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가 저평가 될수밖에 없는이유입니다.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한국증시가 저평가 될수밖에 없는이유입니다.

쥬쥬총회 30 231

한국증시가 해외 선진증시대비 저평가 받을수밖에 없는 근본원인에대해 써봅니다.


0. 한국의 대표산업 반도체, 철강, 화학, 조선, 자동차 모두 사이클산업입니다.

메모리반도체야 불황에도 이익이 어느정도는 유지되니 그렇지만


나머지 산업은 불황때는 적자나 낮은 마진의 늪에 허덕이기 일쑤입니다.


이익이 들쑥날쑥인데 어떻게 per로 가치평가가 가능할까요?


그러니 씨클리컬은 대부분 pbr로 밸류에이션합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사이클 막바지에 per3~5 정도의 수치만보고


저평가라 생각해서 덥석물지만 그때는  이미 썰물이 시작되는 순간입니다.


그러니 맨날 지겨운 피크아웃논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사이클산업 엄청난 유형자산투자가 필요하기에 저평가는 배가됩니다.




1. 낮은 roe

국내상장사 대부분 낮은 roe입니다.

roe가 낮으면 왜 높은 멀티플을 받을수 없을까요?


같은 1억의 순이익을 창출해야할때

roe가 40%라면 2억5천의 자기자본이 필요하지만

roe가 5%일 경우 20억의 자기자본이 필요합니다.

즉 roe가 높을수록 적은 주주자본으로 높은 순익을 창출하기에 당연히 높은 멀티플을 받습니다.


그리고 국채금리가 3%때 roe가 5%라면 투자자 입장에서 굳이 위험을 감수하고 주식에 투자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니 대부분 낮은 roe를 보여주는 국내증시는 높은멀티플을 받을수없습니다.


국내 제조기업들의 대부분이 상기유형입니다.




2. 막대한 유형자산 투자금액

roe가 높아도 또하나의 벽을 넘어야 합니다.

바로 유형자산투자규모!!


영업현금흐름이 조단위로 나온다한들 유형자산투자에 매년 조단위로 때려박아야 한다면

당연히 잉여현금흐름은 빈약하겠죠..


국내 대부분의 제조기업들은 열심히 벌어서 대부분의 자금을  유형자산에 투자합니다.

투자한만큼 매년 감가상각액도 막대하고요.. (감가가 크니 roe는 또 낮아집니다..)


그렇다고 유형자산투자를 포기하자니 경쟁에서 뒤쳐지니 안할수도 없는상황..

결국 벌어들인 이익의 대부분은 시설투자로 태워버리니 잉여현금은 거의없고


그저 자본총계만 늘어나뿐 주주에게 돌아올 과실이 적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은 엘지디스플레이입니다.




3. 자본재배치 전무, 배당성향 낮음


상기 0~2번의 벽을 뚫고 roe도 높고 잉여현금흐름도 풍부하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회사에 현금성 자산이 차곡차곡쌓입니다.


현금을 쌓아놓기만하니 roe는 갈수록 낮아지고


배당을 안하니 회사의 이익을 주주가 나눠가질 방법이 없습니다.


자사주매입또한 배당만큼이나 인색하고요


배당이 멀티플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막대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시멘트업계에서 쌍용과 그외 회사들간의 멀티플비교해보면 극명하게 들어납니다.


자사주매입또한 애플의 사례를 보면 얼마나 주가상승에 효과적인지 잘알수있습니다.




4. 양아치 대주주


국내 대주주들의 최대관심사는 상속입니다.


상속세율이 일본과함께 세계제일이라( 일본증시의 후진성또한 한국과비슷합니다)


굳이 배당으로 소액주주들을 배려할 이유가없습니다.


그저 터널링이나 자회사로 일감몰아주기 등으로 이익을 빼돌리고


자회사의 분할이나 합병을 대주주에게 유리하게 이끌어서 합법적으로 이익을 빼돌립니다.


그렇게 주가는 못오르게 억누르면서 (그렇기에 배당성향도 절대 안늘려줍니다)


승계구도를 이어갑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사조산업, byc등이 있겠네요..




5. 물적분할후 자회사 모회사 동시상장


....... 정말 생각도 하기 싫은 이유입니다.


속히 법으로 금지해야 합니다.




6. 주식투자에 부정적인 고위공무원과 정치권


주식투자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니 주식시장 선진화에 미온적입니다.


오히려 어떻게든 세금이나 뜯어내려 양도세나 신설하죠..


