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자사주 소각한다
5일 업계 및 시장에 따르면 포스코는 최근 내부적으로 자사주 소각 방침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만간 이사회를 거쳐 자사주 소각 규모와 시점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국내외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포스코의 자사주 소각에 대한 요구가 컸다”며 “연내 자사주 소각 방침을 확정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포스코가 자사주 소각에 나설 경우 오는 28일로 예정된 임시 주주총회에서 ‘지주사 체제 전환’에 대한 소액주주들의 찬성표를 확보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분석된다.
그간 상당수의 소액주주는 주주가치 훼손 등을 우려해 지주사 전환을 반대했다. 포스코는 다른 기업 집단과 달리 오너가 없고,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의 지분율이 낮아 사실상 소액주주를 설득하지 못하면 지주사 전환이 불가능하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포스코 5% 이상 주주는 국민연금(9.75%)과 미국 씨티뱅크(7.30%)가 있다. 이밖에 포스코 우리사주조합(1.41%), 자사주(13.26%) 등을 제외하면 70%가량이 소액주주다.
포스코 자사주는 1156만1263주로 지분율이 13.26%에 달한다. 포스코는 2020년 4월부터 1년 동안 약 1조원을 투입해 자사주를 매입했다. 2020년 3월 포스코가 보유했던 자사주는 707만1194주(8.11%)였는데 1년 만에 13%대까지 높아졌다.
통상 자사주 매입은 주식 유통물량이 줄어들고, 기업이 주가 관리에 적극적이라는 신호를 주기에 주주들에게 호재로 작용한다. 다만 진정한 의미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자사주 매입과 더불어 소각까지 이뤄져야 한다. 소각하는 자사주만큼 전체 주식수가 줄어들어 주당 가치와 주당 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이 증가하고, 주당 배당금이 높아지는 등 주주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포스코는 주주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4일에 철강사업 자회사의 상장을 엄격하게 제한하겠다는 내용을 정관에 추가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자회사 포스코 상장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사라지지 않자 정관에 직접 명시해 주주들을 안심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지주사 전환을 결정하는 임시주총에 앞서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을 비롯해 소액주주들의 마음을 잡는 것이 포스코 입장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자회사 상장을 막는 안전장치를 만든 데 이어 그간 요구가 많았던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가 회복에 집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