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기업의 등장과 승자독식 구조의 고도화 그리고 현대차
포트상당부분 현대차 투자중입니다.(3우b)
지극히 주관적이고 희망회로가동하에 작성한 글이니 철저히 비판적 시각으로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편의상 음슴체로 작성합니다.
1.승자독식 구조의 고도화
90년대만 해도 미래시대에는 개개인의 개성과 특성 취향에 맞는 다품종 소량생산시대가 올거라고 예견했다.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전세계가 평등하게 연결되며 정보격차가 없어지고
기업들은 소비자 개개인의 취향을 즉각 반영하여 제품개발에 반영하고 등등..
그러나 현재 2021년 과연 그런시대가 도래하였을까?
------------------------------------------------------------------------------
커피
스타벅스가 국내 사실상 프랜차이즈 커피시장 독점
할리스 파스꾸치 투썸 > 내가볼땐 큰차이없어도 와이프는 스벅만감
심지어 10만원단위로 충전해놓고 사용
------------------------------------------------------------------------------
휴대폰시장
피쳐폰 시대 팬택이나 기타 수많은 브랜드는 사라지고 애플등장이후 스마트폰제조사
상위 6개사만 유의미한 점유율 차지 > 애플 삼성 화웨이 샤오미 비보 오포
출하량 기준 삼성과 애플이 과점형성 (화웨이는 이제 보내줍시다)
놀라운 사실은 출햐량기준으로는 애플점유율12%인데 이익점유율은 60%
삼성은 이익점유율32%
사실상 삼성애플이 전세계 스마트폰 순이익의 93% 차지
극도의 독과점시장이 되어버렸음
-----------------------------------------------------------------------------
검색시장
2000년 초반만해도 라이코스 다음 알타비스타 등등 여럿이 있었으나
지금은 전세계 구글로 대동단결
------------------------------------------------------------------------------
이커머스
전에는 인터파크 g마켓 티몬 옥션 등등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빠른배송은 쿠팡, 일반상품은 네이버쇼핑, 해외제품은 아마존
중소 쇼핑플랫폼은 사실상 네이버쇼핑에 종속
------------------------------------------------------------------------------
간편결제
이름도 모르는 수많은 페이가 있었으나
네이버페이, 삼성페이로 대동단결중
-----------------------------------------------------------------------------
파운드리
tsmc >>>>>>>>>>>>> 삼성전자
2개사가 미세공정 독점
----------------------------------------------------------------------------
노광장비
euv는 asml독점 > 과점도 아닌 100%독점이라니 놀라울따름
----------------------------------------------------------------------------
메모리반도체
대만 미국 독일업체들 전부 사망
삼성,하이닉스, 마이크론 3개서 과점
----------------------------------------------------------------------------
2차전지
산요, 소니등 2차전지 업체들은 어디에?
catl, 엘지, sdi, sk 4사 시장독점
---------------------------------------------------------------------------
sns
페북, 카카오톡, 라인, 인스타그램 등 각지역별 카테고리별로 독점형성
----------------------------------------------------------------------------
결국 해당산업의 점유율을 선점하게 되면 과거보다 더욱빠르고 효과적으로
선점효과를 누리게 된다.
플랫폼효과가 비단 it시장뿐만아니라 여타 산업에도 작용하는 듯한 느낌이다.
과거에도 일정부분 있었지만 지금은 통신의 발달로 타인의 취향이나 취미에 더욱 동조하는 경향이 강해지는게
이유의 하나인듯 싶다
그럼 향후 전기차 시대는 어떻게 전개될것인가?
