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전은 파운드리를 왜 하는거죠?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삼전은 파운드리를 왜 하는거죠?

이자식밥주지… 30 231

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는 1500억달러

파운드리나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700억달러


삼전이나 하이닉스가 강한게 메모리인데.. 

큰 시장에 선택과 집중을 하는게 좋은거 아닌가요?


지금도 파운드리에 돈 쏟아붓지만 tsmc와 기술격차가

줄이기 쉽지않다고 들어서요.

그리고  팹리스 상위권은 거의 tsmc고객 이이서

단기간내 역전은 어렵다고 들어서요 


지금도 삼전이 메모리분야에서 영업이익율 30%로 넘사벽이라고 

들었는 말이죠.  파운드리사업이 메모리사업에 비해 얼마나 

큰 장점이 있길래 저렇게 투자를 하는건가요?  


솔직히 여러 관련 유튜브나 방송을 들어봐도 왜 삼전이

파운드리를 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해주는건 못본듯요 

30 Comments
뜨루뜨룹 2021.12.24 09:00  
소자 성능도 좀 떨어지는것 같아요 tsmc 팹 소자에 비해서… 아 말씀하셨구나..
야하하하 2021.12.24 09:00  
메모리는 이미 잘하고 있는 거 쭉 하는 거고 파운드리는 굳이 1위 먹을 필요가 없죠. 패스트 팔로워로 지금 4나노인가요? 그 이상은 tsmc와 삼성이 유일합니다. tsmc에서 떨어지는 것만 먹어도 배부르고 시간이 갈수록 하위그룹과 격차는 더 벌어지죠. 안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자식밥주지… 2021.12.24 09:00  
@야하하하님 지금 1위를 노린다고 하고 굉장히 투자를 엄청나게 하고 있잖아요. 2위에 만족하는 상황은 아닌거 같아서요 전문가들은 쉽지않는 싸움이라고 하는데. 무리를 하는거 같아서요
야하하하 2021.12.24 09:00  
@이자식밥주지마님 어떤 기업이든 미래 먹거리를 찾아야 합니다. 메모리와 유사한 부분이 있는 비메모리를 안할 이유가 없고 당연히 2위에 만족한다고 얘기할 수가 없죠. 어느 기업이 우리는 2위에 만족합니다 라고 얘기합니까 ㅎㅎ 다만 투자액이나 행보를 봐서는 삼성이 그동안 해왔던 패스트팔로워로 가는 거 같고 투자도 그리 무리하게는 하는 거 아닌 것 같네요
수면제 2021.12.24 09:00  
세상 모든 제조업이 “기술격차”로 순위가 정해지는게 아니잖아요. 정말 기술격차가 중요한거면 우리나라 반도체회사들이 중국 업체들을 두려워할 이유도 없겠죠. 일단 본문에도 “돈을 쏟아붓고 있다”고 하셨는데, 충분한 돈만 쏟아부으면 그까이꺼 당장 추월은 못해도 부동의 2인자는 충분히 가능하겠죠. 거기까지만 성공해도 삼성전자 입장에선 대박입니다. 애플 아이폰에 이어 갤럭시가 2위자리만 계속 지키고 있었어도 삼성전자 주가가 7만원대가 아니라 20만원대는 되었을겁니다.
이자식밥주지… 2021.12.24 09:00  
@수면제님 2인자에 만족한다면 이해가 되는데.. 방송보면 tsmc를 못따라 잡으면 재미를 볼수없다는 식의 내용이 많아서요
수면제 2021.12.24 09:00  
@이자식밥주지마님 따라잡는다는 말이 지금처럼 하늘과 땅차이의 1,2위가 아니라 말 그대로 따라잡는 2등으로 가겠다는 거겠죠.
Valhal… 2021.12.24 09:00  
