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수익률 무려 117%…공급망 대란 베팅해 돈번 그들 정체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연 수익률 무려 117%…공급망 대란 베팅해 돈번 그들 정체

마카로니아 6 238

올해 세계 경제엔 그늘이 짙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시작된 공급망 붕괴가 물류 대란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불러오며 각국 경제에 충격파를 던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림자가 있으면 빛도 있기 마련이다. 공급망 대란에 슬며시 미소를 짓는 곳도 있다. 헤지펀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일부 헤지펀드들이 올해 들어 최근 몇년 사이 가장 많은 수익을 내고 있다고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급망 대란으로 운임 비용이 출렁이는 상황을 이용해 돈을 번 것이다.


화물 운임 비용은 올해 들어 급증했다. 영국 발틱해운거래소에 따르면 철광석·석탄·곡물 등 원자재를 주로 운송하는 벌크선의 운임 비용을 보여주는 지수인 발틱운임지수(BDI)는 올해 1347에서 시작해 지난 10월 7일 5650까지 올랐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다.


FT는 “(BDI 지수의 급등은) 코로나19로 인한 출입국 제한과 지난 3월의 수에즈 운하 선박 좌초사고, 선원·도선사 등의 인력부족 등으로 화물 운임여건이 취약한 가운데 급작스레 상품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발틱운임지수(BDI) 변화 그래픽=김주원 기자 [email protected]

공급망 대란으로 인해 물류비가 증가하고 그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까지 커지고 있지만 돈을 번 곳도 있다. 운임 비용 상승을 예견하고 관련 금윰상품에 투자한 헤지펀드들이다. 4억5000만달러(약 5343억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영국 기반의 헤지펀드 파랄로스에셋매니지먼트의 올해 수익률은 11월말 기준 110%다. 2011년 회사 설립 이후 가장 높은 수익률이다.


드미트리스 폴미스 대표는 “회사 설립 이후 가장 큰 사업 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건 BDI가 급등하는 등 운임비용의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 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BDI 관련 선물 상품에 투자하고 있다.


피델리티 자산운용 출신 펀드매니저가 설립한 헤지펀드 필그림글로벌의 올해 수익률도 약 117%이다. 수익의 4분의 3은 해운 관련 금융상품 투자에서 나왔다. 미국 조사기관 헤지펀드리서치(HFR)에 따르면 11월까지 헤지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8.7%다.


해운 분야는 코로나19 발생 전까진 투자자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호황과 불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탓에 수익률이 낮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몇년 전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투자 전략을 짜는 헤지펀드를 중심으로 해운 분야를 틈새시장으로 여기고 투자를 시작해왔다. 해운관련 주식뿐만 아니라 BDI지수나 특정 항로 관련한 각종 선물·파생상품을 만들어 투자했다.


이런 와중에 올해 공급망 대란 여파로 운임 가격이 급등하면서 큰 수익을 얻게 된 것이다. 운임이 뛸 때만 수익을 거둔 것이 아니다. 지난 27일 BDI는 2217로 지난 10월 7일 최고치에서 50% 넘게 하락했다. 중국이 자체 석탄생산을 늘리며 원자재 가격이 안정을 찾은데다 부동산 부채 위기 등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올해 34%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노르웨이 자산운용사 클리브스애셋매니지먼트의 조아킴 하니스달 최고경영자(CEO)는 “화물 운임이 급등했을 때만 수익을 내지 않았다”며 “지난 10월 이후엔 가격 하락을 예상한 투자로 수익을 냈다”고 말했다.


6 Comments
hobodo… 2021.12.29 11:00  
BDRY 과연 앞으로도 좋을지… 전 아닐 거 같습니다.
lanmei 2021.12.29 11:00  
@hobodon님 이유를 들어볼수있을까요?
hobodo… 2021.12.29 11:00  
@lanmei님 전 몇 달 들고 있다가 팔고 지금은 없습니다만, 가끔 보긴 합니다. 장기적으로 물류 적체는 어떻게든 해소가 될 것이라는 점과 올해 하반기엔 특히 적체에서 이익을 보려는 주체들의 가수요 (일부러 적체를 가속시키는) 역시 해결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좀 불안하게 봅니다. 미국 롱비치도 대기 선박수는 감소하고 (일부 해결), 육상 운송에서 적체가 일어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lanmei 2021.12.29 11:00  
@hobodon님 롱비치 대기선박수는 항만청에서 위험하니 더 멀리서대기하라고해서 갯수가 적어보이는거라는 얘기를 들었어요. 물론 크리스마스수요는이미 지나가서 좀 줄어들었을수도 있지만요. 상하이컨테이너지수도 높은상태고 신규선박발주는 3년걸리고 imo2020으로 선박들사이클이 길어지고있고 저희회사 scm이 내년물류가격 올해보다 높을꺼라고 얘기하더라구요.
hobodo… 2021.12.29 11:00  
@lanmei님 증시각도기 채널에서 며칠전에 미국 롱비치 상황 들은 내용을 적었습니다. 연말 쇼핑 수요 때문에 출렁였을 수도 있겠습니다. 컨테이너 지수가 내려가다가 다시 살짝 고개를 들긴 한데, 인덱스 지난 주말 기준 차트는 애매하네요.
hobodo… 2021.12.29 11:00  
@lanmei님 컨테이너만 보면 이렇다고 합니다. 내년 국내 조선소에 컨테이너선 신규 발주도 안정이 될 걸로 한국수출입은행 시각을 언급한 기사를 오늘 봤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