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대 현대차가 유망한 이유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전기차 시대 현대차가 유망한 이유

백봉캉가루 39 3172

포트내 상당비중 현대차 투자중입니다.


주관과 편견과 희망회로가 가득한 잡담이므로 절대 신뢰하시면 안됩니다.


편의상 음슴체로 작성하였습니다.


1.현대, 기아 북미시장 2010년초반이후 다시 점유율 10% 탈환


2010년초 토요타가 리콜로 헤멜당시 현대차는 혁신적인 디자인의 yf로 북미시장을 휩쓸었음

더구나 mb시절 고환율정책으로 환율효과까지 더해저 매출및 영업이익의 큰폭의 성장을 이뤄냄

그간 싸구려이미지에서 디자인이 혁신적인 뉴브랜드로 안착성공


2.시련의 시절


yf뽕에 심취한 나머지 저물어가는 세단시장에 더욱 공을 들이기 시작함

저유가와 소비자들의 선호로 경쟁자들은 suv라인업을 늘려가는데  

현대기아는 대형suv하나없이 투싼 산타페 두개 라인업으로 연명함


오히려 한전부지를 10조를 주고삼으로서 투자자들의 외면이 시작됨

그로부터 5년간의 내리막길 고행길 시작


3.팰리세이드 및 제네시스


세단이 안된다는 사실을 5년만에 깨우치고 팰리세이드및 텔룰라이드 투입

시장의 반응은 대성공

제네시스 또한 신규 디자인컨셉의 g80 gv70 으로 북미시장 판매호조

우즈를 살린 gv80으로 제네시스 브랜드 자체의 존재감 부각


결국 저마진 시장인 세단에서 고마진 suv 및 제네시스 판매로

판매대수의 큰 증가없이도 평균판매단가 상승을 이뤄냄


올초 반도체 대란또한 저마진 차량 생산 줄이고 고마진 차량에 반도체 우선투입및

기존재고차량 소진의 기회로 삼음으로 큰 타격없이 지나감


4.전기차 시대


중형세단및 suv 전기차 모델은 

지구상에서 테슬라 폭스바겐 현대차만 라인업을 갖춤


gm이나 포드는 험머ev f150전기차등 상기 3사와는 다른 라인업으로 전기차 시장에 참전

결국 시장은 gm 포드 미국 2개사가 출시하는 픽업및 대형 suv 시장과

테슬라 폭바 현대등 중형사이즈 시장으로 양분됨


더욱이 생산케파로 보면 상기 3사의 중형사이즈 ev모델이 25년까지 유지될 미국 전기차 보조금의 

대부분을 삼켜버릴듯


결국 후발주자들이 부랴부랴 진입해도 이미 늦어버린 상황

선두주자들이 보조금을 다 먹어치운뒤라 적자를 감수하며 출시해야함


5.쇼미더 배터리


테슬라 폭바 현대차 gm 포드 외에는 전기차 전용플랫폼 양산이력이 없음

통상 플랫폼 개발후 차량양산전 배터리회사와 조인트벤처든 수주를 받든해서 배터리를 확보후 차량본격양상


그러나 현재 배터리는 그야말로 공급부족

상기5개회사가 25년까지의 대부분의 배터리 공급분을 독점한 상황

 

