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리 vs 로버트 기요사키 (feat. 401k)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존리 vs 로버트 기요사키 (feat. 401k)

durigo… 6 4618

존리는 401k 시스템을 굉장히 좋게 보는 반면

로버트 기요사키는 굉장히 안 좋게 보고 있네요.


둘다 Guru 반열인데 정말 관점이 다른 것 같아요.

이건 좀 크로스 체크 좀 해봐야 할 듯.


6 Comments
판디 2021.06.15 07:00  
로버트 기요사키는 책팔이 장사꾼 아니었나요. 그 분 책들을 대부분 읽어봤지만 본인의 성공적인 투자 성과를 본 기억이 없네요. 개인적으로 401k는 매우 좋은 시스템이라고 생각해요. 401k로 S&P500에 넣어두고 매년 납입하면 은퇴시점에 상당히 큰 경제적인 보탬이 되니까요. 물론, 미국이 달러를 가지고 있으면서 우수한 기업들을 주식시장에 상장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시스템이기도 하고요.
베이스라이너 2021.06.15 07:00  
기요사키가 구루...?
저지보이 2021.06.15 07:00  
401k 를 나쁘게 볼 이유는 하나도 없습니다. 퇴직연금은 개인이 채권에 널수도 있고, 부동산에 투자할수도 있고, 주식을 살수도 있고, 그냥 통장에 넣고 2%정도의 이자를 받아갈수도 있습니다. 모든건 개인이 알아서 하는거죠. 개인이 월급에서 5% 정도 넣으면 회사에서 그만큼 매칭해 주기 때문에 S&P500 에 넣고 30년 정도 일한다면 복리 효과로 상당한 금액을 퇴직후에 사용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금액이 1M 정도되면 S&P500 가 연 7%정도 성장한다고 가정할 시 소설시큐리티로 나오는 금액 (2, 3천 불정도)과 이자만으로 죽을때까지 살수 있습니다.
전가복 2021.06.15 07:00  
개인입장에서는 과세이연을 통해 복리효과를 볼 수 있지만 국민입장에서는 국가에 들어와야할 세수가 지연되는 효과가 있죠. 근데 개인들이 각자 노후준비를 안하면 그게 나중에 국가의 부담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세수가 줄더라도 401k같은걸 이용하는게 낫다고 보구요.
Summer… 2021.06.15 07:00  
둘 다 그냥 꾼이요
lanmei 2021.06.15 07:00  
보통 직장생활 퇴직후 개인의노후에 401k는 훌륭한도구이죠. 기요사키의입장은 내스스로 현금흐름을 만들어야한다라는 사업가적 관점이지않을까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