1. 메모리는 이미 넘칠 만큼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투자로 남은 상대방을 죽이려고 capex를 늘리면, 삼성도 같이 빈사 상태에 빠질 겁니다. 메모리에 집중한답시고 치킨게임을 1~2년씩 하다보면, 5만 전자는 디폴트입니다. 사실 지금 메모리 회사들의 value는 치킨게임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는 컨센서스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있으니까, 어쩌면 그 밑으로 내려갈지도 모르지요(4만전자라든지 3만전자라든지..) 2. 파운드리 사업은 이제 메모리와 set 사업을 위해서라도 투자를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로직 선단공정를 tsmc가 독점하면 전체 it 하드웨어 산업에서의 부가가치 비중이 tsmc 몫이 지금보다 훨씬 커질 테고, 삼성전자 전사의 실적이 감소할 겁니다(it 하드웨어에서 삼성만큼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갖춘 기업이 없습니다) 좀 더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스마트폰 안에서 ap의 가격이 지금보다 더 비싸지면, set 회사들은 당연히 메모리나 디스플레이, 카메라에서 단가를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3. 올해 기준 삼성 비메모리 사업의 ebitda는 7~8조 정도로 보는데, 한국의 다른 회사나 삼성 내 다른 계열사를 끌고 올 필요도 없이, 삼성전자 사업부 안에서도 메모리,무선,디스플레이 다음 가는 규모입니다. 4. 삼성은 내부에 현금이 너무 많아서 썩어나고 있고 연 단위로 10조가 넘게 잉여현금이 발생하는 초우량 회사라서, 돈이 부족할 일은 없습니다. 파운드리 사업의 CAPEX-EBITDA 규모(초과투자)를 연간 3~5조로 보는데, 삼전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껌값입니다.
YODA 2021.12.24 09:00  
@Valhalla님 +100000
민주를꿈꾸라 2021.12.24 09:00  
메모리는 싸이클 타는 수익이고 파운드리는 안정적인 캐시카우 느낌? 제가 볼땐 그렇습니다. 물론 고객사와 경쟁하지 않는다는 TSMC를 잡긴 힘들어 보이지만 반대로 설계/생산 둘다 최상위권인 회사도 삼성뿐이라서
소프트코어 2021.12.24 09:00  
미래 먹거리인거죠. 스마트폰으로 도약을 했는데 안주 할수는 없잖아요. 메모리는 거의 완벽한 사이클 산업이라 죽쓸때는 엄청 죽을 쓰는데, 2018년즈음 하이닉스 주가를 한번 보세요. 영업이익이 1/10토막이 났습니다. 파운드리는 거의 일정한 수요가 있습니다. 멀티플을 더 줄 수 있는거죠.
골든슬램버 2021.12.24 09:00  
둘다 잘하고 있는데 뭔 걱정이죠.
이자식밥주지… 2021.12.24 09:00  
@골든슬램버님 아 주식관련 방송을 보면 걱정들을 많이해서요. ^^ 긍정반 부정반 이정도 비율같아서요. 한때 주주로서 다시 들어갈까 말까 고민중이기도 합니다.
Alejan… 2021.12.24 09:00  
포트폴리오 구성이고 시장 규모를 고려해서 투자 금액 발란싱을 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Pisces 2021.12.24 09:00  
지금도 제일 많이 투자하는게 메모리 반도체에요. 삼성은 메모리 팹에 몇십조 투자해도 돈이 남아돌아요. 메모리반도체 업체가 제일 잘 할 수 있는 또 다른걸 투자하는거죠. 메모리팹 구공정 공장은 파운드리로 돌려서 써먹어요. 메모리 공장을 전환하면 파운드리 공장이 그냥 생기는데 당연히 투자를 해야죠.
버즈빅 2021.12.24 09:00  
어느 주식 방송에서 걱정하던가요? 제가본 대부분 주식 방송은 TSMC 와 격차가 커서 따라잡으려면 시간도 오래걸리고, 콩고물 떨어져도 이득이라고 하던데
도형이 2021.12.24 09:00  
DB하이텍의 주가를 보면 이해가 가던데요...
Pazz 2021.12.24 09:00  
