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에 상대적으로 더 자유로운 기업이 콘텐츠기업 아닌가요?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인플레이션에 상대적으로 더 자유로운 기업이 콘텐츠기업 아닌가요?

힙합팬 10 228

인플레이션에 상대적으로 더 자유로운 기업이 콘텐츠기업 아닌가요?


고PER이긴 한데 엄청 많이 떨구네요..


지금 여러 문제 중 가장 큰 문제가 인플레이션인데,


엔터 기업은 상대적으로 인플레로부터 좀 더 자유로울 거라 생각했는데


일단 비싼 주식이니 주가도 세게 내리네요ㅜㅜ

10 Comments
엉클머리 2022.01.11 14:00  
인플레이션으로 가계 소비가 줄면, 가장 먼저 컨텐츠 소비부터 줄이는 걸로 알아요.
힙합팬 2022.01.11 14:00  
@엉클머리님 아 이럴 수도 있겠네요. 이 생각을 못했네요.. 감사합니다!!
888888… 2022.01.11 14:00  
헐... 지금 문제가 인플 해결로서 돈 감소이고 인플로 가면 소비는 느는거고 다시말해 소비축소....걱정인건데... 어떻게 이렇게 이해 하시는건지요...
엉클머리 2022.01.11 14:00  
원가의 관점에서는 본문의 내용이 타당하기에 그렇게 생각하셨을 거 같네요. 유통 가격이 증가 할 수는 있는데, 다른 제조나 서비스 분야와 달리 컨텐츠는 인플레이션 영향을 받기 이전의 제작 원가일 테니까요. 그래서 논리적 판단하기가 참 어려운 거라서 사례를 살펴보는 게 좋은데, 기억으로는 몇 번의 경제 위기때 컨텐츠 소비가 줄고 마지막에 생필품 소비가 줄었네요.
힙합팬 2022.01.11 14:00  
@88888888님 '공급망 이슈→ 제조원가 부담이 커지는 기업'. 이 생각에만 매몰되어 있었는 듯 합니다ㅜ 이렇게 여쭤보면서 머리를 더 키우네요. 감사합니닷!!!
힙합팬 2022.01.11 14:00  
@엉클머리님 맞습니다! 제가 이 생각에만 매몰되어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widowm… 2022.01.11 14:00  
소위 사치주(엔터/게임)에 들어가요. 장이 좋을때 제일 마지막에 오르고, 장이 안좋을때 제일 먼저 내리는...
방콕투자자문 2022.01.11 14:00  
인플레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인플레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는게 문제죠. 테크 기업의 미래가치라는게 금리(할인율)로 결정되니까요.
소프트코어 2022.01.11 14:00  
저도 동의 합니다. 컨텐츠 비용이 준다 했는데..틀린 말도 아닙니다. 다만 가격대비 성능으로 보면.. 전 5인가구라 영화관 가는 것보다 넷플릭스 구독이 더 싼데요. 이런저런 소비도.. 최근엔 페이백 많이주는 네이버로 주로하구요. 또 미국은 임금자체가 오르고 있어서 임금이 안오르는 다른 나라보다는 더 좋을 것 같아요. 이런 저런 핑계를 대고 키맞추기 하지만, 결국 금리 인상기에도 현금많거나 투자여력이 많은 기업은 여전히 빅테크쪽이 될 것 같습니다.
킬라시 2022.01.11 14:00  
고PER가 문제인거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