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진짜 리서치 애널리스트 볼때마다 한심한거 같네요.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근데 진짜 리서치 애널리스트 볼때마다 한심한거 같네요.

우리리리 17 229

이유는 모르겠는데 증권사 전략팀이나 운용팀은 사실 트레이딩이나 운용 관점에서 봐야하기 때문에 현재 좋은 주도 섹터 위주로 보고 분석하는게 맞다고 보는데


리서치 애널리스트들은 오히려 역발상을 더 하려고 노력하고 리서치 팀에서는 안 올랐는데 앞으로 좋을게 뭘까를 고민해야 하는데 진짜 개 한심한게

메타버스 게임 뜰때 나와서 메타버스 게임 하라그러고 반도체 뜨니 반도체 하라그러고 참..

개인 투자자들이 많고 뭐 주도섹터에 대한 관심이 더 큰건 당연하긴한데

그런건 전략이나 운용 담당하는 분들이 리드하면서 말하면 되는거라고 생각하는데

리서치 하는 센터장들 까지도 그러는거보면 한심한 수준입니다.


기업의 본질 가치를 찾고 가격과 가치의 괴리를 찾아가야하는게 가장 큰 목적인 리서치 팀에서도

올라가는 리포트나 많이 이야기하고 여기다 앞으로 투자하세요 하는거보면 진심 좀 한심하긴하네요.

 네이버 블로그에 분석해 놓은 자료가 리서치 취지에 맞지 않나싶습니다.

누구 말처럼 그냥 일반인이 분석해놓은 자료를 돈주고 업로드하는게 훨씬 도움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래서 전문가말 믿지말라고 한건가 싶기도 하고 진지하게 증권사 뷰는 노 의미고

그냥 좋은 애널리스트들 이름을 기록해서 리포트 읽는게 훨씬 도움되는구나를 깨닫습니다.

반도체가 궁금하면 반도체 리서치를 볼게아니라 삼성 하이닉스 컨콜듣는게 훨씬 유리할듯요.


17 Comments
행복 2021.12.28 08:00  
그 사람들이 그렇게 잘 맞추면 방구석에서 자기돈으로 하겠죠
우리리리 2021.12.28 08:00  
@행복님 뭐 그렇긴한데 그냥 리서치의 취지가 너무 의미가 없어보여요.
행복 2021.12.28 08:00  
@우리리리님 네 저도 여의도 메인스트림에 있어봤는데요. 리서치한다고 특별한 사람도 아닙니다. 다들 그렇게 먹고사는거죠.현실이 그렇더라고요
엔별 2021.12.28 08:00  
하우스의 성향도 중요하죠..
우리리리 2021.12.28 08:00  
@엔별님 사실 전략 운용팀은 주도주를 당연히 매매해야하는게 맞다고 항상 생각하는데 리서치 팀이라고 하면 당연히 앞으로 주도 할게 뭘까를 고심하고 더 분석해야하는 곳이라고 보는데 자기들이 제일 앞서서 주도주 외치는걸 보니 답답합니다. 사실 그래서 그나마 이베스트의 부정적인 증시뷰가 가끔보면 스트레스 받긴한데 제일 도움된다고 생각합니다.
엔별 2021.12.28 08:00  
@우리리리님 대형증권사의 리서치 센터는 상품판매를 위한 근거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다만 그런 심도있는 분석을 가끔 하기 때문에 선택취합하시면 될거 같아요
우리리리 2021.12.28 08:00  
@엔별님 그러면 차다리 특정 애널리스트 들을 주목하는게 맞는거 같네요. 결국엔 전체적인 흐름은 운용에 맞춰져 있으니까요.
톨라니 2021.12.28 08:00  
애널리스트가 기본적으로 트레이딩 능력이 뛰어나지 않은 사람들이라는 것도 한 몫을 하고, 리서치 센터의 역할은 개인을 대상으로 리포트를 파는게 아니라 기관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통한 자사 창구를 통한 거래를 유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리포트만 보면 큰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죠. 순환매에 대한 대응은 투자자 각자가 하는거라...
monste… 2021.12.28 08:00  
남들 틀렸을때 같이 틀리면 욕 덜 먹는데 남들 맞았을때 혼자 틀리면 욕 오지게 먹거든요. 그 분들도 월급쟁이다 보니 괜히 튀다가 짤리고 싶지 않을겁니다. 듣는 사람이 가려들어야해요. 애널들의 주장의 근거만 보고 판단은 독자가 해야합니다. 애널들의 판단은 다 고만고만해요.
비밀아이디 2021.12.28 08:00  
이베스트 ㅋㅋㅋ 하닉 9만원갈때 암말도 못하다가 12만원가니깐 중립 ㅎㅎㅎ 센터장 입김이 쌘가 요새 애널들도 줄 이직하고
우리리리 2021.12.28 08:00  
@비밀아이디님 그래도 전 이베스트가 훨 나아보여요. 기본적으로 모든 섹터를 냉정하게 보려하니까요
소프트코어 2021.12.28 08:00  
@우리리리님 센터장이 그렇게 보는거지.. 개별애널차이는 천양지차입니다. 이안나연구위원때문에 dnmr 물리신분들이 엄청날껄요. 여튼 반도체는 송명섭등 보수적으로 보시는 분들이 섹터마다 있습니다.
핵피곤 2021.12.28 08:00  
솔직히 내년 '상고하저', '상저하고' 이런거 맞추는건 찍기나 다름 없는 것 같습니다 ㅎㅎ
버니맨 2021.12.28 08:00  
개인적으로 리포트는 모르던 용어 및 모르던 분석소스를 찾기 위해서 이용합니다. 매도이든 매수이든 포지션을 합리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소스를 사용하는데, 이 소스들을 알고 있는 거 자체는 도움이 많이 되더군요. 하지만 분석 내용 자체는 그냥 별로 신경 안쓰는 게 좋다고 봐요. 저는 개인적으로 완벽히 무시합니다. 이유는, 오를지 내릴지 제대로 알 수 있는 사람은 없는데, 이런 리포트 쓰는 사람들은 이미 매수이든 매도이든 정해놓고 거기에 끼워맞춰서 리포트를 적는 유인이 있다고 보거든요. 따라서 개개인이 맘먹고 분석하는 것 보다 오히려 더더욱 부정확하다고 봅니다.
ActaNo… 2021.12.28 08:00  
똑같이 증권사 들어갔는데 왜 펀드매니저 안하고 애널리스트가 되었을까 생각해 보면 답 나옵니다 펀드매니저로 자금 운용하다가 실적 안좋아서 짤린 후 애널리스트로 간 사람 여럿 봤어요
cres91… 2021.12.28 08:00  
증권사 애널리포트를 개인투자자가 매수매도용으로 활용하기엔 적용불가하죠.그분들욕할필요도없지요. 기업을 이해하고 업황정도참고. 차라리 특정섹터의 마켓이 연도별 성장하는캡을 구글에서 찾아보고 관련기업을찾고 엉덩이로 깔고앉아서 투자하는게 일반투자자에겐 훨씬낫지요(탑다운). 사견은 트레이딩은 완전히 또 다른영역으로 봅니다.
수면제 2021.12.28 08:00  
리서치가 한심한걸로 끝나면 얻는게 없죠. 그럴수록 오히려 같은 섹터에서 다양한 관점의 리서치를 읽어보면서 자신의 관점을 만드는 시도를 하는게 생산적이라고 봅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