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대에 현기차 전망을 어떻게 보십니까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전기차 시대에 현기차 전망을 어떻게 보십니까

쿤타맨vs매… 43 288


제 개인적으로는 쉽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현기차가 그나마 시장에서 점유율 잡고 시장 넓힌 이유가

철판부터 엔진 미션까지 내연차 거의 모든 주요 부품을

수직 계열화 시켜 위험은 협력업체에 이익은 현기차가

가져가는 구조로 마진을 극대화 해서 지금까지 살아 남은 

것으로 보는데요


전기차로 가면서 핵심 모듈은 모비스에서 받지만

제일 중요하고 단가가 비싼 배터리는 외부 조달이죠.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싸게 가져 오는 것이 중요한데

엘지나 에스케이 삼성 등의 케파는 한정되어 있고

배터리 공급사들은 대규모의 안정된 고객사를 우선으로

저렴하게 배터리를 공급할텐데 현기차의 전기차 물량 

수준으로 얼마나 싼 값에 원하는 수량을 가져 올 지가 

애매합니다.


현재도 전기차 판가가 유럽의 프리미엄 브랜드 판가와

비슷한데 경쟁이 될지…

거기에 중국 내수 시장에서 치고 박고 살아남은 경쟁력 갖춘

중국 브랜드가 글로벌 데뷔하면 현기가 버틸 수 있을지…


이런 부분에서 현기차 주식은 보유하기 좀 그렇지 않나…

라는 뻘 글을 적어봅니다.


제가 모르거나 간과한 부분이 있다면 의견 부탁드립니다.



