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금리 그리고 원자재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인플레이션, 금리 그리고 원자재

정보...부… 8 230

고견을 나눔으로 

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변화를 예측하여 '수익'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먼저 경제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일반인의 수준임을 감안하여 봐주시기 바랍니다.


1.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가? 장기적인가? (향후 최소 2~3년간 높은 인플레이션 예상)

인플레이션이 높다고 나쁜건 아니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 이상으로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합니다.

그런데 현재 일어나는 인플레이션은 코로나 부양등으로 시중에 돈은 엄청나게 풀렸는데, 성장은 더디니...물가가 오르는 것이죠.

과거의 사례...전년대비 M2가 10%이상 증가된 사례는 대략 2번 정도였는데, M2 증가율이 Peak를 친 뒤에 약 2~3년의 시차를 두고 CPI가 Peak를 쳤습니다. 그렇다면...20년 발생한 M2 Peak치는...보수적으로 2~3년뒤 CPI의 Peak치를 볼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할 겁니다.


2.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가능한가?

2.1 기준금리 인상의 필요성

과거에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과거에는 인플레이션 보다 높게 기준금리를 올렸습니다. 소위 말하는 볼커모멘트도 있었죠

그런데...지금 치솟는 인플레이션(5%~7%)에 대응하기 위해...기준금리를 0.25%씩 4회 올린다고 해도 고작해야 1%이죠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언론플레이는 "기대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줄수는 있을지 모르나

인플레이션에는 금리를 올리는 "행동"이 필요하죠. 


2.2. 연준의 Balance sheet를 고려시 물가를 잡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은 어려울 것

미연준의 부채가...9조달러에 가까운 22년 현재...물가를 잡기 위해 "실질 인플레이션"이상으로 

기준금리 인상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합니다.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올리것이나...인플레이션을 잡기에는 역부족일 겁니다.

( https://www.fruiting.co.kr/board/global_view/?id=Q_96Rn4BXDsbjakvlbqv
'21.1월 JP모건체이스의 최고경영자 제이미 다이먼도 10일 CNBC 인터뷰에서 "만약에 우리가 운이 좋다면, 연준은 경제를 연착륙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연준이 생각하는 것보다 인플레이션이 더 나쁠 가능성도 있다"며, 그러면 지금 예상하는 것보다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25bp 단위의 네 차례 금리인상은 굉장히 굉장히 작은 규모이다. 경제가 흡수하기에는 아주 쉽다"고 지적했다고 하죠)


3. 시중금리는 어떻게? 

5%의 인플레이션은 메년 구매력이 5% 상실하는데, 돈을 빌려서 이자로 2%를 준다면...돈을 빌려주지 않겠죠.

즉 금리는 기준금리와는 별개로 상승중에 있습니다. 미국 10년 채권의 금리가 '20년말 0.93%, 21년말1.47%, '22.1월 1.76% 등으로 상승진행중이죠. 물론 기준금리 인상때문이라고 할수도 있겠습니다만....금리는 기대 인플레이션을 반영하게 마련이니까요...


시장에서는 올해 10년물 채권금리를 2.5% 전망하고 있습니다. 


4. 시중금리의 상승은 어떤 영향을 줄것인가?

시중금리의 상승은....자금의 이동을 수반할 것입니다. 저 같은 소시민은 상상조차 할수 없는 막대한 자금의 이동인거죠. 

금리 인상은 수익율 기반의 자산 가격의 하락을 가져올 것이라고 누군가 전망합니다. 

수익율 기반의 자산가격이 하락하는데 돈을 걸어 "돈"을 벌수 있는 도박판은...가치보다는 방향성에 따라 움직이겠죠.

과연 인플레이션과 시중금리의 상승은.....어떤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인가?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원자재가 인플레이션을 헤지할수 있는 투자처라고 합니다. 


5. 원자재가 과연 상승할 것인가?

자원안보 (인도네시아 석탄수출 금지 등), 

전기차 등 산업의 변화 (전기차 판매가 증가하면 니켈11배, 리튬 8배 그리고 구리는 7배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 등으로....이미 작년(21년)에 원자재 가격 슈퍼사이클 전망이 있었죠. 


앞으로의 상황을 예상하자면

1.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다. 

2. 인플레이션은 시작되었고 장기화 될 것이다. 

3. 시장 금리도 계속 오를 것....


