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전 과천농협 감사, 땅 6곳 사서 5곳 보상…“LH 직원 족집게 과외”
기후변화
기타
0
217
05.14
[단독]전 과천농협 감사, 땅 6곳 사서 5곳 보상…“LH 직원 족집게 과외”
김희진·박채영 기자 [email protected]
경향신문 취재 결과, A씨와 B씨는 2021년 1월 시흥시 매화동 밭 2645㎡를 16억원에 사들였다. 같은 날 A씨 가족을 포함한 5명도 과림동 일대 땅을 21억원에 매입했고, 다음달 광명·시흥 신도시 계획이 발표되면서 과림동 일대 땅은 모두 보상 대상이 됐다. 당시 A씨는 과천 공공주택지구 주민대책위원장이자 과천농협 비상임감사였으며 B씨는 과천의왕사업단 보상 업무 담당자였다.
A씨가 과거 언론 인터뷰에서 “주민이 아닌 LH 사업이익에 맞춘 개발계획안”이라며 3기 신도시 사업에 반대했던 만큼 두 사람은 처음 대립하는 관계로 만났을 가능성이 크지만, 어느 순간 투기 정보를 주고받는 사이가 된 것으로 일대 주민들은 추정한다. 이들이 땅을 사들인 전후 관계나 누가 먼저 정보를 줬는지는 불분명하지만 A씨는 2016년부터, B씨는 2017년부터 비슷한 시기에 땅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게다가 A씨는 과천동에서 보상받을 지역만 정확하게 찍어 땅을 매입했다. 이는 내부정보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A씨와 관계자들은 시흥시 땅을 포함해 과천을 오가며 총 6곳에서 ‘땅 쇼핑’을 했다. 먼저 A씨와 가족으로 추정되는 C씨는 2016년 3월 과천동의 937㎡ 밭을 7억8500만원에 매입했다. 이들은 2018년 1월 함께 주암동 하천부지를 2억원에 사들였다. A씨는 그사이 2017년 6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또 다른 가족·지인과 과천동의 땅 2곳 매입에 나서기도 했다. A씨가 사들인 곳 중에는 하천과 맹지 등 일반적으로 투자 가치가 떨어져 수요가 없는 땅들도 포함돼 있었다. 이들 땅은 2018년 12월 과천 신도시 계획이 발표된 후 전부 보상 대상에 포함됐다.
A씨의 대출 내역을 봐도 그가 확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땅 구매에 나섰을 것이란 추정이 가능하다. 2016년부터 A씨와 그 가족 등이 땅을 사면서 은행에서 받은 대출 금액은 모두 35억원이 넘는다. 지난 1월 과림동 21억원짜리 땅을 사들일 땐 A씨 가족을 포함한 공동소유자 5명이 각 3억5280만원씩 총 17억6400만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다.
이때 모든 대출은 A씨가 2019년부터 비상임감사를 맡았던 과천농협에서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A씨와 함께 땅을 산 B씨도 총 7개 필지를 사들이면서 비슷한 방식으로 지인들과 함께 대출을 받았다. B씨가 과천농협뿐 아니라 북시흥농협에서 집중적으로 대출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경찰이 북시흥농협 지점 2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A씨는 최근 과천농협 감사직을 사임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가 토지보상 금액을 늘리기 위해 매입한 땅에 창고 등을 짓는 수법을 사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과천 공공주택지구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A씨는 최근 과천 ‘공작물 보상협의회’를 만들어 활동 중”이라며 “공작물 보상 협의는 땅에 컨테이너나 창고 등을 짓거나 지목을 잡종지로 변경해 보상값을 늘리는 수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A씨가 똑똑한 줄 알았더니 알고 보니 과외선생님(B씨)을 잘 만난 것이었다”고 말했다. 실제 A씨가 2017년 가족과 함께 매입한 과천동 땅에는 ‘종묘배양장’ 목적의 철골구조 건물이 지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희진·박채영 기자 [email protected]
경향신문 취재 결과, A씨와 B씨는 2021년 1월 시흥시 매화동 밭 2645㎡를 16억원에 사들였다. 같은 날 A씨 가족을 포함한 5명도 과림동 일대 땅을 21억원에 매입했고, 다음달 광명·시흥 신도시 계획이 발표되면서 과림동 일대 땅은 모두 보상 대상이 됐다. 당시 A씨는 과천 공공주택지구 주민대책위원장이자 과천농협 비상임감사였으며 B씨는 과천의왕사업단 보상 업무 담당자였다.
A씨가 과거 언론 인터뷰에서 “주민이 아닌 LH 사업이익에 맞춘 개발계획안”이라며 3기 신도시 사업에 반대했던 만큼 두 사람은 처음 대립하는 관계로 만났을 가능성이 크지만, 어느 순간 투기 정보를 주고받는 사이가 된 것으로 일대 주민들은 추정한다. 이들이 땅을 사들인 전후 관계나 누가 먼저 정보를 줬는지는 불분명하지만 A씨는 2016년부터, B씨는 2017년부터 비슷한 시기에 땅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게다가 A씨는 과천동에서 보상받을 지역만 정확하게 찍어 땅을 매입했다. 이는 내부정보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A씨와 관계자들은 시흥시 땅을 포함해 과천을 오가며 총 6곳에서 ‘땅 쇼핑’을 했다. 먼저 A씨와 가족으로 추정되는 C씨는 2016년 3월 과천동의 937㎡ 밭을 7억8500만원에 매입했다. 이들은 2018년 1월 함께 주암동 하천부지를 2억원에 사들였다. A씨는 그사이 2017년 6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또 다른 가족·지인과 과천동의 땅 2곳 매입에 나서기도 했다. A씨가 사들인 곳 중에는 하천과 맹지 등 일반적으로 투자 가치가 떨어져 수요가 없는 땅들도 포함돼 있었다. 이들 땅은 2018년 12월 과천 신도시 계획이 발표된 후 전부 보상 대상에 포함됐다.
A씨의 대출 내역을 봐도 그가 확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땅 구매에 나섰을 것이란 추정이 가능하다. 2016년부터 A씨와 그 가족 등이 땅을 사면서 은행에서 받은 대출 금액은 모두 35억원이 넘는다. 지난 1월 과림동 21억원짜리 땅을 사들일 땐 A씨 가족을 포함한 공동소유자 5명이 각 3억5280만원씩 총 17억6400만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다.
이때 모든 대출은 A씨가 2019년부터 비상임감사를 맡았던 과천농협에서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A씨와 함께 땅을 산 B씨도 총 7개 필지를 사들이면서 비슷한 방식으로 지인들과 함께 대출을 받았다. B씨가 과천농협뿐 아니라 북시흥농협에서 집중적으로 대출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경찰이 북시흥농협 지점 2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A씨는 최근 과천농협 감사직을 사임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가 토지보상 금액을 늘리기 위해 매입한 땅에 창고 등을 짓는 수법을 사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과천 공공주택지구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A씨는 최근 과천 ‘공작물 보상협의회’를 만들어 활동 중”이라며 “공작물 보상 협의는 땅에 컨테이너나 창고 등을 짓거나 지목을 잡종지로 변경해 보상값을 늘리는 수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A씨가 똑똑한 줄 알았더니 알고 보니 과외선생님(B씨)을 잘 만난 것이었다”고 말했다. 실제 A씨가 2017년 가족과 함께 매입한 과천동 땅에는 ‘종묘배양장’ 목적의 철골구조 건물이 지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합동특별수사본부는 B씨를 비롯한 LH 현 직원 20명을 포함해 총 198명을 내사 또는 수사 중이다. 경향신문은 A씨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답변을 듣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