대주주의전횡은 충분히 법으로 막을수있는데 입법권자들의 의지자체가 없어보입니다.





7. 지정학적 리스크


틈만나면 윗동네에서 뭔가 쏘아대고 터트리니 당연 디스카운트요소입니다.




결론


한국증시저평가는 명백한 이유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기업체질도 선진적으로 변화는 회사도 보이고 

정치권도 차츰 소액주주의 권리에 관심을 기울일거라 믿습니다.

언젠가는 지겨운 코리아 디스카운트 없어지길 바랍니다.








30 Comments
안젤로00 2022.01.08 22:00  
동의합니다. 그리고 그런 이유로 현 주가가 '저평가'가 아니라 제 가치라고 봅니다. 저평가라고 봐서 투자하는 건 잘못된 생각이라는 거죠.
쥬쥬총회 2022.01.08 22:00  
@안젤로00님 그렇죠 저평가는 정신승리일뿐 사실상 제값하고있다 생각합니다.
이븐라이드 2022.01.08 22:00  
동의합니다. 저평가는 우량한 법제도와 건전한 금융논리가 성립되는 시장에서나 찾아야지 이건 그냥 적정주가입니다. 특히 자회사 물적분할 상장은 법으로 금지해야합니다. 사실 이게 성립되려면 재벌적 기업구조 자체를 막아야하는데, 쉽지 않죠. 참.
쥬쥬총회 2022.01.08 22:00  
@이븐라이드님 네 산업구조 지배구조 모두 저평가에 일조합니다. 적정주가란 의견에 동의합니다.
mericr… 2022.01.08 22:00  
북한도 아니고 한국 자본시장이 완전 개방까지는 아니어도 거의 완전 개방에 가까운데 저평가라는거 자체가 말이 안되죠. 개별기업이야 좀 진가가 좀 늦게 알려져서 일시적으로 저평가가 될 수도 있다지만 시장이 저평가 된다는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쥬쥬총회 2022.01.08 22:00  
@mericrius님 네 동의합니다
방콕투자자문 2022.01.08 22:00  
한방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죠. 판사들 갈아 치우면 됩니다. 미국에서 회사가 막대한 현금 싸놓고, 자사주나 배당 안하고 있으면 적대적 펀드가 지분 5% 사들여, 임시주총 소집하고, 3%감사 선임룰을 이용해서 감사 박아 놉니다. 그리고 이런 저런 경영 간섭 합니다. 자금력이 되는 칼 아이칸이나 빌 아크먼 같은 선수들은 공개매수 해서 경영진을 갈아 치우기 까지 합니다. 한국에서는 지배구조펀드가 지분매입해서 주주제안 하려하면, 회사가 3자배정 유상증자 기습적으로 해서 백기사한테 지분 넘기고 방어합니다. 이건 미국에서는 금지되는데, 한국에서는 판사들이 이런 행위가 문제없다고 대주주 편들어 줍니다. 여기에 대주주한테 받아먹은 기레기들이 기업사냥꾼이 회사 망치려 한다고 발광합니다. 경영권 시장만 개방되도 (대주주 전횡 방지) 코스피 30%는 올라갈겁니다.
쥬쥬총회 2022.01.08 22:00  
@방콕투자자문님 네 맞습니다. 아이칸의 애플자사주매입요구건도 유명하죠. 그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서 국내회사둘은 왠만하면 자사주소각을 안하죠 ㅎㅎ
수묵담 2022.01.08 22:00  
좋은글입니다.
쥬쥬총회 2022.01.08 22:00  
@수묵담님 감사합니다
킬라시 2022.01.08 22:00  
고객님은 KT&G를 사시면 되겠습니다.
쥬쥬총회 2022.01.08 22:00  
@킬라시님 케티앤지 좋은 회사죠..
킬라시 2022.01.08 22:00  
@쥬쥬총회님 KT&G도 저평가회사입니다.
ProNAS 2022.01.08 22:00  
@킬라시님 KT&G에 대한 평가는 기업평가 ESG에 대해서는 아주 부정적이고. KT&G의 미래는 밝지 않습니다.. 곧 없어지는 기업.. 흡연이 사회에 권장되지 않죠.. 몸에 좋은 담배, 미백 효과 있는 담배.. 전혀 개발를 하지 않죠. 이건 기업은 그냥 점빵. 전자담배의 공격은 막았지만, 미래 세대는 흡연에 부정적이고.. 신규 흡연자가 계속 줄어서.. 지금은 흡연자나 주가는 하향세.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이 시대에 주가가 움직이지 않으면 그것은 주가가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 저라면 KT&G 보유하지 않겠습니다.
