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코스피는 비싼편에 속합니다.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현재 코스피는 비싼편에 속합니다.

쥬쥬총회 21 222

16416083767382.jpg 이미지 캡션

10년 코스피 per 밴드차트입니다.


한눈에 봐도 코로나이후 유동성과 기저효과로인해 20~21년 코스피는 이례적인 상황이었습니다.


게다가 21년초 네이버의 일본z홀딩스 합병건으로 일회성이익 15조가 발생되었고요..


단순 코스피 순이익기준으로만 본다면 올해는 21년대비 역기저로 인해 쉽지않은 해가 될것같네요.


코스피전체 시가총액으로 본다면


금리는 올라가니 21년대비 높은 멀티플을 주기힘들테고


실적은 역기저로 인해 작년대비 나빠질확률이 상당히높고 ( 공급망차질, 원자재가격상승등)


코스피시가총액 = 코스피 per x 코스피 순이익


즉 코스피전고점 뚫기가 만만치 않아보입니다.


그러면 " 그만해~~ 이러다 다죽어~~" 가 되는걸까요?


냉정히 보면 현재 코스피지수는 이례적이었던 20,21시즌을 제외하면 밴드상단에 속해있습니다.


즉 역대기준으로 상당히 비싼가격에 올라와있기에 per9지점까지 충분히 하락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현재 per11이니 하방이 18%즈음 열려있다는 해석도 무리는 없겠죠..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1. 코스피가 저평가구간은 아니기에 지수관련 투자는 크게 재미없는 구간입니다. ( 적립식 제외)


2. 다같이 손잡고 오르는 장세는 끝났습니다.

   철저하게 실적잘나오는 개별종목위주로 오를가능성이 높습니다.


3. 현재가아닌 앞으로 실적이 잘나올 섹터중 철저하게 저평가된 종목으로 접근합니다.


4. 말로만 성장이 아닌 진짜 성장을 보여주는 기업도 좋습니다. ( 물론 저는 통찰력이 없어 성장주 투자는 자신없네요..)

----------------------------------


사실 요즘 주식시장의 모습이 평소의 k증시모습입니다.


코스피는 언제나 박스피에 상장종목 상당수가 시클리컬이라 투자난이도도 높고


대주주의 전횡또한 만만치 않으니까요.


즉 원래부터 난이도가 헬난이도였습니다.


그래서 미국으로 많이들 가는거 같네요..


그럼에도 투자를 계속하려면 어쩔수없이 적응해야하겠죠..



결론


코스피 지수로만 보면 싼구간이 아닙니다.


철저하게 개별종목 위주로 접근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물론 저도 주린이이기에 신뢰하시면 안됩니다.

(주식관련해서는 어떤 전문가의 말도 믿으시면 안됩니다.

스스로 공부하고 철저히 분석해야 합니다.)







 









