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공부하신 분들중...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금 공부하신 분들중...

가르네트 3 1384

바젤3가 적용되면서 실물금을 사라는 분들이 가끔 있는데 (종이금X)


이거 논리에 대해서 설명해주실 분들 계신가요..? 설명을 들었는데 이해를 정확히 못해서..

3 Comments
전가복 2021.06.17 09:00  
https://seekingalpha.com/article/4432193-basel-iii-a-gift-for-physical-gold-investors 검색해보니 이렁게 나오네요.
그건일 2021.06.17 09:00  
실물금이 사용될 정도면 길에서 칼빵 맞을 수 있는 수준의 사회가 될꺼같은….
머신 2021.06.17 09:00  
깊이 들어가실 필욘 없습니다. 그쪽에서 설명하는 논리는 금이 안전자산으로 표기되었다는 부분, 따라서 각국 중앙은행에서 더 많은 금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것. 사실 바젤3보다는 MMT(현대화폐이론) 때문에 금을 보유해야한다는 것이 더 큽니다. 하지만 이 또한 불확실한 것이 암호화폐의 등장입니다. 화폐의 기본적인 속성 1. 교환이 쉬워야한다. 2. 영속성을 띄어야 한다. 3. 희소가치가 있어야 한다. 를 보았을때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 자산이 향후 금보다 유망해 보이긴 합니다. 위험성도 존재하지만요. "종이금이 움직이지 않으면 실물금도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건 명백한 팩트입니다." 대부분 금이나 은 옹호론자들은 종이 금과 은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건 말도 안됩니다. 실물금을 오래 보유할 생각으로 가져가신다면 말리진 않겠습니다만 환금성이 굉장히 떨어집니다. 그럼에도 일정 부분 가져가셔도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환금성 때문에 개인적으론 종이금을 더 선호합니다. 그럼에도 설명해 달라 말씀하신다면 아주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현대화폐이론에 따라 중앙은행은 무제한 돈을 풀고, 정부는 인플레이션 율에 따라 세금을 걷어 인플레이션을 조절합니다. 이때, 무제한 돈을 풀게 되면 중앙은행이 파산하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STOCK 형식으로 보유하고 있는 금 자산의 가격이 오르면 앞으로 돈을 훨씬 많이 풀어도 문제가 없어집니다. 연준이나 ECB 등등의 굵직한 중앙은행들 자산을 보게되면 GOLD STOCK이라 표기된 부분이 있는데 이 자산을 뻥튀기 시켜 이를 담보로 돈을 더 찍어내자 라는 논리 입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