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로나19 불평등... 3분기 가구 소득 상위 20% 늘고 하위 20% 줄었다
코로나19 불평등... 3분기 가구 소득 상위 20% 늘고 하위 20% 줄었다
박광연 기자 [email protected]
통계청은 19일 발표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서 지난 3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530만5000원)이 지난해 3분기보다 1.6% 늘었다고 집계했다. 소득 증가율은 올해 2분기(4.8%)의 3분의 1 수준이다.
경기 부진이 계속되며 임금과 사업소득이 모두 줄었다. 근로소득(347만7000원)은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많이 감소(-1.1%)했다. 사업소득(99만1000원)도 1.0% 줄었다. 반면 정부 지원금 등으로 구성된 공적이전소득(50만3000원)은 29.5% 늘었다. 상승폭은 3분기 기준 최대였지만 2분기(127.9%)보다는 작았다.
저소득층 소득이 줄고 고소득층 소득은 늘면서 소득격차는 더 커졌다.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 소득(163만7000원)이 1.1% 감소한 반면, 5분위(소득 상위 20%) 소득(1039만7000원)은 2.9% 증가했다. 이에 따라 1분위 대비 5분위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이 4.88배로 0.22배포인트 커졌다. 배율이 높을수록 소득 불평등이 심화됐다는 뜻이다.
소득격차가 벌어진 것은 저소득층이 경기위축의 타격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이다. 근로소득 감소폭은 1분위(-10.7%)가 5분위(-0.6%)보다 컸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임시일용직 등 일자리 타격이 컸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사업소득도 양극화돼 1분위는 8.1% 줄어든 반면 5분위는 5.4% 늘었다. 공적이전소득은 오히려 고소득층 소득 상승에 더 기여했다. 1분위(15.8%)보다 4분위(63.5%)·5분위(40.3%)에서 증가폭이 컸다. 아동특별돌봄지원금 등이 가구원수에 따라 보편 지급된 결과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가구원수는 1분위(2.38명)에서 5분위(3.53명)로 갈수록 많다.
정부는 이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녹실회의에서 “8월 중순 이후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발생한 내수·고용충격에 4차 추가경정예산 등으로 신속히 대응해 소득 감소를 보완하고 분배 악화도 완화시켰다”고 평가하면서 “임시·일용직 근로자와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시장소득 감소가 커 정부 지원을 통한 소득·분배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저소득층의 소득 감소는 일자리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며 “양질의 일자리를 다수 만들어낼 수 있도록 제조업 같은 산업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석진 명지대 교수는 “정부의 보편 지원이 소득분배에는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한다”며 “더 어려운 계층에 집중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3분기 가구당 가계지출(398만9000원)은 2.2% 줄었다. 소비지출(294만5000원)도 1.4% 감소했고, 평균소비성향(69.1%)은 역대 3분기 기준 최저치였다. 쓸 수 있는 소득 100만원 중 69만원만 소비했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