm9wB
■ 화장품/음식료 박은정(02-3770-5597)
▶️글로벌 화장품 기업 주가
- 상승: KOSE +1.9%, Kering +1.7%, Loreal +1.5%
- 하락: Shanghai Jahwa -1.6%, Proya -0.6%, P&G -0.1%
▶️글로벌 음식료 기업 주가
- 상승: Ajinomoto +4.2%, PepsiCo +1.0%, EVK +0.8%
- 하락: Asahi -0.4%, Coca Cola -0.4%, Philip Morris -0.3%
▶️News & Data
中 광저우, 코로나19 확산에 일부 지역 '외출 금지령'
- link: https://bit.ly/3wIvzlJ
美 ‘복수여행’ 폭발…노마스크 연휴 비행기 만석, 휴양지 북적
- link: https://bit.ly/3vF41gX
면세정백화점 등 소매판매액 석달 연속 오름세
- link: https://bit.ly/2SIb5dX
모더나 백신 첫 도입…다음달까지 1,300만명 백신 접종
- link : https://bit.ly/3fADhsc
'구독, 라방, 디지털 방판에 배달까지' 화장품 업계, 판매 채널 다각화로 매출 반등 기대
- link: https://bit.ly/2RaoU4M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 日 공략 '고삐'…시즌 신상 3종 출시
- link: https://bit.ly/3i2bzpY
롯데푸드, 10년 만에 온라인몰 리뉴얼…'빅데이터 큐레이션' 적용
- link: https://bit.ly/3p4kuc1
B2B사업 강화하는 CJ제일제당, 전문 브랜드 '크레잇' 론칭 등
- link: https://bit.ly/3yOVslF
■ 제약/바이오 서미화(02-3770-5595)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Arvinas +5.6%, Lonza +1.7%, Spectrum +1.5%
- 하락: Athenex -2.5%, Arrowhead -0.2%, CRISPR -0.2%
■ 소매/유통 이진협(02-3770-5659)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Aeon +3.1%, Seven&i Hodings +2.1%, Dufry +1.9%
- 하락: Macy's -3.1%, Nordstrom -2.2%, Coupang -0.5%
▶️News & Data
롯데百 본점, 골프 매장 재단장 “2030 골퍼 모십니다”
- link: https://bit.ly/2SG1Vie
'소비심리 회복' 백화점 등 소매판매액 석달 연속↑
- link: https://bit.ly/34w0zcM
"도시락 부족해요" 불만에 … 편의점, 잇따라 신메뉴 강화
- link: https://bit.ly/3fU8oya
▶️코멘트
[종합]GS리테일ㆍGS홈쇼핑 합병 승인…'매출 10조' 유통공룡에 ‘성큼’
- link: https://bit.ly/3p4Ifkr
- GS리테일과 GS홈쇼핑 합병 임시주총 통과. 특별한 이슈가 없으면 7월 1일 합병법인 출범 예정
- 고객 통합, 인프라 통합, 상품 통합 등을 통해 주로 이커머스의 시너지를 창출해내고자 할 것으로 판단
- 의미 있는 이커머스 사업자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합병법인만의 차별화 서비스가 요구되며, 퀵커머스 등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됨
- 주가 측면에서는 합병법인 P/E 10배에 불구, 편의점 사업자로서 Value를 받을 경우 업사이드 기대해볼 수 있을 전망
- 합병 비율 고려 시, GS홈쇼핑이 현 주가가 GS리테일 대비 6% 정도 저평가 되어 있음
- 관련 자료 링크 : https://bit.ly/3p74kii, https://bit.ly/3vzMqHp
■ 은행/증권/보험 정태준 (02-3770-5585)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HSBC +3.8%, MUFG +1.9%, Credit Suisse +0.9%
- 하락: MetLife -0.5%, JPMorgan Chase -0.1%
▶️News & Data
- 5월 28일 거래대금 22.0조원 (vs. 2020년 평균 23.0조원, 1Q21 평균 33.3조원, 2Q21 누적 평균 27.0조원)
- 5월 27일 신용공여 잔고 41.3조원 (vs. 2020년 평균 30.4조원, 1Q21 평균 39.3조원, 2Q21 누적 평균 41.4조원)
▶️코멘트
4월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 2.91%…15개월來 '최고'
- link: https://bit.ly/3vycIcM
- 4월 예금은행의 가중평균금리 데이터 관련 내용(한국은행, link: https://bit.ly/3i5gwyB)
- 은행 합산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3월과 동일한 2.12%로 (1월 2.05%, 2월 2.10%, 3월 2.12%), 1분기 평균 2.09%대비 3bps 개선. 신규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전월대비 1bp 하락.
- 예대금리차가 전월대비 추가로 개선되지 않은 것은 4월 중 시장금리가 소폭 하락했기 때문으로 판단. 다만 예금금리 repricing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어 시장금리 반등 시 예대금리차는 다시 확대될 전망
유안타 리서치센터 기업분석팀 채널
유안타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채널
유안타 티레이더 인포 채널
www.myasset.com/tradarinfo
유안타 리서치센터 카카오톡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