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은행권 신용대출 전면중단...내년에도 가계대출 증가세 우려
기후변화
기타
0
353
05.14
은행권 신용대출 전면중단...내년에도 가계대출 증가세 우려
이윤주 기자 [email protected]
신한은행은 15일부터 올해 마지막날까지 ‘쏠편한 직장인 신용대출’을 포함한 직장인 신용대출의 비대면 신청을 받지 않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직장인 신용대출은 중단하지만 일반 서민대출 등은 가능하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연말까지 대출 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과 오피스텔 담보대출 접수를 하지 않기로 했다. 2021년 실행분만 접수 가능하다. KB은행은 이날부터 연말까지 1억원이 넘는 모든 가계 신용대출을 원칙적으로 막기 시작했다. 또 다른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을 KB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로 갈아타는 ‘타행 대환 주택담보대출’도 연말까지 중단한다. 우리은행은 지난 11일 비대면 신용대출 주력 상품인 ‘우리 WON하는 직장인대출’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
올해 가계대출이 워낙 가파르게 늘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생활자금 수요가 늘고 ‘영끌’, ‘빚투’ 열풍까지 불면서 주택매매나 주식투자에 신용대출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었다. 여기에 지난달 말부터 실시된 고소득자의 신용대출 규제를 앞두고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까지 몰린 것이 복합적으로 신용대출 위험을 키웠다. 5대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 10월말 128조8431억원에서 지난달말 133조6925억원으로 한달 동안 거의 5조원 가까이 늘었다. 하준경 한양대 교수는 “고소득 전문직 사이에서 저금리와 자산시장 활황을 틈타 ‘일단 받아놓고 보자’는 심리가 강했다”며 “신용대출이지만 사실상 주택담보대출과 비슷하게 쓰이는 경우가 많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대출 총량을 관리하도록 은행들에게 강하게 요구하면서 은행들이 실제 조치에 나선 것인데, 은행들은 불만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와 규제 때문에 일시적으로 대출이 늘어난 것인데 당국이 은행들에만 책임을 전가하는 것 아니냐”며 “일시적으로 대출 총량을 맞출 수는 있겠지만, 이렇게 한다고 해서 집값을 잡을 수 있겠느냐 하는 회의적 의견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윤주 기자 [email protected]
신한은행은 15일부터 올해 마지막날까지 ‘쏠편한 직장인 신용대출’을 포함한 직장인 신용대출의 비대면 신청을 받지 않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직장인 신용대출은 중단하지만 일반 서민대출 등은 가능하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연말까지 대출 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과 오피스텔 담보대출 접수를 하지 않기로 했다. 2021년 실행분만 접수 가능하다. KB은행은 이날부터 연말까지 1억원이 넘는 모든 가계 신용대출을 원칙적으로 막기 시작했다. 또 다른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을 KB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로 갈아타는 ‘타행 대환 주택담보대출’도 연말까지 중단한다. 우리은행은 지난 11일 비대면 신용대출 주력 상품인 ‘우리 WON하는 직장인대출’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
올해 가계대출이 워낙 가파르게 늘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생활자금 수요가 늘고 ‘영끌’, ‘빚투’ 열풍까지 불면서 주택매매나 주식투자에 신용대출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었다. 여기에 지난달 말부터 실시된 고소득자의 신용대출 규제를 앞두고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까지 몰린 것이 복합적으로 신용대출 위험을 키웠다. 5대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 10월말 128조8431억원에서 지난달말 133조6925억원으로 한달 동안 거의 5조원 가까이 늘었다. 하준경 한양대 교수는 “고소득 전문직 사이에서 저금리와 자산시장 활황을 틈타 ‘일단 받아놓고 보자’는 심리가 강했다”며 “신용대출이지만 사실상 주택담보대출과 비슷하게 쓰이는 경우가 많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대출 총량을 관리하도록 은행들에게 강하게 요구하면서 은행들이 실제 조치에 나선 것인데, 은행들은 불만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와 규제 때문에 일시적으로 대출이 늘어난 것인데 당국이 은행들에만 책임을 전가하는 것 아니냐”며 “일시적으로 대출 총량을 맞출 수는 있겠지만, 이렇게 한다고 해서 집값을 잡을 수 있겠느냐 하는 회의적 의견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연말 관리 시점을 벗어나면 내년에도 가파른 가계대출 증가세가 우려된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창구를 막는 극단적 조치보다 애초에 대출 심사 자체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는다. 차주의 소득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대출의 용도 역시 향후 추적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 교수는 “국내 은행의 경우 소득자료가 없으면 신용카드 사용액의 95%를 소득으로 인정해준다든가 하는 식으로 대출을 너무 쉽게 내주는 경향이 강하다”며 “현재 소득이 끊긴 경우라면 미래 소득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하고, 현재 핀셋식으로 적용하고 있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