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 국내 상장 ETF 선택하는 법 정리입니다.
[세제 개편 전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 추가할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미지에 나오는 ETF는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선택한 ETF입니다.
0. 내 자산을 원화로 보유할 것인가, 외화로 보유할 것인가
- 원화로 보유하고 싶다면 "국내 시장지수", "국내 업종/테마" 등
- 외화로 보유하고 싶다면 환노출 해외 주식 ETF 등 (환헷지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며 환노출에 비해...)
1. 목표 설정
(어떤 인덱스에 투자할 것인가 - 국내 시장지수, 국내 업종/테마, 국내 파생, 해외 주식, 원자재, 채권, 기타)
- "국내 시장지수", "국내 업종/테마" ETF의 경우 매매차익은 비과세이며 배당은 배당소득세 15.4%입니다.
- 그 외의 ETF는 매매차익에도 배당소득세(15.4%)를 적용합니다.
-- 따라서 해당 ETF는 ISA에서 운용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배당소득세 비과세 : 일반형(200만원), 서민형(400만원)]
2. 투자할 ETF의 정보 확인
- 각 ETF 운용사의 홈페이지 등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합니다.
-- 투자설명서에서 "펀드코드" 확인 (3번에서 설명)
-- 확인 내용 : 운용 기간 / 거래량 / 추적 오차, 괴리율 / 총 보수 / 환노출, 환헷지 / 스왑 / 분배금 등
---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 순서로 정리했습니다.
--- 총 보수, 3번에서 TER 확인하시는 것으로 대체
--- 거래량 많은 편이 거래에 유리합니다. 거래량이 적으면 LP가 있어도 매수매도 호가창 물량이......
--- 추적 오차, 괴리율 (자세한 내용은 구글링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 총 운용 보수는 3번에서 설명합니다.
--- 환노출, 환헷지는 ETF 이름 뒤에 (H) 표시 여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 스왑은 ETF 이름 뒤에 (합성)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구글링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 분배금(주식에서의 배당 개념), 관련 ETF에서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TR은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는 상품입니다)
3. 총비용비율 (TER) 확인 :
운용 기간 1년 미만의 ETF는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 KOFIA 전자공시 등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하시면 됩니다.
-- 2번에서 확인한 "펀드코드"를 입력합니다.
-- 검색 결과로 나온 정보를 확인합니다. (기준일을 기준으로 정리된 데이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