43 Comments
선잎 2022.01.04 00:00  
지금 전기차들 팔아서 얼마나 이득보고 있는지 마진율이 얼마나 나오는지는 모르겠으나.. 표면적인 차량 나오는거나 평가들을 보면.. 내연기관 업체들 중에서는 상당히 잘 하고 있다고 평가해 주고 싶습니다. 다만.. 아직 낮은 브랜드 밸류나.. 전기차 최대시장인 중국에서 거의 못팔고 있는점,배터리 개발이나 자율주행,소프트웨어 에서 딱히 두각을 보이지 않는것,향후 노조 문제 등은 부정적인 요소라 생각됩니다.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선잎님 현기 21년 전기차 판매 총 합은 20만대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역사의평가 2022.01.04 00:00  
중국이 현대를 위협하면 현대는 GM 포드나 도요타 자리를 위협하면서 커야겠죠...현대 전기차 플랫폼이 내연기관 상위 기업보다 떨어진다고 생각되진 않습니다. 시장이 크게 흔들리면 그 철옹성같은 자동차 점유율을 가져올 기회이기도 하니 베터리회사랑 같이 적당한 선에서 투자하고있습니다.. 적어도 일본이 잡고있는 동남아 시장은 싸워볼만 하다는 생각이기도 해서요..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역사의평가님 동남아 시장에서 팔리는 현기차 모델은 i10 같은 마진율 떨어지는 저가 차량이 대부분입니다.
역사의평가 2022.01.04 00:00  
@쿤타맨vs매뚜기가면맨님 그러니 전기차로 진입되기만 하면 판이 바뀌는거죠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역사의평가님 한국 브랜드들은 중고가 차량은 경쟁이 안되고 싸구려 차량을 많이 파는 시장인데 전기차로 진입하면 왜 판이 바뀌죠???
몸튼튼맘튼튼 2022.01.04 00:00  
@쿤타맨vs매뚜기가면맨님 고가차도 마진 맞추기 힘든데, 저가차량은 더더욱 힘들듯 하네요.
역사의평가 2022.01.04 00:00  
@쿤타맨vs매뚜기가면맨님 현대차, 동남아 전기차 시장 판 뒤집는다 http://naver.me/G5IPFTyh 이거나 한번 보세요 무관세 수출 + 인니공장 생상 동남아시장 포기하려고요? 중국만 기회이고 현대차는 기회에 노는건 아니죠 현대차가 놀고있는게 아닌데요? 투자하려면 이정도 뉴스는 찾아보고 미래에 투자하는거 아닐까요? 답을정해놓고 물어보시는거같네요 뉴스나 비전찾아서 알려줘도 답을정해놓으신거같아 할말이 없네요
OutLie… 2022.01.04 00:00  
그냥 현상유지 정도겠죠... 기존 양산차 메이커 중에는 폭스바겐이 앞서나가는 모양새이고 미국차들 포드 GM이 열심히 따라가고 있죠. 일본차들은 좀 뒤쳐지고... 현기차는 그냥 중간정도 가서 현상유지나 간간히 할것 같네요. 그리고 내연차에선 별볼일 없었던 중국차들이 치고나올게 확실하므로 마진률은 떨어질듯 합니다.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OutLier님 휴대전화 시장과 비슷할 걸로 봅니다. 애플 vs 기타 요
CROCE1 2022.01.04 00:00  
배터리 문제 : 다른 전기차 업체들도 자체 생산이 아닌 구매를 통해 전기차를 생산하니 다른 점은 크게 없다고 봅니다. 오히려 한국 경제의 고질적인 재벌 구조로 인해, 현차회장이 삼성이나 LG, SK 회장 하고 만나서 뭐 전기차 배터리 MOU한다 중장기적 파트너쉽으로 간다 이렇게 언론 플레이하면 주가는 더 상승할 겁니다. 미래 전략 : " 철판부터 엔진 미션까지 내연차 거의 모든 주요 부품을 수직 계열화 시켜 위험은 협력업체에 이익은 현기차가 가져가는 구조로 마진을 극대화" 100% 공감합니다. 이 전략을 전기차에 쓸 수 있을 지가 문제인데, 오히려 전기차로 사업을 개편하면서 기존 협력사들은 뭐 몰라라 하고, 재벌 구조의 경영권 인계를 위해 전기차 관련 회사(HW / SW 전부)를 그룹사로 편입시키면서 뛰워주기와 지분 관리로 이용 할 수도 있겠죠. 새로운 전기차 협력사 구조를 만들면서 마진은 감소하겠지만, 전기차 자체가 비싸기에 어느정도 보완 되지 않을까 합니다. 현대가 아이오닉이나 EV6 , GV60 전기차 만드는거 보면, 플랫폼도 나름 잘 만들었고, 유럽시장에도 먹히는 점으로 시장성은 확보한 듯합니다. "현재도 전기차 판가가 유럽의 프리미엄 브랜드 판가와비슷한데 경쟁이 될지" 비슷한 가격으로 경쟁이 가능한 품질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오히려 마진에 도움이 될듯합니다. 그렇다면 리스크는 : 제가 생각하는 문제는 생산 쪽의 노조가 가장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전기차 "만" 생산하는 새로운 신규 하이테크 공장이 없는 전기차는 현대기아차가 유일 할 겁니다. 생산성과 인건비가 상당히 절약되고, 언론플레이 하기에 이만한게 없죠. 테슬라 상하이 기가팩토리 이런거. 현대기아 기가팩토리, 전기차만 만든다. 매년 100만대 생산! 이렇게 하면 주가 오를겁니다.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CROCE1님 주가가 상승한다는 포인트가 좀 애매하네요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5cfb3309551057.gif님 바꿨습니다