2.전기차산업과 플랫폼
전통 내연기관
내연기관 자동차 메이커는 현재 수십개사 존재 (메이저5개사가 대부분의 점유율 차지)
하이브리드
전기차 전단계인 하이브리드 판매 점유율을 보면
토요타 혼다 현대등 소수회사가 과점형성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유럽럭셔리 메이커가 주로 참전함
그러나 bmw 벤츠등이 플러그인 시장에 뛰어든 이유는
하이브리드 기술은 토요타 현대특허에 막혀 마땅히 우회할 방법이 없고
전기차로 가자니 기존 100년간 숙성시킨 내연기관기술이 아까워 주저한면이 큼
순수전기차
대중모델로서 유의미한 생산량을 뽑을수있는회사 3개사 > 르노는 제외함 사실상 시티카개념이라
(중국 로컬브랜드도 제외함, 어차피 선진시장에 내놓을 수있는 물건이 없음)
테슬라 폭스바겐 현대 회사
의문점??
1)왜 내연기관 >> 하이브리드 >> 전기차로 갈수록 생산가능 메이커수가 급속히 줄어들까?
당장 먹고살기 힘든 중소메이커는 천문학적 투자가 불가능하고
선두업체가 덕지덕지 막아놓은 특허를 피해가며
초기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원가이하에 팔아야 하기에 적자를 감수하고 뛰어들만한 메리트가 없음
럭셔리 브랜드는 그간 내연기관에서 보여준 압도적성능과 품질을 전기차시장에서 보유주기엔
아직 시장개화단계라 천천히 진입할것으로 보임
미국업체들은 트럼프시절 저유가및 친환경차 보조금 폐지로 굳이 잘팔리는 픽업및 suv를 포기하고
이익률이 별로인 전기차로 갈 이유가 없음
일본업체들은 하이브리드로 돈도잘벌고 점유율도 잘나오고 탄소크레딧도 0인데 굳이 갈이유없음
더군다나 토요타는 브레이크 리콜로 죽다 살아났기에 가끔씩 불나서 대규모 리콜발생하는 전기차는 부정적
기다렸다가 불안나는 전고체로 한번에 갈계획
2)중국로컬업체들 전기차 판매량 엄청나던데 얘네 미국에 진출하면 큰일나는거 아닌가??
중국업체들 차량개발시 차체, 파워트레인, 현가장치등 상당부분 외국계 엔지니어링사에 의존
디자인이야 대충 여기저기서 베껴오면 되고
북미나 유럽등 선진시장 진출하려면 각종 안전, 충돌, 연비 등등 법규및 인증기준을 충족해야 하는데
그러면 현재의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가 불가능해짐
즉 지금의 저렴한 가격은 정부보조금 + 각종 특허 무시 + 디자인베끼기 + 값싼 노동력으로 유지될뿐
실제 매출대비 영업이익률은 형편없는 수준
현대가 벤츠가격으로 s클래스 품질의 자동차를 만들기 힘들듯
벤츠또한 아반떼가격으로 아반떼와 같은 품질의 자동차를 만들기 힘듬
적당한가격의 품질좋은 차량을 만드는 노하우를 절대 무시하면 안됨
3)그럼 테슬라 폭스바겐 현대는 왜 전기차에 적극적일까?
테슬라
솔라시티 파워월 테슬라로 이어지는 전기차생태계 그자체를 구축목표
또한 화성에 가야하는데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므로 전기차사업에서 나오는 현금으로 우주산업 실현
전기차의 강력한 컴퓨팅 능력과 막대한 에너지로 움직이면서 비트코인채굴가능 ( 농담입니다.)
폭스바겐
디젤게이트로 정말로 죽다가 살아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도 하긴함 > 하지만 강화되는 co2규제를 만족하기엔 부족
결국 순수전기차로 목표설정
현대
자동차 사업 진출한지 어언 50년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지만 아직도 유색인종이 타는 저렴한자동차
하이브리드도 내놓고 제네시스도 런칭하고 이거저거 시도했지만
브랜드이미지 변화하기에는 역부족
뭔가 큰 한방이 필요하던차
남들이 아직 뛰어들지 않은 전기차 수소차에 뛰어들기로 결정
--------------------------------------
다음번에는 테슬라 폭스바겐 현대 3개사 전기차를 비교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쓰다보니 주식게시판 특성과 점점 멀이지네요..
왜인지 굴러간당 스타일이 되는듯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몇분의 의견대로 제목수정하였습니다.
의견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