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지수에 대한 여러 가지 데이터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S&P500 지수에 대한 여러 가지 데이터

리버풀 17 228

많은 투자 전문가분들이 하는 얘기 중에 미국의 개별 기업 투자가 어려우면 그냥 S&P500 지수에 투자하라는 말을 하죠.

너무 단순한 방법처럼 들리지만, S&P500 지수 차트를 보면 절로 수긍이 갑니다. 


16419791906145.png

1920년 이후 S&P500의 주봉 차트


이렇게 든든한(?) S&P500 지수를 좀 자세히 살펴보고 싶어 엑셀로 몇 가지 데이터를 추출해봤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데이터는 모두 주봉 기준입니다.)


일단 위의 차트를 보면 이상한게, 제가 알기론 1920년대 말에 미국은 대공황이 있었는데, 차트에는 이게 보이지 않습니다. 

이유는 위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의 눈금이 선형적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그래프의 세로축을 로그 스케일로 바꾸어 보았습니다. 


16419791909795.png

1920년 이후 S&P500의 주봉 차트 (로그 스케일)


이렇게 보니 새삼 대공황의 위엄(?)이 느껴지네요. 

그리고 선형 그래프에서는 잘 보이지 않았던 많은 크고 작은 울퉁불퉁한 굴곡들이 보입니다. 

 

그럼 이번에는 주요 하락장에서 전고점 대비 낙폭이 어느 정도인지 계산해봤습니다.

1920년대 이후 현재까지 통틀어 기록했던 최악의 MDD는 경제대공황 시기인 1932년 6월~7월에 기록했던 -86%입니다. (그냥 죽여주세요...)

2000년 이후로 한정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초에 기록했던 -56%가 최대 낙폭입니다. 

최근 10년 중에 가장 컸던 MDD는 바로 2020년 3월에 기록했던 -32%입니다.


MDD도 중요하지만, MDD 못지 않게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전고점을 회복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인데요, 이것도 한 번 계산해봤습니다.

* COVID-19: 2020년 2월 16일의 3380.16 포인트 이후 계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다가 2020년 8월 23일 3397.16 포인트를 기록하며, 전고점을 회복하기 까지는 대략 6개월이 걸렸습니다.

* 글로벌 금융위기: 2007년 10월 14일 1561.8 포인트 이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2013년 3월 24일 1569.19로 양전하기 까지는 5년 5개월이 걸렸습니다. 

* 닷컴 버블: 2000년 3월 26일 기록했던 1547.46 포인트를 돌파해 2007년 7월 15일 1552.5를 기록한 것은 7년 4개월만입니다.

* 대공황: 1929년 9월 6일 31.92 포인트 → (25년) → 1954년 9월 26일 32.4 포인트 (묵념...)


가장 든든해 보이는 S&P500 조차도 역사적으로는 엄청난 우려곡절이 있었네요. 

그나마 현대로 올수록 MDD가 작아지고 전고점 회복 기간도 짧아지는 것 같은데 맞는 해석인지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최근으로 올수록 미연준이 시장 상황에 더욱 기민하게(?) 반응해서 그런 게 아닌가란 추측을 해봅니다.


처음의 그래프에서 보는 것처럼 장기간의 시계열을 봤을 때 분명 S&P500에 투자하는 것은 성공률이 높은 투자임에는 분명합니다. 

다만, 가장 든든해 보이는 S&P500 조차도 시장에 들어가는 타이밍에 따라 꽤나 긴 시간을 마이너스 상태에서 버텨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6419791913667.jpg


시장 진입 타이밍을 알 수 없다면 결국 분할 매수(ex. 적립식 투자) 또는 분산 투자(다른 자산군과의 자산배분)가 대안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17 Comments
OS폐인 2022.01.12 18:00  
1920년대까지 포함하는 것은 사람에 따라 의견이 갈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포함하여 생각한다면 최소 10년이 장투의 기준입니다. 그 이하에서는 손실이 났던 구간이 1920년을 포함하면 생기기 때문이죠. 재수없으면 10년 장투해서 간신히 수익률 -1% 정도가 나올 수 있습니다.
리버풀 2022.01.12 18:00  
@OS폐인님 공감합니다. 20~30년대는 워낙 이례적이라 전체 데이터를 왜곡할 정도이지요. 2000년대 이후를 따로 계산해본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OS폐인 2022.01.12 18:00  
@리버풀님 하지만 그렇다고 쳐도 닷컴버블이 터지고 회복되는데 7년이나 걸렸네요... 버블이 크면 회복되는데 오래 걸리는건 진리인 것 같습니다. 추가로 누군가에게는 닷컴버블로 마이너스 난 계좌가 회복되는 7년이었겠지만 누군가에게는 자신의 주식계좌가 우상향하는 7년이었겠죠.
탱바이꿀 2022.01.12 18:00  
@OS폐인님 그래서 지수투자는 무조건 적립식으로 가야 멘탈보호가 되죠... 닷컴버블 때려맞았어도 만약 적립식으로 꾸준히 모으는 투자자였다면 다시 투자금 회복하고 이익을 보기까지 7년이나 걸리지는 않으니까요ㅎㅎ
엉클머리 2022.01.12 18:00  
일반화는 좀 위험해요.
리버풀 2022.01.12 18:00  
@엉클머리님 맞습니다. 사람마다 투자기간, 시드가 제각각이니 함부로 일반화할 순 없죠.
엉클머리 2022.01.12 18:00  
또 종목마다 다르죠. 지수 추종이냐 애플이냐에 따라서, 회복에 7년이냐 2년이냐가 달랐고요. 애플은 회복하고 다시 2년 후에 두 배나 크게 성장해요.
hobodo… 2022.01.12 18:00  
감사합니다 ????
리버풀 2022.01.12 18:00  
@hobodon님 댓글 감사합니다~!
버니맨 2022.01.12 18:00  
30년 이상 장투가 가능한 20~30대 들은 무조건 S&P500에 넣는 게 답이라고 봅니다. 적어도 저축되는 금액에 20~30% 이상은 넣는 게 좋다고 봅니다.
리버풀 2022.01.12 18:00  
@ 버니맨님 맞습니다. 글 쓰다보니 S&P500에 투자하면 안 될것처럼 쓰였는데 장기 적립식 투자로 이만한게 없죠~ 저도 포트에 SNP500 꽤 들어가 있어요
역사의평가 2022.01.12 18:00  
급락오면 s&p최고의기회네요
리버풀 2022.01.12 18:00  
@역사의평가님 네 그때를 대비해서 현금을 어느 정도 들고 있으면 엄청난 기회가~
탱바이꿀 2022.01.12 18:00  
혹시 데이터는 어디서 받으셨나요? 저도 미국 지수 과거 데이터들 가지고 이것저것 하는 중인데, 인베스팅닷컴에서는 1980년 이전 자료가 잘 안나와서요;;;;
리버풀 2022.01.12 18:00  
@탱바이꿀https://stooq.pl/ 이라는 사이트에서 다운 받았습니다. 저도 야후파이낸스, 인베스팅닷컴을 둘 다 써봤는데 여기가 제일 좋더라구요~ (폴란드 사이트지만 영어도 지원됩니다)
탱바이꿀 2022.01.12 18:00  
@리버풀님 감사합니다..ㅎㅎ
꼬마거지왕자 2022.01.12 18:00  
제가 보기에는 S&P에 지수를 차지하고 있는 포션을 보면 빅테크 기업들이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도 큰 요인이 아닌가 하네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