Tuna 2022.01.04 00:00  
자동차로 돈벌생각은 접었고 모빌리티 전반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죠. 제조업에서 it기업으로 전환할 계획인데 적어도 내연기관(또는 제조업)에 집착하는 것보다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Tuna님 제가 모르는 미래전략이 있었군요. 현기 같은 매머드급 제조업체가 it 기업으로 전환이 얼마나 빠르게 효과적으로 될 지요. 당장의 노조 문제도 그렇고 제조업 조직을 it 조직으로 쉽게 바꿀 수는 없을텐데 말이죠.
다이빙굴비 2022.01.04 00:00  
전기차 시대를 급진적으로 생각하면 다들 막막하긴 하더라고요. 기존 양산차 메이커가 전기차 전환을 소비자 수요에 맞춰 빠르게 해내면서 마진구조까지 잘 설계할 수 있을까? 그게 아니면 신생업체가 양산에 성공하고 시장점유율을 늘릴 수 있을까? 그것도 아니라면 중국업체들이 날아올라 전세계 자동차시장을 호령할 수 있을까?... 쉬운 게 하나도 없어요. 그래도 현재까지의 성적표로 봤을 때, 현기차가 기존 양산차 메이커들 중에서는 반발자국 앞서있는 조건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재벌기업이라 그런지 방향전환의 동력이 강력하고, 출시되는 차량들 보면 토요타 폭바 GM 등에 비해서 기술력도 앞서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다만 기존 양산차 메이커들 중에서 앞서있다는 사실이 앞으로 현기차가 성장할 것이라는 것을 담보하지는 못합니다. 신생업체들과 중국업체들이 다른 양산차 메이커의 파이를 뺏어오는 동안 제자리에서 버틸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는 정도죠. 저도 글쓴이님 말씀처럼, 마진을 늘릴 해답을 찾아내기 전에는 메리트는 없어 보이긴 하네요.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다이빙굴비님 규모의 경제라도 이루어야 될텐데 전기차 시장이 아직 걸음마이지만 현기차의 21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20만대 수준입니다. 테슬라가 60만대로 1위이구요. 아직까지는 전기차 시장에서 대응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기본 판가가 높은 전기차 시장에서 각국 정부 보조금이 빠지면 시장이 급속도로 위축 된다는 부담감 + 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마진 하락 등등의 리스크로 당분간 내연기관에서 벌어서 전기차에 써야하는데 엔진 개발도 안한다니 범인은 이해를 못 할 따름입니다.
bluehe… 2022.01.04 00:00  
배터리만 놓고 보면 테슬라, BYD : 자체생산 및 협업 폭바, GM, 포드 : 협업 진행중 현기 : 사서쓸께요. 3분기에 발표한 전기차 생산 목표를 보면 약간 처지는 듯한데, 타사대비 대응속도가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은 듯 합니다.
이자식밥주지… 2022.01.04 00:00  
현대만이 아니라.. 전세계 기준으로도..전기차 확대예상했을때 배터리를 만들 광물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하더라구요
Panthe… 2022.01.04 00:00  
위의 댓글에서도 언급 된것처럼 스마트폰 분야에서 애플(테슬라) vs 나머지 경쟁구도와 마찬가지라 보여지고 삼성폰이 중국 업체들에게 밀려나는 것처럼 결국엔, 현기차도 중국 전기차 업체에게 밀릴거라 예상됩니다. 다만, 이 측면은 아무래도 단순 자동차 제조/생산 분야만 생각했을 때구요. 현기차가 가지고 있는 미래 산업 대응 방향성에 따라 전망이 달라질 거라고 판단됩니다. 아울러, 전기차에 대한 투자 의향이 있다면, 단순 차량 제조 기업만 생각하기보다 관련 상품들을 눈여겨보는게 좋을거라 생각되구요...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Panthers님 현기차 종목에 대해서만 의견을 구한 겁니다.
Panthe… 2022.01.04 00:00  
