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급저축 보험사 상품 문의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연급저축 보험사 상품 문의

찬텐 11 236

안녕하세요


회사에서 보험사에 연금저축이 있는데요 1x년간 가입을 하여 납부를 하였지만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0.8% 수익률이 확인됩니다.


여기서 이해가 안가는게 20년후에 몇백씩 20년간 주겠다는 예시표가 있는데 무슨돈으로 나중에 그걸 저한테 주는지 몰라서 여기 문의 남깁니다.


일단 증권으로 연금저축 이전을 신청을 하고 있는데 현인분들의 답을 기다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11 Comments
멧돼지a 2021.10.22 18:49  
그 지급표는 특정 수익률을 유지할 경우의 예시 아닐까요?
찬텐 2021.10.22 18:49  
@멧돼지a님 1x년해도 수익률이 거기에 턱없이 안되는데 무슨 돈으로 준다는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ㅠ
멧돼지a 2021.10.22 18:49  
@찬텐님 예시니까 아무렇게나 써도 상관없죠 작은 글씨로 사실과 다를 수 있다는 류의 경고문 있을 거구요.
Mauler 2021.10.22 18:49  
지급표의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해보셔요. 환산할때 시간가치는 1.03 정도 잡으시구요 ????
크라스라 2021.10.22 18:49  
저도 그래서 현실적으로 원하는만큼 얻기 어려워 작년에 연금저축펀드로 이전하였습니다. (NH보험 → NH투자)
기로로 2021.10.22 18:49  
약관을 찾아서 수익 조건을 봐보세요...1x년을 넣었는데 0.8%는 좀 이해가 안됩니다. 저도 최근에 15년 넣은 연금보험 증권사 연금 저축으로 옮겨봐서 제 수익율을 알기 때문에 말씀드리는 겁니다. 그리고 상품 가입전 약관은 아무리 어려워도 꼭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합네다 T_T
Raul 2021.10.22 18:49  
사업비 떼고 나머지 투입금액 기준의 수익률이겠죠(예시일 뿐이고, 아마 보장수익률은 1% 정도일 거고, 예시는 그거보다는 높은 대략 3% 이상일겁니다. 걍 상상하는 거죠.) 그니깐 월 10만원 납부했는데 사업비 떼고 남는 가령 95,000원씩 몇십년 넣으면 원금 얼마에 수익률 얼마 그렇게 해놨겠죠. 그 돈으로는 그냥 장기 국고채 사서 묻어놨을거구요.
찬텐 2021.10.22 18:49  
네 수익률과 계속 납입하는거 예상하니 약관데로 나오네요.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수익은.. 제돈으로 사업비 내고 나중에 받는거 보니 우울하네요 ㅠ
이븐라이드 2021.10.22 18:49  
그냥 안하시면 됩니다. 연금저축은 연금저축펀드 말고는 그냥 원금 그대로 돌려받는 수준입니다. 넣으신 연금저축보험사가 운용을 못한게 아니라 원래 그렇습니다. 공짜로 남 돈 불려주는 사람은 없어요. 연금저축펀드로 본인이 굴리셔야 합니다. 그리고 2월에 환급되는 세금이 있으니 마냥 사기당한 것도 아니에요. 환급 세금으로만 치면 연 10% 이상 단리로 쌓으신 겁니다. 1x년동안 연말정산으로 어떤 항목으로 환급받으셨는지도 확인을 안 하신거군요... 그리고 질문에 답을 드리자면, 만기시 수익+원금으로 예컨데 1억이 쌓여있다 합시다. 여기서 최소 10년동안 분할로 꺼내 쓸 수 있습니다. 꺼낼 때는 55~65세일 땐 5.5%, 65~75일땐 4.5%, 75~ 부턴 3.5%의 연금세를 내고 받으실 수 있습니다. 10년이라 치면, 1년에 1천만원까지 제한입니다. 그럼 이제 2년차일때를 봅시다. 2년차에는 잔금 9000만원인데, 여기서 1 / 남은년도만큼 12개월 분할로 받을 수 있습니다. 즉 1년 1000만원이죠. 여기서 1년동안 운좋게 돈이 벌려서 1억 8천만이 됐다고 하면 최대 1년 200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연금을 받기로 결심한 날에 해당 계좌에 1년동안 받을 금액만큼의 현금이 있으면 됩니다. 즉 연금저축보험(채권)이면 자동 현금화, 연금저축펀드면 본인이 매도하셔서 1년치 현금을 확보한 후 연금수령을 신청하셔야 합니다.(이건 운용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적어도 신청 시 1회 이상의 수령금이 현금으로 있어야 합니다.) 만약 10년 후에도 잔금이 남아있다면 전액 일시불 인출 가능합니다. 그럼 이제 감이 오시죠? 55세 만기로 30세에 가입했으면 26년간 납입입니다. 1년간 납입금 x26을 적용하면 55세때 통장 잔금이 계산됩니다. 그리고 보험사가 연금 수령 보장한 금액은 저 금액 / 10일 거구요. 보험사 입장에선 약속된 금액만큼만 돌려주면 되니 수익을 낼 필요가 없죠. 애초에 보험사가 주식이나 코인을 고객 돈으로 살 권한도 없고 그냥 채권수익금에 기댈 뿐이죠. (채권수익금은 그냥 1로 계산하셔도 됩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보험사의 float로 사용되기 때문에 국고채금리의 수익률 이하로 책정됩니다. 거기에 보험사 운용수수료 떼면 천재 채권왕이 와도 1x년에 0.8% 정도 수익률 나오죠.) 저는 제가 든 계좌와 제가 산 주식의 모든 사항을 다 외우고 있습니다. 본인이 피땀흘려 번 돈을 운영하는데 이정도는 외우실 만큼 아셔야 한다고 봅니다. 기분나쁘시겠지만 1x년간 보험사 직원 회식만 시켜주시면서 돈을 땅바닥에 버리셨으니 이제라도 본인의 금융상품을 제대로 확인하는 기회가 되셨으면 합니다.
찬텐 2021.10.22 18:49  
@이븐라이드님 설명 감사합니다. :)
홍부장옆 2021.10.22 18:49  
펀드도 방법이긴 합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