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3기 신도시 발표 전 일부지역 토지거래량 급증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뉴스]3기 신도시 발표 전 일부지역 토지거래량 급증

기후변화 0 259
3기 신도시 발표 전 일부지역 토지거래량 급증
송진식 기자 [email protected]

10일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집계를 보면 2018년 11월 인천 계양구의 순수토지(건축물 제외) 거래량은 336필지로 전달(113필지) 대비 3배 가량 급증했다. 이전 월간 평균 거래량(약 78필지)보다도 4배 이상 많은 거래량이다. 이때는 정부가 3기 신도시 지역 중 한 곳으로 인천계양을 확정발표(2018년 12월19일)하기 한 달 전이었다.

같은 시기 3기 신도시 지역으로 선정된 하남교산도 그해 12월 472필지가 거래돼 전달(228필지)보다 2배 이상 거래가 늘었다. 선정발표가 12월 하순쯤 이뤄진걸 감안하면 사전정보를 바탕으로한 필지매매가 늘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들 2곳과 같은 시기 신도시로 지정된 남양주왕숙의 경우 거래량 변화가 크지 않았다.

정부가 2019년 5월 3기 신도시 지역으로 고양창릉과 부천대장을 추가 선정발표하기 전에도 유사한 흐름이 이어졌다. 고양창릉이 속한 고양시 덕양구의 순수토지 거래량은 2019년 1~4월 간 200건 이하를 밑돌다가 5월 들어 300건대로 높아졌다. 2018년에 월평균 100여 필지가 거래된 부천에선 2019년 3월에만 223필지가 거래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현직 직원들의 사전투기 의혹이 제기된 광명·시흥 지역의 경우 2017년부터 거래량이 늘기 시작했다. 광명시의 순수토지 거래량은 2016년 893필지였지만 2017년 1036필지, 2018년 1665필지, 2019년 1715필지, 2020년 2520필지 등으로 늘었다. 민변 등이 폭로한 LH직원들의 토지보유현황에서도 2017년부터 직원들이 농지를 사들이기 시작했다.

LH직원들이 농지를 집중 매입한 시흥시 과림동의 경우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 집계를 보면 지난해 8월 이후 토지거래가 거의 없다가 올해 ‘2·4 공급대책’이 나오기 3개월 전인 2020년 11월~2021년 1월 사이 거래량이 30건으로 급증했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인천계양과 남양주왕숙의 경우 신도시 후보지로 유력하게 꼽히던 지역은 아니다”라며 “남양주왕숙에 비해 인천계양의 거래량이 크게 늘어난 점은 주목해서 봐야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3기 신도시 지정 전후 공직자들의 투기여부를 가리기 위해 2013년까지 조사기간을 넓혀 조사를 벌이는 중이다. 정부합동조사단은 11일 1차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