@쿤타맨vs매뚜기가면맨님 네, 마지막 단락 제외하고선, 현대차에 대한 제 의견을 피력했습니다.
이븐라이드 2022.01.04 00:00  
왜 답을 정해놓고 질문을 하시는거죠?
쿤타맨vs매… 2022.01.04 00:00  
@이븐라이드님 제 생각은 이렇다 라고 정해 놓고 질문 한 것이니까요? 제 생각에 다른 의견이 있으시면 개진해주시면 됩니다. 유치하게 ‘너는 답정너’ 이런 댓글은 달지 말아주세요.
몸튼튼맘튼튼 2022.01.04 00:00  
현대차의 장점은 빠른 태세 전환과 선두기업 따라잡기. 현재는 자동차 승차감과 편의성이라는 장점과 배터리 충전속도는 따라잡았지만, SW 와 마진, 플랫폼 등은 쉽지 않아 보이네요. 인프라도 따라 잡을듯 하고 ... 해결 할 큰 문제점은 역시 노조와 비용이 ~ ps - 현재 국내 내연기관 외부업체의 45% 이상이 전기차 대응준비가 없다는것도 파급효과가 클듯 하네요.
Modera… 2022.01.04 00:00  
자동차 산업이 근본적으로 "국경" 이라는 무역 장벽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현대차 위기의 단초라고 봅니다. 어느 나라든 초창기 전기차 시장에서 헤게모니를 가져가기 위해 자국 산업 보호하려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이나 미국, 유럽같은 커다란 시장을 가지지 못한 현기차는 애시당초 불리한 출발점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습니다. 주가 관점에서는 이 초반 시장 진입의 어려움 때문에 계속 디스카운트 되고 있다고 봐요. 하지만 역사는 반복된다고.. 아직 기회는 있습니다. 도요타가 미국에서 쇠락할 것을 예상해봅니다. 현대가 공격적으로 도요타가 차지하던 미국 시장을 어느정도 확보할 수 있다면 아직 기회가 있다고 봅니다 :)
엉클머리 2022.01.04 00:00  
F-150이 워낙 잘 나와서요.
셀빅아이 2022.01.04 00:00  
현기차 아이오닉5, EV6 유럽 리뷰들 보고 오면 생각이 달라지실껍니다. 테슬라 제외하고 전기차에서 현기차 기대하셔도 좋을정도로 괜찮습니다. 그리고 잘못알고 계신게 현기 전기차 판가=프리미엄차 판가로 보시면 안되고 같은 전기차 끼리 봐야죠. 지금은 모든 전기차 다 비쌉니다. 보조금 없이 못팔아요. 게다가 제네시스까지 슬슬 인식을 넓혀가고 있어서 일론머스크가 폭스바겐, 현대차를 경쟁으로 봤듯이 그 구도 그대로 흘러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몸튼튼맘튼튼 2022.01.04 00:00  
@셀빅아이님 미국 테슬라는 자동차 보조금 지금 없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래도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50%넘는..
셀빅아이 2022.01.04 00:00  
@몸튼튼맘튼튼님 미국은 아직까지 보조금 지급할텐데요. 최근에 일론이 지급하지 말아달라고 하구요.
몸튼튼맘튼튼 2022.01.04 00:00  
@셀빅아이님 기존 보조금(20만대 까지 받던 보조금)은 다 받아서 없고, 새로운 보조금이 아직 미정인 상태네요. 지금까지 미국 연방정부는 순수 전기차에 최대 7500달러(약 840만원)으로 보조금을 지급했으나 누적 전기차 판매 20만대 이상 메이커의 차량인 경우에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전문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나, EV 생산량이 많은 GM 차량은 혜택이 돌아가지 못했다. http://eleccar.co.kr/ViewM.aspx?No=2036021
티라노렉스 2022.01.04 00:00  
글로벌리 현기 전기차는 아직 많이 뒤쳐지는 수준이고 경쟁력도 아직은 많이 떨어지는 수준이라고 볼 수 있죠. 수익률은 테슬라 외엔 모든 자동차 브랜드들이 전기차 카테고리에선 아직 수익 못 보고 일단 투자 하고 있는 상황일텐데... 현기차가 얼마나 중장기적으로 투자할 수 있을지... 지구력이 관건일 것 같아요...
monste… 2022.01.04 00:00  
근데 전제가 맞는건가요? 현대가 하청 후려쳐서 지금 시장 점유율 얻은거에요?
kobo 2022.01.04 00:00  