킬라시 2022.01.08 22:00  
@ProNAS님 저도 가지고 있지 않아요 본글에 조건 따지면 그렇다는거죠
흑구팟들었슈 2022.01.08 22:00  
저도 본문과 같은 이유로, 국내증시에 환멸을 느끼고 미국증시 직투한지 4년 됬습니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죠. 별수 있나요. 본문 이외에 덧붙히자면 사회 전반적인 인식들도 한몫합니다. 예를들면 주식은 도박이다라는 시선이나 회사는 오너거라는 시선 돈은 밝히면 안된다는 것들이나 재벌들은 당연히 그래도 된다는 것이나 전체적으로 한국은 금융문맹국이에요.답답한게 뉴스같은데 보면, 꼭 저런 사기에도 당하나 싶은걸 힘들고 어렵게 돈버신 없는분들이 전재산을 쉽게 당하시더라구요. 교육 받아 본적은 없고, 그렇다고 스스로 공부하기는 뭔가 난해하고, 쉽게 돈 벌 생각에 너무 쉽게 사기 당하더라구요. 제 와이프도 완전 금융이랑 담 쌓고 사는 사람이라 수시로, 주변에서 원금 보장한다는 투자상품은 전부 사기이고, 연10% 이상 쉽게 이야기 하는것들도 모두 사기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의무 교육 과정에 필수적으로 경제 전반적인것들 넣어야 된다는 겁니다.
문학전집 2022.01.08 22:00  
초저출산으로 인한 암울한 장기전망이 제일 큰 문제라고 봅니다.
Rothba… 2022.01.08 22:00  
짝짝짝짝짝짝!!! 지금까지 본 한국증시 저평가 이유에 대한 가장 완벽한 써머리입니다. 7번까지 버릴 글이 하나도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저평가가 아닌거죠. 시장이 정확하게 평가하고 있는겁니다. 100% 동의합니다.
쿠헐헐헐헐 2022.01.08 22:00  
시장은 늘 옳죠.
옆차기달인 2022.01.08 22:00  
정말 맞는말이네요~엑설런트
dicieb… 2022.01.08 22:00  
3, 4, 5 심각하죠. 사업구조야 어쩔 수 없는 부분인데 그 외의 내용은 당장 제도적으로 개선 가능한 부분 아니겠습니까? 특히 쪼개기 상장! 토나옵니다 ^ㅠ^
nanog 2022.01.08 22:00  
100% 동의합니다.
게임의발견 2022.01.08 22:00  
공감합니다. 다음 대통령은 관심 갖고 바꿔줬으면 하네요
Edward… 2022.01.08 22:00  
이제껏 몰랐던 내용이 많네요. 그동안은 매번 북한 이슈라고만 막연히 알고 있었더랬네요
기쁜물 2022.01.08 22:00  
피부로 직접 겪어보진 않았지만 건너건너 전해듣고 지켜본? 바에 의하면 미국이랑은 학생부터 시작해서 아예 분위기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는 구글 애플 테슬라 넷플릭스 같은 회사가 절대로 나올 수 없는 구조라 생각합니다. 교육, 인식, 태도, 학교, 근로, 기업 등등 너무나 차이가 많이 납니다. 오너들은 자기 배불릴 생각밖에없고, 정치인들은 진짜 중요한게 먼지 관심이 없습니다. 교육 과정은 고딩때 불태우고 잿더미만 남게하구요. 뭘 열심히 하려해도 인정 받지 못하고, 일하는 놈 돈받는놈 따로있다보니 의욕조차도 안생기고, 그럴듯해보이면 자본에 잠식 당하고 참 혼란합니다
macpre… 2022.01.08 22:00  
저평가는 모르겠고 제대로된 평가같습니다. 그리고 7번은 뭐 어찌할 수 없는거죠.
외길인생 2022.01.08 22:00  
좋은글 감사합니다. 쉽게 이해 되는 부분이 많네요
shakey 2022.01.08 22:00  
좋은글입니다. ^^
풍요 2022.01.08 22:00  
좋은 글 감사합니다^^ 많은 것을 알게 됐네요~
예체 2022.01.08 22:00  
그래도 국장은 10년에 한번씩 대박난답니다. 2029년 즈음에 총알 준비하고 만납시다.

제목