따라서 후발업체들은 전기차플랫폼을 만들어서 양산한들 배터리 부족에 시달릴것

배터리 업체도 결국 물량과 원가와의 전쟁이기에 한번에 대량으로 납품하는 기업 선호


6.토요타 혼다


토요타는 아직도 하이브리드에서 못벗어나고 있음

그간 탄소크레딧에서 유일하게 중립적인 토요타는 전기차 개발에 소극적


뒤늦게 전기차로 가려하지만 22년에야 전용플랫폼 활용한 전기차 런칭

23년은 가야 본격 출시 예정


혼다는 더욱 처참한 상황

일단은 없는대로 gm플랫폼 빌려다쓰고 25년부터 자체 플랫폼으로 가려하지만

규모의 경제가 지배하는 전기차시장에서 혼다의 규모는 크나큰 단점


일본인은 특유의 성실함과 우직함이 장점

에도시대 각분야의 장인 맛집들이 아직도 유지됨


하지만 격변의 시기에는 적응이 잘 안되는듯

늘 하던것만 하고 개혁은 없고 개선에는 강한 민족성


예로 일본 가전이나 노트북을 보면 15년전 스타일 그대로 출시

거대한 내수시장이 세계무대로 나가는데는 단점으로 작용


결국 토요타나 혼다는 내수에 머무르다 결정적 변화의 시기를 놓친듯


pdp시절 일본은 lcd는 대형화가 어렵다며 pdp에 올인


삼성이나 엘지는 pdp lcd 양다리 전략으로 가다

lcd대형화가 가능해지자 바로 노선 갈아탐


결국 큰틀에서의 사고의 전환에서 일본인은 너무 신중하고 꼼꼼하며 책임을 지려하지 않기에 

개선은 있지만 개혁은 힘듬


7.배터리수율


결국 전기차는 플랫폼을 통한 규모의 경제와 배터리 원가싸움

운좋게 한국에 배터리3사가 몰빵되어 있는상황


일본은 파나소닉1개사

일론 머스크가 증설에 너무나도 소극적인 파나소닉때문에 애를 많이 먹었음


배터리 공장은 만든다해서 바로 제품이 나오는 구조가 아님

노하우가 충분해도 수율이 정상화되려면 년단위로 시간이 걸림


하물려 후발주자는 수율이 정상화되려면 몇년이 걸릴지 알수없음

수율 = 원가


후발주자가 적자를 감수하고라도 증설한다면 선두업체는 

이미 감가상각 끝난 장비로 수율맥시멈으로 물량 싸움가능함


원가에서 이미 비교불가한 상태

또한 선두업체는 구공정에서 막대한 매출과 이익으로


신공정으로 멀리 달아나버린다면

후발주자는 구공정에서 조차 수율과  적자의 구렁텅이에서 허덕이며 신공정세팅이나 케파증설은 꿈도 못꿀상황


위 상황이 몇번 반복되면 상위 몇개업체 외에는 다 나가떨어짐


반도체 lcd 등 수율이 핵심이 산업에서 반복되는 스토리


결국 일본업체가 뒤늦게 배터리 생산에 매달려도 이미 시점이 많이 늦었음


그래서 토요타는 전고체배터리에 매달리는듯



39 Comments
안됩니다 2021.05.27 12:19  
유망하다고 보지만, 얘들 생산 적체를 어찌해결할지 ? 입니다. 반도체의 난이 일어나기전에도 생산 감당을 못하고 있었죠.
부란도 2021.05.27 12:19  
@안됩니다님 고객은 줄을 서 있는데, 생산을 못해서 인도하지 못하는 상황이죠. 큰 이슈가 아닌 것 같습니다. 생산을 해도 시장에서 외면받는다면 큰 문제이겠지만요..
안됩니다 2021.05.27 12:19  
@부란도님 다른 플레이어들이 놀고 있는게 아니라서 기회가 오면 쉐어를 늘려야 합니다. 유지는 목표가 될 수 없습니다.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안됩니다님 생산적체는 2분기가 피크입니다. 이제 6월입니다. 생산적체임에도 실적이 잘나오는데 적체가 해소된다면 어떨까요?
Modera… 2021.05.27 12:19  
@안됩니다님 ㅋㅋ 구조적인 한계죠. 생산 부하가 해소되면 남들도 같이 해소될 가능성 99.9%
안됩니다 2021.05.27 12:19  
@백봉캉가루님 그러니까 적체를 해소하려면 생산량을 늘릴 방법이 있어야하는데, 그냥 기다리고만 있는것 같아서 하는 말입니다.
선잎 2021.05.27 12:19  
@부란도님 최대한으로 생산을 해도 수요를 못따라 가는것과. 문제로 인해 생산을 못해서 수요릉 못따라 가는건 다르죠. 이번달에 못 판거 담달에 팔면되고 올해 못 판거 내년에 팔면 된다같은 쉽지 않은.. 큰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차 안나온다고 무작정 기다려주는 소비자가 아니거든요.. 한정수량 보조금 이라는 것도 있구요
부란도 2021.05.27 12:19  
@안됩니다님 다른 플레이어도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이고, 현대가 지금은 쉐어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대응이 중요하겠죠.
