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IRANG 미국다우존스고배당주(합성 H) 어떨까요?
미국 시장에 상장된 고배당 기업에 투자하는 ETF를 매달 분할 매수할 계획입니다. 향후에도 꾸준히 적립해 나가며 배당금을 통해 다소의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고, 특히나 한동안 미국시장은 등락을 거듭하며 횡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으며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배당주(코카콜라, 존슨앤존슨, 3M 등)로 구성된 배당주 ETF를 매수하려고 합니다.
미국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는 미국과 한국에 다수 상장되어 있으며, 투자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3가지 방법이 가능하나 결론적으로 한국에서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UAE에서 미국 시장에 상장된 미국 배당주 ETF 매수한국에서 미국 시장에 상장된 미국 배당주 ETF 매수한국에서 한국 시장에 상장된 미국 배당주 ETF 매수
미국은 투자자에게 배당금을 지급할때 금융소득에 대한 세금을 원천징수하고 지급하는데, 미국과 한국간에 맺어진 조세조약 덕분에 15%만 원천징수 됩니다. UAE에서 바로 투자할 경우 관련 조약이 없어 원천징수 비율이 30%나 되므로, 세금 측면에서 한국에서 투자하는 것이 월등히 유리합니다. (해외 거주중이며, 대부분 무관한 내용이실거라 삭제했습니다)
한국에서 투자할 경우, 미국/한국 중 어느 시장에 상장된 ETF를 매수할 것인지가 남는데, 세금과 환율 측면에서 고려해본 결과, 한국시장에 상장된 ETF를 매수하기로 했습니다.
- 세금의 경우, 미국내 배당소득 원천징수 세율 15% 대비 한국내 15.4%로 한국상장 ETF 매수가 0.4%p 불리한 측면은 있지만, 향후 매도시 양도차익에 따른 세금은 한국이 유리합니다. 미국은 지금도 연간 양도소득에서 250만원 공제 후 22%를 납부해야 하나, 한국은 2023년 금융투자소득세 도입 이후 5,000만원 공제 후 20%를 납부하기 때문입니다.
- 환율의 경우,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이 항목이 차지하는 역할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전체 포트폴리오 내에서도 다소 안정성이 높은 종목들을 장기적으로 분할매수하는 역할을 띄고 있기 때문에, 변동요인을 한 가지라도 줄인다는 측면에서 환위험을 헷지한 한국시장에 상장된 ETF 매수가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상은 투자에 앞서 생각을 정리하고 와이프에게도 투자 상황을 공유하기 위해서 작성하던 글인데요, 위와 같이 미국 배당주 장기 분할매수는 환헷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국내시장에 상장된 것으로 투자할까 하는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2016년부터 미국시장에 투자해 왔기 때문에 어려움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