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 ETF 장점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액티브 ETF 장점

산에들에 17 4388

KODEX에서  K-신재생 에너지 액티브와  K-미래차 액티브 가 새로 출시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ARK 사와 같이 기초지수 이외에  직접 포트 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조금 매력이 있습니다.


현재  기존 ETF로  투자 중인 종목이

KODEX 자동차

KODEX 2차전지

KBSTAR FN 수소경제테마


등과 흡사합니다.


KODEX에서 야심차게  내 놓은 액티브인데

여기에도  분산 투자할까  이게 큰 장점이 있을까  생각을 해 보는데 답이 없네요.


기존 ETF에 비해  신규 상장 액티브 ETF의  장점이 뭐가 있을까요?


장기로 투자한다고 할 때  장단점을 아시면  댓글 부탁합니다.


17 Comments
사람이사람답… 2021.05.27 12:17  
액티브는 단순 지수추종이 아니라 운용사가 적극적으로 매매를 해서 참고 지수보다 초과 수익을 달성하는게 목표인데 거꾸로 생각하면 손실도 그만큼 크다는거겠죠;;; 사람들이 좋아했던 ARK이런게 액티브 ETF로 알고 있습니다.
hisens 2021.05.27 12:17  
액티브는 운용사의 운용능력을 믿고 들어가는거죠 /Vollago
산에들에 2021.05.27 12:17  
@hisens님 일단 KODEX 믿고 들어가야죠....ㅎ
푸른한별 2021.05.27 12:17  
@산에들에님 저는 그래서못믿겟습니다 ㅋㅋㅋㅋㅋㅋ
기적 2021.05.27 12:17  
지수를 추종하는데 회사가 좋지도 않은데 오버슈팅한데 그럼 비중 축소 좋은데 주가가 저평가 비중 확대 이런 컨셉인데 운용사 능력에 따라 확 달라질듯 합니다.
기적 2021.05.27 12:17  
액티브면 차라리 저 어떤 테마 보다는 지수 전체를 추종하고 그 넓은 범위 안에서 펀드매니져가 선택권을 넓힐수 있는 액티브 ETF가 더 좋아 보입니다.
산에들에 2021.05.27 12:17  
@기적님 저 kodex 액티브 eft 가 바로 기적님 말씀대로 하는 거네요. 0.7은 지수 추종 0.3은 자율선택
기적 2021.05.27 12:17  
유명하진 않지만 타임폴리오 Kstock 이게 좀 눈에 들어오는데 신생이라 잘 모르겠네요 운영하는 사람은 코덱스에서 스카웃 했다고 하고
심플러 2021.05.27 12:17  
미래차 etf 는 pdf보니깐 그냥 자동차 섹터와 2차전지 etf 더군요. 현대재철도있네요. 비중 1,2위가 현대기아 그다음은 주르륵 2차전지와 드문드문 자동차 부품사들... 후반쯤가면 기판기업도 있고요. http://m.kodex.com/product_view.do?fId=2ETFE6 ark의 etf와는 좀 느낌이 다르네요.
역사의평가 2021.05.27 12:17  
굳이 엑티브인데 섹터를 한정지을 필요가 있나 하네요.... 섹터 한정해놓으면 그냥 패시브랑 큰차이가 없을것 같아요
SOL 2021.05.27 12:17  
장점: 잘 굴리면 초과수익을 달성합니다. 오~ 단점: 못 굴리면 초과손실을 달성합니다. ㅠㅠ 단순히 지수 추종만 하는 상품보다는 보다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고, 주의할 점으로는 역시 액티브다 보니, 운용 보수를 잘 챙겨봐야 할듯요.
엄마손 2021.05.27 12:17  
etf를 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인덱스 펀드를 살 것이냐 액티브 펀드를 살 것이냐 이 문제죠. 액티브 펀드는 결국 펀드매니저가 잘하면 돈을 많이 벌고 잘 못하면 높은 수수료만 내고 인덱스 펀드보다도 못한 수익률을 냅니다. 액티브, 패시브의 대결은 이전 워런 버핏의 내기로 많이 알려져 있었는데 당시에는 s&p500 지수 추종 인덱스 펀드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71017/86799871/1) 저는 가입할 생각이 별로 없지만 (지수를 뛰어넘는 수익률을 내는 펀드매니저가 많지 않으며, 그 펀드매니저가 운좋게 내가 고른 펀드를 담당할 확률이 별로 없다고 생각해서요) 만약 가입을 한다면 해당 펀드매니저가 이전에 어떤 펀드를 운용했고 어떤 성과를 냈는지 점검해 보는 것이 필요하겠죠.
TrueBl… 2021.05.27 12:17  
이번 액티브ETF는 70%정도는 패시브로 30%는 액티브로 하는거 아니었나요? 결과적으로 액티브펀드와 패시브펀드를 7대3정도로 투자한 효과가 나면서 ETF라 대응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는거겠죠.
산에들에 2021.05.27 12:17  
@TrueBlue님 맞습니다. 100% 가 아니고 30%만 액티브고 나머지 70%는 지수 추종입니다.
서울엘란 2021.05.27 12:17  
대부분의 액티브주식형 펀드들이 취하는 전략을 그대로 수용한 ETF가 액티브 ETF 입니다. 비교지수와의 상관계수를 0.7로 가져간다는건 BM복제율이 70% 수준을 유지 하는 선에서 매니저의 재량권을 약 30% 주겠다는 거기 때문에 액티브펀드 운용을 잘하는 곳이 승률이 높겠습니다. 참고로 삼성자산운용은 과거(2017년) 액티브운용매니저를 삼성액티브자산운용으로 분리독립시켜서 재간접 or 패시브운용역만 남겨놨었는데요. 이번건을 계기로 인력충원이 있었나 모르겠습니다.
mdkapp… 2021.05.27 12:17  
액티브 ETF는 수수료가 낮은게 장점이겠죠. 펀드나 랩상품도 있는데 수수료 2% 되니까요.
한니바르 2021.05.27 12:17  
액티브 etf는 최소 누가 운용하는지 인적사항이라도 공개해야...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