부란도 2021.05.27 12:19  
@선잎님 반도체 쇼티지로 인한 생산 이슈는 현대 뿐만이 아니고 모든 자동차 회사가 가지고 있는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만.. 상대적으로 어떤 자동차 회사에 더 큰 이슈가 되는지 정확한 정보가 없으니, 알 수 가 없네요.
선잎 2021.05.27 12:19  
@부란도님 다른 회사는 모르겠지만 테슬라 같은 경우는 이미 1분기때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난 어닝콜에서 밝혔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다 판매량이 나왔죠) 그리곤 그 이슈는 해결 돼었다고도 했었구요. 반면 현대,기아차는 아직 진행중 이지요..
메이킹 2021.05.27 12:19  
배터리 3사가 한국에 있다고 해서 물량을 현대차에 우선해서 줄지 모르겠네요~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메이킹님 배터리 케파 증설전에 이미 어디에 납품할지 계약이 완료됩니다. 즉 지금 공장짓고 있는 배터리업체물량은 향후 몇년간은 이미 임자가 있는상황입니다. 물론 현대차는 물량 충분히 확보된 상태이고요
씨투 2021.05.27 12:19  
잠담이라고 하시지만 좋은내용으로 잘 보았습니다. 저는 2차전지에 포트비중이 있습니다. 많이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씨투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2차전지 업체의 저력이 곧 드러날겁니다. 수율올리기가 얼마나 힘들고 끔찍한 작업이란걸요 후발주자들은 양극재 개발 수율올리기 이두가지만 해도 몇년은 걸릴겁니다.
데브데브 2021.05.27 12:19  
@백봉캉가루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성투하세요. 그리고 저도 작년부터 현차 꽤 들고 있는 주주입니다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데브데브님 데브님도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랜드크루져 2021.05.27 12:19  
모비스 ㅠ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랜드크루져님 e gmp수혜 기다려보시죠
이게아닌가? 2021.05.27 12:19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할 듯 하네요. 중국이 전기차나 배터리 잘하는것 같습니다. 유럽과도 협력할 듯 하고.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이게아닌가?님 중국전기차는 철저히 내수용입니다. 도저히 선진시장애 수출할만한 상품성이 안나와요. 배터리또한 폭바가 중국매출이 50프로니 어쩔수없이 각형쓰는겁니다. nca계열은 아직도 헤메는중입니다.
안됩니다 2021.05.27 12:19  
@백봉캉가루님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는 폴스타2가 이미 월드와이드로 팔리고 있습니다(폴스타의 경우에 볼보 껍데기만 남고 전부 중국으로 채웠죠). 유럽에서는 구독으로 공격적 마케팅을 하고 있어요. 성적이 나쁘지 않아 단정할만한 상황은 아닙니다.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안됩니다님 볼보를 중국에서 인수했으니까요. 결국 중국로컬브랜드는 기술력도 브랜드 파워도 없다는 증거입니다. 게다가 폴스타 생산대수로는 전기차시장에서 메이저가 되기에는 너무 적은 수량입니다. 자동차산업 인건비비중이 6프로가 채안됩니다. 전기차는 더욱 낮아지겠지요 결국 중국은 기술라이센스비용 브랜드로열티 등등 제하고 나면 만들어봐야 수익을 남길수없는 구조가 되버립니다. 품질을 현대기아수준으로 맞추면 원가는 오히려 현대기아보다 비싸지니까요. 중국제조업은 공산당 보조금으로 성장한겁니다
파베스카 2021.05.27 12:19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폭풍스톰 2021.05.27 12:19  