전체 반도체 시장을 100이라고 하면 메모리 반도체시장은 보통 20~30% 정도 차지합니다. 나머지는 모두 시스템 반도체 입니다. 이 엄청난 시스템 반도체 시장중 일부가 파운드리 시장인데요, 삼성은 파운드리뿐만 아니라 제품을 직접 설계하여 생산, 판매하는 IDM모델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제품이 AP와 CIS죠) 파운드리 사업을 잘한다는건 자체 제품의 경쟁력도 좋아진다는 이야기이죠. 그러므로 삼성 입장에서는 파운드리 시장만 보고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삼성은 Set 도 같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품 경쟁력 = Set 경쟁력이어서 더더군다나 시스템 반도체 공정에 대한 투자를 더욱 게을리 할수 없지요. 단순히 파운드리 시장만 보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2022년 파운드리 시장 규모는 1000억달러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OS폐인 2021.12.24 09:00  
삼성은 장기 계획으로 반도체 사업부를 주문위탁형으로 운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오 쪽의 CMO와도 유사한건데, 예를들어 특정 칩셋의 제조를 원하면 삼성에서 설계부터 제조까지 일종에 턴키 수주 방식을 지양하는 겁니다. 현재 삼성 파운더리의 문제는 최선단 공정에서 TSMC와의 경쟁에 밀리고 있는 점인데, 만약 턴키 수주가 가능해지면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의 추세가 계속되서 일부 대형 벤더들이 대량 발주하던 방식에서 필요에 따라 다수의 칩셋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시장이 발달하게 되면 삼성의 방식이 먹힐 수도 있다고 봅니다. 물론 현재는 어렵죠. 자사 칩셋조차 수율이 안나와서 못찍고 있으니까요. 그렇다고 파운드리가 적자냐면 흑자거든요? 제 생각엔 별 문제 없는거 같네요.
햇살아이 2021.12.24 09:00  
지금도 2등인데 유지만 해도 되는거죠 메모리는 왜 더 투자해야 하나요 이미 경쟁업체 다 망했자나요 요
뽀물 2021.12.24 09:00  
지금도 잘해가고 있다고 봅니다.
YODA 2021.12.24 09:00  
밥 잘 먹는데, 왜 면도 먹냐와 같은 질문으로 해석되네요 ㅎㅎㅎ 그리고 기술격차 이야기 나오는데, 현재 선단공정기술은 삼전이 앞서는 것으로 보입니다. 양산이 관건. 유튜브에 쓰레기 채널 많습니다. 그나마 괜찮은 채널 보시기 바랍니다. 디일렉..
닉이름닉 2021.12.24 09:00  
파운드리 지금 위치 솔직히 삼성이 캐잘해온 패스트 팔로워 위치긴 해보입니다 그런데 요새는 과거처럼 공돌이를 갈아넣을 순 없으니 어떠려나 싶긴 합니다
sarged 2021.12.24 09:00  
여러개의 캐시카우를 가진 기업이 이상적이라고 하죠. 파운드리는 삼성에게 있어 미래 캐시카우중 하나입니다.
Modera… 2021.12.24 09:00  
제 의견입니다
오펜하이머 2021.12.24 09:00  
미래 먹거리 고민 안하면 슬로 데스하는거죠.. 인텔 망가지는거보면 알수있듯이
명이나물 2021.12.24 09:00  
2등도 괜찮아 3등도 만족해~ 했던게 바로 LG MC사업부죠
GiantR… 2021.12.24 09:00  
선택과 집중은 훗날 뒤돌아보면 나오는 값입니다 즉 글쓴이의 질문은 어떤 전략 이름과 그 전략을 혼동한 거고 전략이름의 결과론적 성질을 모르고 말한거죠. 다시 말해 지금 그 새 진출 사업이 무슨 기준으로 선택과 집중이 아니라고 나는 생각했는가를 물으신다면 이해가 될겁니다
Iljiji… 2021.12.24 09:00  
유투버 서울가젯 영상 찾아보시길
Moving… 2021.12.24 09:00  
나중가면 메모리와 시스템을한방에 적층시키는기술을 꿈꿉니다 인간의뇌처럼만드는거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