향후 변화는

1. 수익기반 자산의 가격은 하락할 것 (부동산, 주식(성장주) 등)

2. 원자재는 상승할 것 (인플레이션 헤지 뿐만 아니라 산업의 변화 등으로)


그렇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아니...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8 Comments
우리리리 2022.01.12 22:00  
그렇게 생각하면 자산 배분을 인플레이션에 강한 자산에 넣어두시면 되겠죠. 비중관리를 하시면되겠죠. 인플레에 강한 자산에 한 40퍼정도를 하고 이런 인플레기간에도 고성장할법한 회사에 뭐 일부 올리고 이런식으로요. 원자재 투자와 가치주 투자를 비중 증가 하시고 성장주에 비중을 줄이시면서 압축하시고 포트를 구성하시면 되겠죠. 성장주는 리스크가 크니 더 확실한 회사에 압축해서 넣고 원자재나 가치주는 일부 추세라는 기준하에 다양하게 분할로 뿌려놓으면 인플레에선 강한 포트가 구성되긴하겠네요. 물론 이 경우는 고물가 저성장의 기조일때 기준입니다. 물가도 높은데 성장도 잘된다면 성장주 비중도 상당해야겠죠.. 이 사이에서 대부분 고민하시겠죠 현재는..
정보...부… 2022.01.12 22:00  
@우리리리님 고물가의 예측이 맞는가? 이게 고민인거죠. 저는 확신합니다만...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떤 변화를 예상하시는지...그리고 어떻게 대처하고 계신지... 저는 생각이 많고(깊진 않아서 문제)... 걱정이 많은 스타일이라..ㅋ 의견 감사합니다. 꾸벅
우리리리 2022.01.12 22:00  
@정보...부장님 투자는 자기확신으로 하는거가 맞죠. 저는 물가에 대해선 온라인 개방이후와 후가 완전히 다르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과거의 현상이 똑같이 나올거라고는 생각안합니다. 빅데이터까지 나온 마당에 수요공급은 어느정도 항상 좁혀들어 간다고 봐요. 근데 중국이란 나라 자체가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에서 변해가다보니 어디서 디플레를 수출 할 가능성이 있는지 찾아보고 이게 없다면 뭐 인플레가 쉽게 잡히긴 어렵겠죠. 수요와 공급의 큰 차이는 사실 점점 정보가 교환함에 따라서 좁혀들고 여기서 오는 디플레가 있고 중국발 디플레 이 두개가 있는데 전자는 공급망 이슈가 해결되면 전 일부 해소된다보는데 결국엔 후자가 해결 될 수 있는지의 문제겠죠. 미국의 리쇼어링이든 미중갈등에서 오는 인플레의 추이를 확인해야죠. 뭐 저야 애초에 탑다운을 잘 못하는 사람이라.. 그냥 이렇게만 생각합니다ㅡ
Andrew… 2022.01.12 22:00  
원자재 관련주를 사는게 맞지 않을까요? 금 은 구리 철강 등등
정보...부… 2022.01.12 22:00  
@Andrewck님 전기차 확대는 예상되었으니...구리 그리고 니켈에 대해 공부해보려 합니다. (금이나 은은...아마도 다른 원자재보다 한발 늦게 그리고 느리게 움직일듯 합니다)
lll!!l… 2022.01.12 22:00  
잘 몰라서 여쭈어 봅니다.. 고물가가 되면 주식이나 코인 등이 더 오르지 않을까요? 벨류라는 의미 자체로 봤을때는 가격 형성인데 고물가가 되면 그 물가에 맞춘 가격이 형성되니 더 오를 것 같아서요
정보...부… 2022.01.12 22:00  
@lll!!ll!l!님 돈이 주식에만 있디 않고 채권. 부동산 등등에 분산되어있죠. 극단적으로 일반화한다면...금리 1% 예금은 무위험으로 년1% 이익이죠. 주식 배당수익율이 1% 라면 무위험자산과 동일하죠. 그렇다면 주가 상승의.기회도 있으니 주식으로 돈이 몰릴수 있죠. 그런데 금리가 10%가 되었다고 가정한다면, 산술적으로 주가 배당수익율이 1%로 동일하다면 주식값은 1/10로 내려가야 예금과 동일한 수익이겠죠. 금리가 올라가면 돈이 주식에서 빠져서 더 높은 수익처로 이동한다는겁니다. 물론 주식과 부동산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절대가격은 오를겁니다. 대신 임금도 오르고 생활비도 올랐겟죠. 상대적임을 염두에 두시고..변화의 초입임으로 기회가 있는것이죠 아직 돈이 아주 서서히 움직이는 중이니까요. 코인은...제가 잘 모르기도 하지만....본질적 가치측면에서...원자재는 실물이 있지만...코인은 무엇이 남는지 모르겠습니다. 튤립과 뭐가 다른지...튜립은 꽃이라도 남았지만 코인은 전기만 잡아먹고 뱉어내는건 없잖아요. 저도 모릅니다. 미래를 모른다는 것에 겸손해야죠. 그럼 이만..꾸벅.
lll!!l… 2022.01.12 22:00  
아.. 금리와 함께 생각했어야하는 군요.. 역시 정보.. 부장님..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 (__)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