자동차 외에 미래산업에 대해 투자하고 있는 것도 좋아 보이더군요.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폭풍스톰님 정의선체제이후 기업체질이많이 바뀌었죠
015105… 2021.05.27 12:19  
@3aec90da36d1d.gif님 스마트스트림 2.5 이슈가 새로 생겼는데 거의 국내만 파는... 엔진이라 아마 괜찮을 듯 합니다.
산돌이 2021.05.27 12:19  
전기차시장에서는 내연기관과 같은 문제를 답습하지 않았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을 가져 봅니다. 현대기아차 주주지만 기업정신에 대한 평가는 발바닥입니다.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산돌이님 현대뿐만아니라 국내 상장기업 대부분이 주주자본주의가 뭔지 모르는듯합니다
lskfsl 2021.05.27 12:19  
전기차 산업에서 1등은 못해도 2등까지는 가능한 상황이죠.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lskfsl님 폭바나 테슬라가 만만치 않아서 2 3등만 유지해도 대성공일듯합니다
축구좋아 2021.05.27 12:19  
ㅇㅎ 배터리 주식 사라는 시그널로 ㅎㅎ 배터리 생산을 쉽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상당히 어이 없었던게 배터리 논문과 기술을 쉽게 설명하는 테슬라 매니아 유튜버가 있는데 배터리가 재료 원가가 크다면서 큰 기술력 필요없는 듯 설명하더라구요. 기술 이해를 위해 여전히 종종 듣는 채널입니다만... 저도 배터리 신생업체들이 수율 때문에 망하거나 한두개 살아남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축구좋아님 노스볼트 쉽지않을겁니다. 한국2차전지 업체들이야 그간 다른산업에서도 수율의 무서움을 배웠지만 유럽애들은 수율이 얼마나 힘든건지 책으로만 배웠거든요. 이제 몸으로 느껴보고 정신차리겠죠
Nesta1… 2021.05.27 12:19  
한국 베터리 3사랑 현기랑 무슨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테슬라나 토요타보다 현기가 같은 한국 기업이니까 할인해줄까요?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Nesta13님 전기차생산은 배터리업체근접해서해야 유리하고 양극재생산은 셀업체근처에서 해야 유리합니다. 즉 지리적으로 클러스터 형성이 중요합니다.
superh… 2021.05.27 12:19  
현기는 중국에서 너무 심하게 폭망해서 좀 부정적이네요 중국은 몇년내로 3000만대 10년후 4000만대 규모의 압도적 세계 1위 시장인데 말이죠 거기다 중국정부 향후 로드맵이 하이브리드 50% BEV+FCV+PHEV 50%로 2000만대 규모의 거대한 하이브리드 시장이 생겨나죠. 도요타 한해 파는 하이브리드가 200만대인데 2000만대 초거대 시장이 생기면 그냥 꿀만 빠는걸로 안끝나죠 중국에서 현대기아 합쳐서 도요타 두배가까이 팔았는데 이젠 도요타의 1/4도 못파는 상황 한편 도요타 혼다는 물론이고 폭바 GM도 중국에서 다른지역서 팔던차 개발비도 별로 안쓰고 들여다가 개꿀빠는데다 앞으로 중국시장 확대에 맞춰서 판매량도 더욱 늘어날텐데 현기는 220만대 규모 공장 가동율 3할 간당간당한거 어떻게 손처리할런지 ㄷㄷ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superhh님 중국시장은 힘들거같네요. 테슬라조차 중국애서는 로컬브랜드에 밀리고있는중입니다.
Rally 2021.05.27 12:19  
저는 현기차 꾸준히 매수하다가 현재 매수를 중지한 상태인데 이유는 폭바의 전기차 가격 정책이 너무 싸기때문에. 폭바의 ID4 판매량과 새로나올 이트론A4의 가격 정책을 보고 추가 매수할지 전량 매도할지 결정하려고 합니다.
백봉캉가루 2021.05.27 12:19  
@Rally님 폭바는 전통의 강자죠. 하지만 북미 메인시장에서 폭바이미지는 안좋은편이고요. 고로 유럽시장 석권은 힘들어도 북미시장에서는 해볼만합니다
노루노루 2021.05.27 12:19  
전기/수소차 과도기? 내연 신차 구매수요 급감같은건 문제 없으려나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