21 Comments
hobodo… 2022.01.08 11:00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런 차트는 어디서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쥬쥬총회 2022.01.08 11:00  
@hobodon님 주로 증권사리포트에서 봅니다
widowm… 2022.01.08 11:00  
망한다 망한다...하는 글보단 훨~~~씬 영양가 있는 글이네요. ????
쥬쥬총회 2022.01.08 11:00  
@widowmaker님 감사합니다. 비관론자는 명예를얻고 낙관론자는 수익을 얻으니까요
킬라시 2022.01.08 11:00  
PER로 고평가를 논한다면 PER싼 주식을 사면 됩니다. 코스피가 비싸다고 하려면 다른나라 PER과 비교가 필요합니다. 그러면 비싸지 않습니다. 코스피 역대 PER로 한정하더라도 작년1월달에 해야지 지금은 고평가라고 하기보다는 평균이하는 아니다 정도인듯합니다. 예로 드신 네이버는 이미 급락중이고 일회성 이익은 주가 반영도 일회성으로 끝납니다.
쥬쥬총회 2022.01.08 11:00  
@킬라시님 코스피전체로보면 per pbr밴드 둘다 유효성이있습니디. 다른나라 per과 비교하려면 배당성향도 비교해야겠죠?? 일본과 한국 둘다 저평가요인중하나가 배당성향입니다 현재 비싸다 싸다는 각자 개인의 판단이니 존중합니다.
우리리리 2022.01.08 11:00  
역대로 비교하긴 사실 힘들다고 봐요. 한국장 기업들의 포지션이 대체로 예전과 같지 않거든요. 개인적으로는 산업의 개편이나 글로벌 유동성을 배제하고 본다면 뭐 per이 급격하게 내려갈 수 있겠지만요. 애초에 이걸 배제하면 전세계 증시가 대부분 버블에 가깝고 그냥 투자자체를 하면 안되는 수준이죠. 2017년 반도체하나로 역대 최고 수출을 찍던 코스피와 2021년 코스피는 사실 같은 선에 놓고 비교하긴 어렵죠. 세상이 위기가와서 또 뭐 내려갈 수 있다라곤 주장할 순 있지만 과연 예전처럼 한국이 그정도로 싼 벨류로 점점 내려갈지는 의문입니다. 물론 뭐 그렇다고해도 지수접근은 아직까진 시기상조라는 말은 동의합니다. 애초에 지수접근이 가능하려면 금융자체가 먼저 선진국이 되어야겠죠.
쥬쥬총회 2022.01.08 11:00  
@우리리리님 한국이 왜 싼 벨류를 적용받는지는 나중에 따로 게시글로 올려볼게요
Hendri… 2022.01.08 11:00  
코스피만 보면 그런데 미국 S&P 같은 미국지수와 비교하면, 저평가일 수 있죠. 그리고 점점더 무형자산이 중요해져 가는 흐름에 PER가 절대적인 평가기준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암튼 말씀하신 우려되는 점에는 동의합니다.
쥬쥬총회 2022.01.08 11:00  
@Hendrix님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한국기업은 유형자산에서 수익을 창출합니다. 그래서 pbr per밸류에이션이 중요하고요
smoon 2022.01.08 11:00  
per로 비교를 하려면 다른 나라 per와 비교를 해서 싼가 비싼가를 따져야 하지 않나요? 제가 알기론 per로는 타국보다 한국 주식이 비싼편이 아니지만... 지배구조 불투명성,싸이클 산업에 집중된 한국 산업구조, 물적분할,낮은 배당성향등의 투자자들의 이익을 무시하는 횡포, 기관과 외인들에 자행되는 불공정한 공매도, 금융범죄에 대한 모니터링부족등등... 경제규모에 비해 후진적인 관행과 시스템 등등의 이유 때문에 한국 주식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쥬쥬총회 2022.01.08 11:00  
@smoon님 한국증시 저평가는 이유가 너무많아서 한번 따라 올려볼게요
케이터햄7 2022.01.08 11:00  
홍진채 대표가 같은 얘길 하더라구요. 궁금하신 분은 참고하세요~

쥬쥬총회 2022.01.08 11:00  
@케이터햄7님 홍진채대표님 좋은말씀 많이 해주시죠.. 유튜브는 축복입니다
흑우형 2022.01.08 11:00  
글쎄요? per 를 기준으로 생각하는건 무리가 있어보이는데요? per가 낮은 기업이라고 주가가 오르는게 아닌것 처럼요.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세계의 2%밖에 되질 않습니다. 이게 세계 10위권내의 경제강국에 맞는 규모인지 의심스럽습니다. 후진국적 시스템민 고치면 더 오를것 같은데요
쥬쥬총회 2022.01.08 11:00  
@흑우형님 per이 절대 지표는 물론 아닙니다 다만 한국산업구조상 한국증시에서는 유효한 지표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이젠정말 2022.01.08 11:00  
주린이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질문 몇개만요.. 20.03 이후를 공매도 금지(및 재개)와 저금리등 이유로 데이터에서 제외해보면… 그래프에서 몇몇 구간이 특징적으로 보이는데.. 1)16.01이후 19.01까지 흘러내리는 이유가 금리때문인가요? 해당구간 계속 금리를 낮췄던거 같은데요. 그냥 저성장이라서 저per를 받은건 아닌지요. 해당구간 부동산은 올랐거든요.—> 제 기억이 잘못 됐네요 ㅠ 2)19년 초반에 뭔일 있었나요? 기억에 19년 하반기에 불경기로 2차례 금리를 낮췄습니다. 그래프의 급상승과는 안 맞는 거 같습니다.
쥬쥬총회 2022.01.08 11:00  
@이젠정말님 본문그래프는 코스프지수가 아닌 코스피 per밴드차트입니다. 즉 19년도하반기에는 지수대비 상장사들이 돈을못벌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젠정말 2022.01.08 11:00  
@쥬쥬총회님 설명 감사드립니다
곰돌이꿀단지 2022.01.08 11:00  
좋은 글 감사합니다.
ProNAS 2022.01.08 11:00  
주가의 표시는 돈으로 합니다. Currency 로. 이렇게 돈가치가 떨어지는데. 주가는 당연히 올라가야죠. 사실 주가가 올라가나 돈가치가 떨어지나 비율로 보면. 그거죠. 우리나라 주가는 아무 변동 없어도 돈의 가치 하락으로 주가는 올라가야 합니다. 이에 남북문제 호전 국제적 한국의 이미지 호전 (한류) 국제적 한국의 중요성 부각 등 주위 환경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정도 차이이지 주가는 당연히 올라가고 있어야 합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