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이주열 총재 “올해 성장률 기존 전망보다 높아질 것…인플레 지속적으로 확대되지 않을 것”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뉴스]이주열 총재 “올해 성장률 기존 전망보다 높아질 것…인플레 지속적으로 확대되지 않을 것”

기후변화 0 250
이주열 총재 “올해 성장률 기존 전망보다 높아질 것…인플레 지속적으로 확대되지 않을 것”
이윤주 기자 [email protected]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 한은이 전망한 경제성장률 전망치(3.0%)의 상향조정을 시사했다. 최근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우려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 총재는 지난 23일 가자간담회에서 “국내외 여건 변화를 종합해보면 향후 성장경로에 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지만 올해 국내 성장률은 종전 전망치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 근거로는 주요국의 확장적 거시정책, 백신 보급 확대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 회복, 국내에서의 추경 집행 등이 꼽혔다. 특히 미국의 경우 대규모 추가 재정부양책이 확정되고 백신 접종도 계획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종전 4.2%에서 6.5%로 크게 상향조정했다. 이에 따라 국내 경제의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세도 당초 예상보다 더 강해질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또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추가경정예산(추경)의 집행도 올해 성장률을 추가로 높일 요인으로 거론된다

또 최근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이 총재는 “국내에서도 유가 상승폭이 커지고 농축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대에서 1%대로 높아져 인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3%)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물가안정 목표수준(2%)을 하회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코로나 감염상황이 빠르게 진정돼 그동안 억눌렸던 수요(pent-up demand)가 분출될 경우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는 있겠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예상보다 경제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더라도 한은은 당분간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뜻도 명확히 했다. 이 총재는 “아직 실물경제 활동이 잠재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우리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궤도로 복귀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현재로서는 정책기조(완화적 통화정책)를 서둘러 조정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