전기차로 전환이 쉽지 않은 이유는 현대외에 기존 수 많은 양산차업체가 못따라가는 이유이기도 하죠.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기술의 포인트가 기계에서 전기&소프트웨어로 넘어오면서, 그 인프라가 다 미국에 다 있다는 것이 제일 큰 문제이죠. 그리고 자율주행 부분에서도 돈을 다 기간내에 때려박아도 안되는게 현재 문제이고요. 구글 웨이모, GM 크루즈도 단기간내에 직원이 100명 안쪽인 회사를 2천명까지 늘려서 성과를 몇 년째 내고자 했지만, 상업화에 쉽지 않고 있다는 것이 반증이죠. 그리고 현대 전기차 전환의 핵심 요소들에 대해 아무런 성과가 없다고 봅니다. 전기 모터, 뱃터리 매니저머트, 자율주행 통합소프트웨어, 중앙집중식 제어시스템 아시다시피 기사에서 모비스가 운전자보조 시스템만 개발 및 기능 안전 승인받는데 10년걸렸다고 합니다. 이걸 중앙집중식 하드웨어로 설계해서 넣는 순간 기능안전을 다 검증받아야합니다. 유럽 기능 안전도 다시 다 받아야 하고요. tesla hw 3.0 같은 IP를 개발하기도 어중간하고, nvidia 자율주행 솔루션을 사서 쓰고, 모빌Eye 비전 사서 달고, 벨로다인 라이더 달고 이렇게 쫓아가면, 어느 곳에서 소개하였듯이 센서 장비만 1억 됩니다. 그것도 겨우 쫓아가는 단계이고, 중국 전기차 3인방보다 뒤쳐진다고 생각합니다. 현대가 지금 투자한 액티브도 좀 회의적입니다. 구글 웨이모나 GM 크루즈와 같은 컨셉이기에, 현실적인 전기차 양산에 적합한 딱 돈이 될만한 기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가전이나 휴대폰에서 샤오미를 쓰는 이유가 우리나라 프리미엄보다 싼 가성비 때문에 쓰는데, 현재 내연기관을 버리고 같은 출발점에서 전기차를 시작한다면 정말 암울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기계와 전기 및 소프트웨어가 같이 공존하는 회사에서 큰 문제점은 경영진의 인식 변화가 문제입니다. 단적인 예로 전기쪽 원가절감을 아무리 빡세게 해도 대당 몇 만원 낮추는 것이 고작인데, 기계쪽은 쇳덩어리 조금만 변형해도 엄청나게 원가 절감이 되죠. 소프트웨어는 원가측면에서 성과가 없다고 봅니다. 이런 것을 바탕으로 현 경영진들의 인사는 이루어져 있을것이고, 이런 시대적 변화에 과연 그들이 올바른 판단과 인재의 중요성을 알까? 이런 물음이 듭니다. 소프트웨어는 원가 절감 이런 것이 없습니다. 과연 올바르게 핵심인력의 역량을 판단할 수 있을까요?
OS폐인 2022.01.04 00:00  
현기차가 전성시에 OP마진이 8%정도 나왔습니다. 그 시절에 R&D에 투자하지 않고 삼성동 땅 산 이후 1%까지 떨어졌죠. 그런 정신머리가 사람하나 바뀐다고 달라질 수 있을까요? 만약 그럴 수 있다면 삼성도 지금과는 다른 모습이었겠죠.
Summer… 2022.01.04 00:00  
마진이 지금도 허덕이는데 앞으로 더 나빠질 예정입니다. 현기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Zitn 2022.01.04 00:00  
암울하긴 하죠. 테슬라, 루시드 같은 곳이 기술에 있어서 치고 나가고 저가시장은 중국차가 치고 나오고… 그래서 회사를 자동차회사에서 모빌리티 전반으로 바꾸려는거 같습니다.
몸튼튼맘튼튼 2022.01.04 00:00  
@Zitn님 루시드나 리비안은 먼저 일 2~3대 생산에서 대량 양산 문제부터 선행 해결하고, 그 다음 마진이 나도록 개선하는게 순서 같네요. 양산 부분에서는 현기차가 앞서는 ... 대신 마진이 아직 ㅜㅜ
이래도저래도… 2022.01.04 00:00  
현재까지는, 생각보다 많은 부품사들과 전기차 전환을 위해서 꾸준히 달리고 있습니다만, 현재 상황에서는 양산차중에서 가장 대응 잘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전기차에서 테슬라 밑에 2위권 그룹을 진입하려고 도전중이고, 제네시스는 약진하는 브랜드이고, 이익율은 더 높아지겠죠. 자동차에 있어서, 앞으로 전장이 더 중요해질겁니다. 자동차의 컴퓨터화라고 봐도될겁니다. 핸드폰의 컴퓨터화 시기를 겪어 보셨잖아요? 다행히도 상당히 괜찮은 전장회사들이 한국에 있으니, 현기차에 도움은 될겁니다.
겸사복 2022.01.04 00:00  
솔직히 기술 이런건 걱정 안됩니다. 내연기관에서 사용했던 대부분이 매몰비용으로 처리 될것이라는 점 기존 인력 재배치 및 해고로 인한 분쟁 이건 기존 자동차 업체야 다 짋어 지고 갈 숙제 이고 인포테이먼트를 올릴 운영체제를 뭘로 가지고 갈것이냐 그 비용은 누구에게 전가 할 것인지 이로 인한 수익구조를 어떻게 짤 것인지 전 이게 훨씬 중요하다고 봄 그리고 걱정되면 현기 말고 lg전자 사세요 완성차가 걱정되면 부품업체 사면 되죠
전가복 2022.01.04 00:00  
중국이 무섭기는 한데 중국차가 미국, 유럽에서 현기를 밀어내는건 아직은 어렵죠.
허스티오마 2022.01.04 00:00  
부동산 개발 업체로 변신해서, 잘 나갈 것 같아요. 앞날이 밝네요. http://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31/2018083186001.html
Mazurk… 2022.01.04 00:00  
“어디서 뺨맞고 왔냐?”고 묻고 싶은 댓글이 있네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