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경제성장률 1.6%…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1분기 경제성장률 1.6%…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기후위기 0 233
[속보]1분기 경제성장률 1.6%…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이윤주 기자 [email protected]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전분기 대비 1.6%로 집계됐다고 27일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지난해 1분기(-1.3%)와 2분기(-3.2%)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1%), 4분기(1.2%) 반등한 바 있다.

앞서 한은은 1분기 성장률이 1.3% 정도면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뒷걸음친 GDP 규모가 코로나19 이전 2019년 4분기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는데, 이보다 높은 1.6%를 기록했다.

그동안 부진했던 민간소비의 회복이 두드러졌다. 민간소비는 내구재(승용차·가전제품)와 비내구재(음식료품 등) 등의 소비가 늘면서 1.1%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0.0%)와 4분기(-1.5%)와 비교하면 회복세가 뚜렷하다.

정부소비도 추가경정예산 집행 등으로 1.7% 성장했다. 수출은 1.9% 증가했고, 수입도 2.4% 늘었다. 다만 수출 증가율은 전분기(5.4%)보다 낮아졌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의 기여도는 0.5%포인트인 반면 순수출(수출-수입)은 -0.2%포인트로 집계됐다. 민간소비가 성장률을 0.5%포인트 끌어올렸지만, 순수출은 오히려 성장률을 0.2%포인트 끌어내렸다는 것이다. 추경이 집행된 정부 지출은 성장률을 0.3%포인트 높였다.

설비투자도 기계류·운송장비 증가와 함께 6.6% 성장했고, 건물 건설 호조와 함께 건설투자도 0.4% 늘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1.8%로, 교역조건 개선의 영향으로 실질 GDP 성장률(1.6%)을 웃돌았다.


ING "韓 경제 올해 4% 성장 가능성..원화 추가 절상 압력 예상"

서울, 4월27일 (로이터) - ING가 27일 배포한 한국 경제 보고서 주요 내용:
* 한국 1분기 GDP 발표 결과 경제 회복세 예상보다 강한 모습..연간 4% 성장 가능성도 있어
* 수출과 투자에 비해 민간소비 1.1% 증가는 약해 보일 수 있지만, 연율 기준 4.5%로 전혀 나쁘지 않아
* 현재로서는 한국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기존 2.7%) 상향 조정에 있어 3.5%가 적당한 시작점
* 전망치 4% 상향 조정 여력에 있어서는 백신 보급 속도 가속화 여부, 코로나 확진자 수 추이 좀 더 지켜봐야
* 한국은행 조기 긴축에 대한 관심 아직 이르나, 높아질 수밖에 없어..원화에도 추가적으로 절상 압력 제공할 것으로 예상
* 한은 긴축 시점으로는 내년 하반기 예상되지만 가파른 GDP 성장세 지속되고 노동시장 회복도 진전을 보일 경우 앞당겨질 수 있어


(이지훈 기자; 편집 박예나 기자)


바클레이즈 "韓 올해 4.1% 성장..한은 내년 초부터 금리 인상"

서울, 4월27일 (로이터) - 바클레이즈 27일자 한국 경제 보고서 주요 내용:
* 서프라이즈 한국 1분기 GDP 발표에 연간 성장률 전망치 4.1%로 상향 조정 (기존 전망 3.7%)
* 수출과 투자 전망 긍정적이고, 민간소비 회복세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져..높은 코로나 확진자 수 추이는 경계
* 한국은행 5월 경제 전망 발표에서 성장률 전망치 3.6%-3.7%까지 상향 조정할 가능성
* 올해 연말까지 마이너스 GDP 갭 완전히 좁혀질 가능성 있다고 판단
* 한국은행 내년 1분기부터 기준금리 인상 전망 유지..내년말까지 1.0%로 인상 예상


(이지훈 기자; 편집 유춘식 기자)


씨티 "韓 성장률 전망 상향..민간소비 취약하나 상방 리스크 커"

서울, 4월27일 (로이터) - 씨티그룹이 27일 배포한 한국 경제 보고서 주요 내용:
* 한국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 3.6%로 0.3%p 상향 조정..전망 상회한 1분기 GDP 영향이 0.2%p 차지
* 수출과 투자 증가세 예상보다 강한 가운데 민간소비는 상대적으로 약한 모습
*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백신 접종 지연과 코로나 확진자 수 증가, 자동차 등 업종의 공급망 교란 따른 수출 증가세 둔화 가능성 꼽혀
* 민간소비 향후 전망에 있어서는 상방 리스크가 하방보다 높다고 판단
* 전자상거래와 거주물품 소비 증가 등 소비행태의 급격한 변화, 집단 면역 달성 이후 일시적인 '보복 소비' 가능성은 긍정적
* 다만, 현재로서는 코로나 확산세와 백신 접종 속도 영향에 연말까지 민간소비는 약한 회복세 보일 것이라는 기본 전제 유지


(이지훈 기자; 편집 유춘식 기자)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