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은 실물현상이다' (feat 김일구)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인플레이션은 실물현상이다' (feat 김일구)

이자식밥주지… 7 4315

인플레이션에 대해 화폐설이 있고 실물설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돈이 많아서 생긴다라는 말이  요즘 힘이없죠

지난 10년동안 그렇게 돈을 많이 풀었는데 인플레이션은 안왔지않았냐

그래서 인플레이션은 실물현상이라는 말이 있어요.

수요와 공급, 기업들이 재고를  많이 쌓고, 사람들이 재고를 많이 쌓고

사람들이 소비를 늘리거나 이러면 가격이 올라가는, 물가가 올라가는것이고

사람들이 소비를 뒤로 늦추고 , 기업들도 투자를 안하고 재고도 안쌓으면

물가는 떨어지는것이죠

물가는 이러한 실물적인 현상이지, 돈많다고 물가가 오르고, 돈없다고 

물가가 떨어지고 그런건 아닙니다. 



7 Comments
돌궁댕이 2021.07.01 04:30  
흐음... 이건 순전히 주관적인 생각인데요... 이분은 대부분 시장에 대한 나쁜 점만 말하더군요. 그래서 작년 시장 예측 거의 틀렸던 걸로 기억합니다.
015105… 2021.07.01 04:30  
@돌궁댕이님 요즘 전망은 긍정적으로 하더라구요. 최근 하는 이야기들 키워드가 '정상화' '골디락스' 이런 것이었습니다.
Scipio 2021.07.01 04:30  
돌궁댕이님// 이 분은 채권전문가 출신이라 좀 비관적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본인도 인정하시더라구요. /Vollago
개복치는몰라… 2021.07.01 04:30  
돈을 찍어내도 그 돈이 상위층에 다 들어가바리고... 정작 시장에 도는 돈은 비슷한게 지금의 MMT가 유지되는 이유 아닐까... 망상을 해보았습니다.
Summer… 2021.07.01 04:30  
개인이 (전문가 포함)인플레 온다 안 온다 예측 하는 게 무의미한게, 실물과 정책이 대립하는 구조이고, 한쪽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지 않고, 서로 작용하기 때문에 결과를 맞추는게 불가능 합니다. 시장 왜적인 변수가 (코비드) 터지는 경우도 있구요. 레알마드리드랑 바르셀로나랑 붙으면 누가 이기느냐에 대해 수많은 분석과 의견이 나올 수 있지만 경기 끝나기 전 까지 절대 모르는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선수 연골 하나하나가 다 변수라서요. 시장과 정책은 훨씬 더 큰 복잡계이고, 서로 작용하고 있어서 결과를 장기적으로 계속 맞출 수 없다고 생각하는게 맞습니다.... 직업이 시장을 분석하는 사람들이 있으니 의견이 계속 나올 따름입니다.
바닐라플랫화… 2021.07.01 04:30  
말씀하신게 수요견인 인플레고, 반대로 돈이 풀려서 물가가 오르는게 비용인상 인플레 아닌가요....고등학교때 교과서에서 본 내용...
저기요 2021.07.01 04:30  
세상만사 답은 다 짬뽕 입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