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입니다.. ㅠ질문드려요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주린입니다.. ㅠ질문드려요

1w 5 3020

하이브를 4월말에 좀 사서 bts노래들으면서 열심히 버티고있는데 네이버종목토론에서 유상증자 유상청약 한다고해서 열심히 찾아보고 읽어봤는데 난독증이 발동해서 이해가 너무 안되서 여쭤봅니다..


이게 그냥 기존주주로서 가만히 있어도 되는건지 청약?을해야하는건지 유상증자하면 대부분 악재라고하던데

팬심으로 사놓긴 했어도 보유주식이 다 날아가는건 아닌지 걱정되서요; ;
5 Comments
Valhal… 2021.06.01 07:25  
유상증자 = 새로운 주식을 찍어서 돈 받고 팔겠다는 의미입니다. 기존 주주들도 당연히 신청(?)을 해야 돈을 더 주고 새 주식을 받을 수 있고요. 가만히 있는 기존 주주들 입장에서 악재라는 건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공급(주식수)이 늘어나면 기존 주식의 가치가 훼손된다고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청약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유상증자로 보유주식이 날아가지는 않습니다.
Jun911 2021.06.01 07:25  
유상증자는 간단하게 기존 주식이 1억개 있었는데, XXX개를 더 발행해서 돈주고 판다는 얘기입니다. 즉 유상증자는 대부분 기업이 돈이 없을때 돈을 더 땡기기 위해서 합니다. 따라서 보통 기존 주주들에겐 악재라고 하고, 대체로 유상증자한다는 소식이 나오면 주가는 빠지죠. 유상증자도 공모가격이 있고, 현재 거래 가격이 공모가격보다 높다면 공모가격만큼 주가는 빠질 확률이 높죠. 하지만 유상증자가 무조건 악재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기업이 제대로 기업 활동을 잘 하고 있다면 (매년 매출과 이익이 증가하고 있다면 or 이익은 못내더라도 발전된 무언가를 보여주며 시장 점유율이 올라간다던가 등등) 유상증자로 인한 자금 수혈로 인해서 더 사업을 잘할거라는 기대감을 갖게하고, 유증 이후에 주가가 더 오르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따라서 유증을 한다는건 무조건 악재 or 무조건 호재라고 보기 보다는 해당 기업이 현재 잘하고 있는가? 를 먼저 판단하고, 앞으로도 더 잘할 것인가? 를 판단해서 결정하시면 됩니다.
1w 2021.06.01 07:25  
답변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번에 이해됐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사람이사람답… 2021.06.01 07:25  
하이브 유상증자 기준일이 4월 16일이라서 4월말에 사셨으면 해당없어요... 신주인수권 거래도 진작에 다끝났고요..
1w 2021.06.01 07:25  
넵 답변감사합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