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은 악재인가 호재인가?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인플레이션은 악재인가 호재인가?

Iljiji… 12 1884

https://news.v.daum.net/v/20210603174111932?x_trkm=t


위 내용은 삼프로 오건영, 증시각도기 곽상준 같은 전문가와 반대되는 내용인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기사에 나오는 벡교수는 인플레이션 때문에 테이퍼링이나 금리인상이 임박해서 투자에 악재라는 내용인거 같은데,

위에 국내 두분의 전문가는 인플레이션은 기업 매출 증대, 소비 증대, 임금 상승같은 선순환을 유발한다고 주장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주식고수들은 거시보다 bottom이 중요하다고 하던데...

갠적으로 저는 거시경제가 재미있네요.


암튼 어느 장단에 맞춰야할까요?
12 Comments
전가복 2021.06.04 11:00  
적당하면 좋고 과하거나 모자라면 안좋은거겠죠?
대충열심히 2021.06.04 11:00  
테이퍼링 때문에 단기간 변동(탠트럼) 이 올 수 있지만 수요 회복 바탕의 인플레이션은 장기적으로 이득이다. 정도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저설탕 2021.06.04 11:00  
당연하게도 종목에 따라서 희비가 엇갈리지 싶네요. 인플레가 오면 결국 기대 성장에 맞춰서 실적을 내주는 회사들이 돋보일거 같아요.
소프트코어 2021.06.04 11:00  
일단 약없이도 살것같으니 돈을 줄이는 겁니다. 하지만 일정금리이상 높아지면 굳이 리스크 없이도 이자받을 정도면 주식자금에서 빠지니 그게 문제인거죠
나루룰루 2021.06.04 11:00  
인플레이션이오니까 조심해라.ㅜ.이말은 사실 웃긴겁니다. 자본주의 근간은 인플레이션이 있어야 유지되고, 디플레가 오면 위험한 구조니까요..정도의 차이로 생각합니다.
ProNAS 2021.06.04 11:00  
@나루룰루님 여기서 걱정하는 인플레이션은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리먼브러더스 금융위기와 이번 코로나의 방대한 돈의 양을 걱정하는 것입니다.. 이번 인플레이션은 경기가 좋아서 오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아니라. 돈을 많이 찍어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으로.. 하이퍼플레이션을 걱정하는 것입니다.
이젠정말 2021.06.04 11:00  
오건영님 말씀에의하면, 고물가,저물가,고성장,저성장의 조합으로 봤을때, 현재 저성장저물가 상황인데, 정부에서 돈을 풀면, 고성장고물가 혹은 저성장고물가 둘중에 하나로 간다고 합니다. 저성장쪽으로 가면 당연히 주가가 떨어지고요. 결국 주가가 오를지 내릴지는 모른다는 뜻이죠. 물가(원자재)는 오르고요..

54:40부터입니다. 다시보니 결론은 etf였네요.
ProNAS 2021.06.04 11:00  
오건영 부부장의 내용을 봤습니다. 코로나 상황에서 저물가/저성장인데.. FED가 돈을 풀어 다른 좋은 Sector로 유도 하려고 돈을 많이 풀고 있고 인플레이션 압력에 의해서 돈을 더이상 풀기 힘들다. 왜냐면 리만브러더스 금융위기 때 양적완화를 한것이 돈의 인플레를 다 해소되기전에 코로나 사태가 왔고, 계속하여 돈을 풀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의 위험성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그전에 조금씩 해소해야 하는데 하여튼 기술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는 않좋아 보입니다. 그래서 고배당주, 실적주, 내수주 중심의 구성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그리고 주가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중에 하나는 현재 주가가 오르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원자재, 광물, 금,은, 원유 이런 것을 추천하는 전문가도 있었습니다. 식량과 물을 추천하시는 분도 있었습니다.
toptro… 2021.06.04 11:00  
인플레이션의 정도에 따라 다른 거 아닐까요?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속에서는 인플레이션, 금리, 소득이 그에 걸맞게 같이 움직이면 큰 문제(가난한 사람에겐 예외) 없지만 지금처럼 헛돈이 풀린 경우의 인플레이션은 돈으로 막는 수 밖에 없으니 가진자 말고는 다 고통이 될 겁니다. 팬데믹으로 풀린 그 막대한 자금이 골고루 나눠진 게 아니고 일부에게 집중되고 마니 많은 사람에게 고통이 전가될 겁니다. 인플레이션 잡는 기본은 금리 인상이니 부채관리하라는 뜻 아닐까요?
허리까지다크… 2021.06.04 11:00  
미국 입장에서 보면 급격한 인플레이션 발생하면, 달러 금리를 조정할테고, 금리가 올라가면 시중에 풀려 있는 달러들이 다시 미국으로 회수되게 될겁니다. 신흥국 증시들은 타격이 불가피하죠. 또한 자금 유입 속도가 달라지면 경제 주체들은 이러나 저러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주식시장엔 조정이 올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는거죠. 근데 이게 언제 얼마나 어느정도 올지 예측이 어려우니, 다들 두려워하는거죠.
tighk 2021.06.04 11:00  
디플레보다는 인플레가 낫쥬
그건일 2021.06.04 11:00  
인플레에는 주식이 호재 맞습니다 하이퍼 인플레에서도요 독일 바이마르 화폐 붕괴할 때 주식으로 들고 있던 사람은 이득 봤다더군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